━━ 보관 자료 ━━/인터넷성경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4과)5

Joyfule 2009. 5. 24. 01:36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4과)5

에스라-느헤미야(1): 서론

 


 2-2 개혁될 필요가 있는 공동체

 

  게다가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개혁과 부흥은 현실의 문제를 다 해결한 것이 아니었다. 이들이 여호와 앞에 나아가 죄를 자복하고 회개하였으나, 이로 인해 현실이 급격하게 호조건으로 바뀐 것은 아니었다. 느헤미야 9장의 기도에는 이미 개혁의 과정을 통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땅 안에서의 자유라는 하나님의 약속과, 이방 왕에 복종하는 현재 상황 사이에 참을 수 없는 모순"이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우리 열왕과 방백들과 제사장들과 열조가 주의 율법을 지키지 아니하며 주의 명령과 주의 경계하신 말씀을 순종치 아니하고, 저희가 그 나라와 주의 베푸신 큰 복과 자기 앞에 주신 넓고 기름진 땅을 누리면서도 주를 섬기지 아니하며 악행을 그치지 아니한고로, 우리가 오늘날 종이 되었삽는데, 곧 주께서 우리 열조에게 주사 그 실과를 먹고 그 아름다운 소산을 누리게 하신 땅에서 종이 되었나이다. 우리의 죄로 인하여 주께서 우리 위에 세우신 이방 열왕이 이 땅의 많은 소산을 얻고 저희가 우리의 몸과 육축을 임의로 관할하오니 우리의 곤란이 심하오며(느 9:34-37)...."

 

  죄를 자복하고 회개해도 현실에 변화가 없다면 도대체 무슨 소망이 있는가? 실제로 느헤미야 13장을 살펴보면 포로 후 공동체는 부흥을 경험한 공동체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개혁될 필요가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 마지막 결론장을 살펴보면 느헤미야서의 각 관심 분야에서 실패가 있었음이 드러난다. 레위 사람들이 받을 봉급을 못 받자 전리로 도망한 일이 있었음은 물론(느 13:10), 안식일에 물건을 사고 팔면서 안식일을 범하는가 하면(느 13:15-22), 아스돗과 암몬과 모압 여인과 결혼한 유다 자녀들은 아스돗 방언은 하면서 유다 방언은 하지 못하는 타락상을 연출하고 있었다(느 13:23-27).


 2-3 실현된 종말론적 공동체

 

  그렇다면 도대체 에스라-느헤미야서가 이야기하려고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포로 후기 공동체의 이러한 초라하고 안스러운 모습을 통해서 전달하고자 하는 신학적 의도는 무엇인가? 성경 기자는 이런 모습에도 불구하고 율법과 성전을 중심으로 한 이 공동체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모든 인간을 구속하시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이 진행되어 가는 유일한 수단이었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단지 에스라-느헤미야서의 기자 뿐 아니라, 포로 후기 선지자들의 확고한 확신이기도 하다. 비록 기대반큼 완벽한 영광의 회복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포로 후기 공동체는 회복의 영에 의해 포로됨과 버림받음의 고통을 치유 받은 회복된 공동체였다. 제사와 희생과 성전 예배와 제사장직이 회복되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하나님의 임재와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경험한 공동체였으며, 성령의 임재를 몸으로 느낀 성령 공동체이기도 했다.

 

  어떤 점에서 에스라-느헤미야의 부흥 운동은 이어질 긴 침묵의 4세기 동안을 버티게 해 줄 마지막 부흥 운동이었다. 이런 점에서 이 운동의 성격을 이해하면 구약 이스라엘의 천년 역사를 마무리하고 신약 시대로 나아가는 전이의 성격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한국 교회 가 포로 후기 공동체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에스라-느헤미야서의 올바른 이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반 게메렌은 포로 귀환부터 예수님까지의 기간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는 것은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 사이의 철저한 단절을 외치는 것과 같다"고 주장한다. 한국 교회는 구약의 역사를 주로 이스라엘의 실패와 이에 따른 하나님의 심판의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아왔다. 그러나 에스라-느헤미야서를 보면 포로에서 귀환한 "남은 자들"은 하나님의 임재와 하나님 나라의 건설이라는 회복의 축복을 경험한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반 게메렌은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새 언약의 시대는 이미 포로 후기에 시작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에스라-느헤미야서에 대한 이해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도래할 하나님 나라의 성격을 이해하고, 동시에 오늘 날의 한국 교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우리는 그 동안 에스라-느헤미야서의 메시지의 중요성에 대해서 생각했다. 이제 우리는 에스라-헤미야서의 신학적인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에스라-느헤미야서의 구조를 중심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