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 여성100년의 발자취 개신교 전래 이전의 여성의 지위 1.전통사회 호암 문일평에 의하면,여성의 지위가 차차 낮아진 것은 경제의 관계와 아울러 특히 유불의 윤리적 사상이 성생하게 될 때라고 말한다. 1)즉 삼국시대까지는 여성중심의 사회적 유풍이 남아있어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당하였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고대인..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6
lX. 역사에 나타난 한민족의 대륙성과 세계선교 비젼과의 접목 lX. 역사에 나타난 한민족의 대륙성과 세계선교 비젼과의 접목 1. 역사로 본 한민족의 대륙진출 - 고구려,신라,백제,발해 우리 나라의 고대사를 살펴보면 한민족은 결코 한반도에서만 세력을 유지했던 것이 아니라 서쪽으로는 중국대륙과 북으로는 만주삼성과 연해주지역으로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5
VIII.통일 이후의 북한교회의 선교 역활 VIII.통일 이후의 북한교회의 선교 역활 남북이 분단되기 전에 이북에는 2천 6백여 교효ㅚ가 있었으며,특히 평양시는 가장 많은 270교회로 모든 시가운데 가장 많은 교회를 갖고 있었다고 한다. 또 한국 최초에 신학교가 세워져 한국교회의 사역자들을 많이 배출하여 이 나라를 복음화시키며,중국과 러시..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4
VII. 북한선교의 시나리오 VIl. 북한선교의 시나리오 현재 북한은 어느 나라보다도 폐쇄적이며 예측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접근자체가 차단된 상태에서 이러한 정황을 고려하여 선교전략을 세워야 되는 특수성 때문에 이런 가상의 상황을 실정하여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첫째 시나리오는 북한이 개방정책을 실시하여 사회전..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3
VI. 북한 선교의 접근 방안 VI. 북한 선교의 접근 방안 1.북한의 국제사회의 유도와 참여 북한은 이제 좋든 싫든 간에 변화무쌍한 국제사회라는 큰 축에 끼어 함께 돌아가게 될 것이며,그들 자신도 여러분야에 걸쳐 다양한 진출을 모색할 것이다. 예수, 스포츠,종교,학술,외교무대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국제사회에 선을 뵈며 참여..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2
V. 현재의 북한의 종교정책과 그 움직임 V. 현재의 북한의 종교정책과 그 움직임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폐쇠적이며 예측이 어려운 나라이기 때문에 이러한 나라를 대상으로 선교를 한다는 것 자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88년도에 평양에 봉수교회를 세웠고 92년에 2번째로 칠골교회를 세웠다. 그러나 이 두 교회는 개..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1
IV.북한 교회의 수난사와 성도의 신앙 IV.북한 교회의 수난사와 성도의 신앙 1.해방이후부터 한국동란까지의 교회수난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했으나 소련은 김일성을 내세워 조만식장로를 중심으로 한 건국준비위원회를 무시하고,북한에 공산주의 국가를 세우기 위한 소련의 계획을 강압적으로 강행하였다. 여기에 장애가 된다고 여기..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0
한국 기독교회사 - 제6장 한국 프로 테스탄트의 형성과 부흥 제6장 한국 프로 테스탄트의 형성과 부흥 (1) 개국과 미국 선교사들의 내한 의료와 교육 사업(우리 나라는 의료와 교육이 필요함을 느꼈다) 중국에 의료 선교하던 알렌 박사가 1884년 9월 20일에 의료 선교사로 자청해서 우리나라에 옴. 같은해 1884년 10월 4일에 갑신정변이 일어났다. 갑신정변 :우리나라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13
한국 기독교회사 - 제5장 한국 기독교인의 발생과 집회 제5장 한국 기독교인의 발생과 집회 (1)백홍준과 서상륜의 수세와 전도활동. 우장으로 백홍준, 이응찬, 이성하, 김진기 4명이 따라감. 로쓰목사에게 한글을 가르쳐 주고 목사님은 이들에게 보수와 문물을 줌. 처음에는 4명이 잘 안받아 들였다. 왜냐면 그때 서학은 국법으로 사학이라 하여 핍박했기 때..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12
한국 기독교회사 - 제4장 한국의 protestant church 제4장 한국의 protestant church 1. 시대적 상황 우리는 반만년 역사를 가졌으나 근래에 들어 종교적으로 심한 허탈감을 느낌. (고려조 : 불교, 조선조 :유교) 그러나 기독교가 전래되기 약간 이전은 종교적 공백기 였다. 당시 멕킨지는 당시 서울에는 종교적 행사가 없었다고 보고한다. 1866년 전쟁이 일어나..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11
한국 기독교회사 - 제3장 수난 당하는 카톨릭 제3장 수난 당하는 카톨릭 1) 수난을 불러온 요소 a. 조상제사의 문제 유교 사상의 뿌리가 되는 사상은 효이다(효는 백행지본이다.) 그러므로 불효는 일천가지중에 가장 큰 죄이다. 그리고 효중에 큰 부분이 제사이다. 중국의 마테오리치가 중국에서 선교할때 조상제사는 정치적의식이요 기독교는 유교..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10
한국 기독교회사 - 제2장 한국에 있어 카톨릭 제2장 한국에 있어 카톨릭 1) 선교사 들어 오기 전에 나가서 만나서 받아들임. * 병자호란과 소현세자 1636년에 국호를 청이라한 만주의 여진족은 자기들의 요구를 안들어 준다고 10 만을 이끌고 임진란 40여년 만에 한국을 침공. 이때(인조14년)에 우리나라 조종 은 필사의 노력으로 대항 했지만 결국 남..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09
한국 기독교회사 - 제1장 근대 이전의 기독교와의 접촉 제1장 근대 이전의 기독교와의 접촉 1) 당나라를 통한 접촉 AD 431 에 에배소에서 기독론에 대한 신학적 논쟁이 있었는데 그리스도는 인성과 신성을 함께 공유하지만 점진적 동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진다고 했다 가 에배소 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됨. Netorius 퍼시아 에뎃사 AD635년- 인도와 중국을 전파.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08
한국 기독교 약사 한국 기독교 약사 1627. 네덜란드 벨트브레(Jan T. Weltvree) 일본으로 교역차향해중 제주 앞바다에 표류 1653. 하멜(Hendrik Hamel) 일본으로가던중 제주에표류 36명 제주감영에 압송 1816. 맥스윌과 홀 군함을 이끌고 군산부근(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진 갈곳)정박, 조대복에게 영문성경을 전함. 1832. 7. 귀츨라프(네..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07
영지주의(Gnosticism)란 무엇인가? 1. 영지주의(Gnosticism)란 무엇인가? 영지주의 종파는 1세기 말부터 2세기에 걸쳐 지중해 동해안 지역에 널리 퍼져 있었다. 영지주의란 헬라어“지식”을 의미하는‘그노시스’에서 온 말이다. 영지주의자들은 지식을 높여 신앙 위에 두었다. 그들은 헬라의 철학과 동양의 세계관과 기독교 교리를 절충..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6.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