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롯 왕의 역사
▲헤롯(Herod):
B.C.55-A.D.93년경까지 로마 황제를 대신하여 팔레스타인과 그 인접 지역을 다스리던 이두메 왕조의 왕들을 말한다. BC 1세기 초 알렉산더 얀네스(Alexander Jannes)에 의해 안티파터(Antipater) 1세가 이두메의 통치자로 임명되면서 이두메 왕조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안티파스(Antipas) 2세가 BC 47년 율리우스 케사르에 의해 유다 총독으로 임명되어 유다 지역을 다스리면서 헤롯 왕가의 통치가 시작되었다. 그는 한 아들인 파사엘에게는 예루살렘을 통치하도록 하였고 헤롯대왕에게는 갈릴리 총독 자리를 주었다.
헤롯 대왕(Herod the Great) : 유아살해 명령을 내린 왕 안티파스 2세의 둘째 아들로 BC 47년, 25세의 나이에 갈릴리 지역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갈릴리 지역의 도둑떼를 소탕하며 하스몬 왕가의 안티고누스(Antigonus)가 갈릴리를 침입하였을 때도 그들을 물리치는 등 정치적인 능력이 뛰어났다. 아버지 안티파스가 암살당한 후 형 파사엘과 함께 유다의 분봉왕으로 임명되었으며 BC 40년에는 로마 황제 아구스도에 의해 유대인의 왕으로 임명되었다.
BC 37년이 되어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있던 파르티아 군대와 안티고누스 왕을 물리치고 유대인의 왕위를 얻게 되었다. 헤롯은 로마 정부와 유대인들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등 왕으로서의 정치적 수완을 보여 주었다. 지중해 연안에 항구 도시를 만들어 가이사 아구스도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가이사랴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사마리아와 여리고 같은 도시들을 재건하였고, 헬라 양식의 극장이나 원형 경기장 등과 같은 건축 사업도 활발히 수행하였다. BC 20년에는 예루살렘 성전 재건 사업을 시작하였는데 헤롯 성전이라고 불리는 이 성전은 그가 죽은 후 68년경에 완성되었다.
헤롯은 순수한 유대인은 아니었다. 에돔 출신으로 선조가 개종하여 유대인이 된 반쪽짜리 유대인이었다. 그래서 그는 하스몬 왕가의 딸 마리암네와 결혼하여 유대인의 환심을 사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는 아주 잔혹하여 자신의 왕권을 노린다고 생각되는 사람은 가족도 예외없이 처단하였다. 그는 왕비 미리암의 남동생 아리스토불루스, 할아버지, 어머니, 왕비 미리암, 미리암의 두 아들을 차례로 죽였다. 예수님의 탄생 소식을 듣고 자신의 왕위를 지키기 위해 유아 살해 명령을 내리는 잔인함도 보였다(마 2:16-18). 헤롯은 자신이 죽은 후 국가적인 애도 기간을 확실히 하고자 여리고에 있는 경기장에서 유대인 지도자들을 살해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BC 4년에 70세의 나이로 죽었다.
▲헤롯 안티파스 :
세례 요한을 처형한 왕 헤롯 대왕의 둘째 아들로 헤롯이 죽자 갈릴리와 베뢰아의 분봉왕이 되어 BC 4-AD 39년까지 다스렸다(눅 3:1). 성경에는 분봉왕 헤롯, 헤롯 왕으로 나온다(마 14:1; 막 6:14; 눅 3:19). 그는 첫 번째 아내와 이혼하고 자신의 이복 형제인 빌립(헤롯 2세)의 아내이자 자신의 조카인 헤로디아와 다시 결혼하였다. 이것 때문에 세례 요한의 책망을 받게 되자(막 6:18) 그는 세례 요한을 옥에 가두었다(막 6:17).
헤롯은 세례 요한을 두려워하여 죽이지 못하다가 생일 잔치 자리에서 헤로디아의 딸의 요청을 듣고 세례 요한의 목을 베고 말았다(막 6:20-29). 그는 예수님으로부터 여우라는 말을 들었는데(눅 13:32) 이는 협박과 속임수에 능한 헤롯의 간사함과 교활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헤롯은 빌라도에 의해 호송되어온 예수님을 재판하였는데 예수님을 업신여기며 희롱한 후 다시 빌라도에게 넘겨 주었다(눅 23:7-11). 그는 갈릴리 해안에 로마 황제 티베리우스(Tiberius)의 이름을 따라 디베랴라는 도시를 건설하였으며 갈릴리 바다도 디베랴 바다라고 불렀다.
▲헤롯 아그립바 1세(Herod Agrippa I, A.D.41-44) :
헤롯 안티파스가 주후 39년에 왕위를 박탈당하고 고울로 추방된 뒤를 이어 헤롯 아그립바 1세가 왕이 되었는데 그는 젊은 시절을 로마에서 대단한 사치와 방종 속에서 성장하였다가 중년의 나이에 들어가자 그는 클라우디우스에 의하여 추방되었고 남부 팔레스타인의 구석진 곳에 피신하였다. 빈곤과 파산에 직면한 그는 자살하기로 작정하였으나 그의 신실한 아내가 그를 설득하여 그만두게 하였다.
팔레스타인에서의 수차에 걸친 절망적인 경험 끝에 그는 로마로 가서 그의 채권자들에게서 몸을 숨기는데 성공하였다. 그는 로마에서 티베리우스 황제의 양자인 가이우스 칼리굴라(Gaius Caligula)의 친구가 되고자 노력하였다가 어느 날 칼리굴라와 함께 마차를 탄 자리에서 만일 황제가 죽는다면 좋을 것이라는 한 마디를 들은 티베리우스가 그를 투옥하였다. 주후 37년에 티베리우스가 죽자 칼리굴라가 계승자가 되자 석방되고 그의 총애를 입어 주후 39년에 왕으로 임명되고 클라우디우스로부터 빌립의 분봉국(tetrarchy)을 떼어 받았으며 얼마 후에 유대와 이두매, 사마리아도 그의 영토가 되었다.
그는 4년간 괄목할 만큼 성공적으로 통치하였기에 유대인, 특히 바리새인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이 사실은 그가 야고보를 죽이고, 베드로도 죽이려는 계획을 세웠고, 초대교회의 여러 지도자들을 괴롭혔으며(행 12:1-3), 44년에 죽었다. 예루살렘에서 그는 유대인의 반발을 살만한 일은 피했다. 예루살렘의 성전 안에 칼리굴라가 자기의 동상을 세우고자 하였을 때 이것을 저지함으로써 그는 예루살렘에서 평화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비록 그가 예루살렘을 흥미있어 했지만 사실상 그는 헬레니즘의 숭배자였고 그리스 로마적 향락에 탐닉하였다. 사도행전 12장에 나오는 것처럼 요한의 형제 야고보를 죽였으며(행 12:2) 베드로를 옥에 가두는(행 12:3-5) 등 기독교인들을 핍박하였다.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않는 교만함으로 인해 심각한 질병을 얻어 주후 44년에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았다(행 12:23).
‘헤롯’이라고만 명명되는데, 야고보를 죽인 왕 헤롯 대왕의 손자이며 아리스토불루스의 아들이다. 헤로디아의 형제이며 헤롯 안디파스의 조카이기도 하다. 성경에서는 헤롯 왕으로 나온다(행 12:1). 그는 로마 황실에서 교육을 받으며 자랐고 글라우디우스(Claudius)가 로마 황제로 등극하는 데 공헌하여 유대와 사마리아를 통치할 권한을 부여받게 되었다. 또한 유대인의 환심을 사고자 율법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 지성소에 황제의 상을 세우지 못하도록 하였다.
▲헤롯 아그립바 2세(Herod Agrippa II, A.D.48-70) :
‘아그립바’로 명명되며, 사도 바울을 재판한 왕 아그립바(Agrippa) 1세의 아들이다. 그의 아버지가 죽었을 때는 17살의 어린 나이여서 그의 연소함으로 인해 이때부터 이 지역은 로마의 영토나 다름없이 지배를 받았다. 부친이 다스리던 지역은 로마 총독이 다스리게 되었다. AD 50년에 레바논 지방의 칼키스(Chalcis)의 지역을 다스리는 왕이 되었으며 이때부터 유대는 로마의 영토나 다름없이 통치를 받다가 그는 갈릴리 부근과 윗 요단을 포함하는 빌립의 이전 분봉국을 얻어 주후 53년경 빌립의 분봉왕 직을 획득하게 된다. 그는 네로에 의하여 갈릴리와 베뢰아의 율리아스란 도시를 다스리게 되어 영토가 확장되었다. 비록 그가 예루살렘에 저택을 갖고 있었지만 왕국의 수도는 가이사랴 빌립보였다. 유대인들은 그가 명목상의 유대인임을 알고는 그를 싫어하였다.
그는 누이 버니게와의 근친 상간을 범하여 유대인들에게 지지를 받지 못했다. 새로 부임한 총독 베스도를 방문하기 위해 누이 베니게와 함께 가이사랴에 오고, 베스도는 아그립바에게 바울에 관한 일을 보고했으며(행 25:13-22), 베스도의 주선으로 바울의 변증을 듣게 되고(행 25:23-27; 26:1-29), 바울에게서 죄를 찾을 수 없었지만 가이사에게 호소하였기 때문에 석방시킬 수 없다고 말하였다(행 26:30-32). 66년에 이 지역에서 누가는 그가 바울의 재판에 참석하였다고 적고 있다(행 24:13-26:32).
그의 통치 기간에 큰 반란인 유대 전쟁(A.D. 66-70)이 발발하였고, 70년까지 정권을 유지하였으나 70년 봄에 로마의 디도 장군에 의해 마침내 예루살렘 성은 무너지게 되었고, 헤롯 왕가의 마지막 통치자로 70년 예루살렘이 정복되었을 때 로마로 가서 로마의 행정관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성전을 중심으로 하던 유대교는 종말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가 주후 100년경에 죽자 헤롯가문은 몰락했다.
'━━ 영성을 위한 ━━ > 신앙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의 지도자 (0) | 2016.04.11 |
---|---|
헤롯 왕의 역사 (0) | 2016.04.08 |
성경의 주요인물2. (0) | 2016.04.05 |
성경의 주요인물1. (0) | 2016.04.05 |
헤롯 왕의 역사 (0) | 2016.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