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제4장 체다카 요법 - 돈의 노예로부터 벗어나기

Joyfule 2007. 11. 6. 01:30

4장  체다카 요법 - 돈의 노예로부터 벗어나기

 

자선(Charity)이라는 영어 단어는 체다카(Tzedakah)란

유대 개념을 번역하기 위한 단어로 쓰인다.

그러나 체다카는 사랑을 의미하는 라틴어 카리타스(Caritas)에서 기원되는

 자선이란 문자적 의미와 무관하다.

체다카의 유대적 의미는 시장과 관련되며 문자 그대로

 정의(Justice)' 혹은 정의롭게 하는 것(the act of justicing)으로 번역될 수 있다.

 

기독교에서는 이상사회 건립을 위한 최고의 덕목으로 사랑을 꼽는다.

그러나 유대교는 정의, 즉 체다카를 강조한다.

유대교에 따르면 개인, 인종, 환경 등 모든 차원에서 될 수 있는 한 남을 돕는다면,

즉 체다카를 충실히 이행한다면 이상적 세계는 현실화될 거라고 확신한다.

 

돌은 딱딱하나 쇠가 그 돌을 자르고, 쇠가 강하다 하나 불이 그 강함을 녹인다.

불은 강력하나 물이 불을 끄고, 물은 무겁기는 하나 구름이 물을 나른다.

구름은 강하나 바람이 이를 흩트리고, 바람은 강하나 우리 육체는 이를 견디어낸다.

육체는 강하나 두려움이 이를 파괴하고,

두려움은 강하나 포도주는 두려움을 피하게 하고, 포도주는 강하나 잠이 정복한다.

죽음은 이러한 것 중 가장 강하나 체다카는 죽음에서 구한다.

 

이 예화를 통해 랍비 예후다가 우리에게 이야기하는 것은

죽음의 개념 너머에 삶, 의미, 교환의 개념이 놓여 있다는 것이다.

체다카가 교환할 수 있는 구체적 추상개념이라면 죽음은 비교환의 추상개념이다.

이러한 속성을 이해하고 체다카의 책임완수를 위한

시간을 배정하는 사람은 삶의 주인이 될 수 있다.

그는 죽음이라는 인간의 한계를 넘어 격정을 몰아내고 치료를 받는다.

체다카의 가치를 진실로 이해할 때 우리는 그것을 일종의 로 인식하게 된다.

체다카는 축적될 수 있으며 흥미로운 어떤 상거래에 헌신하는

그러한 열정으로 추구되어야 한다.

이것은 일시적으로 덜 가짐으로써 드러나는 믿을 수 없는 부의 현시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