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2. 일반교회 여성(신앙형태 2.) 여성들은 이제 복음을 다른 이웃에게 전파하기도 한다. 그녀들은 자신의 손이 미치는대로 복음을 전한 것이다. "리메례 부인의 젼도함 인쳔 뭇지니 사느 리메례라 하는 부인은 본리 언문도 못하고 문밧 출입을 아니하더니 쥬 밋은지 일년만에 언문을 달통하와 셩경공부를 열심으로 하야 닐(日)헤 한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2.01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2. 일반교회 여성(신앙형태) 2. 일반교회 여성 복음이 이 땅에 전파되고 선교사들과 전도부인들의 노력에 힘입어 이제 예수를 구주로 믿는 여성들이 점점 늘어나게 되었다. 남존여비의 억눌린 상황하에서,호소할 데도 없이 한을 씹으며 어두운 그늘에서 살아가던 여성들은 복음에 매달리게 되었다. 이들이 복음을 받아들이게 된경..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31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1.전도부인 (지위와 문제들) 2. 4) 지위와 문제들 오늘날까지도 여성문제 중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바깥일과 집안 일의 분리는,집안일은 여성의 것이고 바깥일은 남성의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낳게 했고, 그 결과 여성들은 사회적인 미숙아가 되고 남성들은 가정적인 미숙아가 되어, 둘 다 미숙아가 되는 기형적인 상태에 이르게..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30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1.전도부인 (지위와 문제들) 4) 지위와 문제들 1. 전도부인들은 신도들이 늘어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일을 담당하게 된다. 즉 전도하고 책을 파는 일 이외에도 "주일성수""교회 안에서의 행동""가족의 통제와 관리" "위생과 보건"등에 관한 책자를 가지고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로 여성교인들을 교육시켰다.44) 즉 순수한 종교적 전도..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9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1.전도부인(복음이해) 3) 복음이해 조선의 전도부인이 이렇게 고도로 훈련되고 유능하고 다재다능한 교회 일꾼이든지 혹은 겸허하고 쉴 줄 모르는 복음 전도자이든지 간에, 정신은 동일하고 하나님은 두 유형을 동등하게 쓰신다고 헤이즈는 말한다. 이들 두 유형의 전도부인들은 교육의 차이는 있다 하더라도,꼭 같이 선교..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8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1.전도부인(교육과정) 1.전도부인 2) 교육과정 그러나 전도부인들이 기독교의 진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전달했느냐하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있다. 이는 선교사들이 그들의 부족한 언어 능력으로 이들을 얼마나 훈련시킬 수 있었는가 하는 문제와도 결부된다. 1895년 10월 한국선교 10주년 기념선교협의회에서 아펜셀러 여사는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7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1.전도부인(배경 및 입교동기) 1.전도부인 1) 배경 및 입교동기 한국교회의 실질적인 첫 여성지도자들은 전도부인(Bible Woman)들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언어와 풍속에 익숙하지 못한 선교사들을 대신해서 그녀들은 자신들이 이해한 복음을 전파하는 역할을 하였다. 비록 선교사들이 이들의 역량을 어느 정도 인정했는가 하는 것은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6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5. 활동 및 사업 (3) 의료선교) 3) 의료선교 선교사들의 의료사업은 복음을 전파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으로 여겨졌다. 알렌의 경우에서 여실히 드러나듯 의료사업은 복음전파의 선두 주자 노릇을 해내었던 것이다.67) 즉 갑신정변 때 민영익이 받은 상처는 한의사들이 치료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에 알렌은 한의사들을 옆으로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5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5. 활동 및 사업 (전도) 2) 전도 처음부터 개신교는 종교를 전파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신중함을 보인다. 알렌이 닦아놓은 터전 위에 몇몇 성급한 선교사들도 있었지만46) 그런대로 천주교식의 직접적인 전도방법을 비난하면서 교육,의료사업 등을 통하여 기독교를 전파하고자 했다. 스크랜톤 여사는 1886년 보고서에서 "처음에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4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5. 활동 및 사업 (교육) 5. 활동 및 사업 그렇다면 그들이 한국여성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해야 한다고 생각한 일들은 무엇일까? 그들이 기독교의 진리를 전파함에 있어 가장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했을까? 즉 유대 나라에서 시작되어 서구에서 생성되고 발전된 기독교를 한국에 전한 것은 여하튼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3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4. 여선교사들의 한국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 4. 여선교사들의 한국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 언더우드 여사는 조선여자들에 대한 인상을 다음과 같이 적어놓고 있다. "조선 여자들은 대체로 아름답지가 않다. 나는 그들을 누구못지 않게 사랑하고 내 형제처럼 여기는 사람이지만 그 일은 털어 놓아야겠다. 슬픔과 절망, 힘든 노동,질병,애정의 결핍,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2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3. 선교방식 및 자세 3. 선교방식 및 자세 여선교사들과 선교사들의 부인들이 얼마만큼 조선을 파악하고 있었는가 하는 것은 그들의 선교방식과 태도에서 짐작할 수 있다. 그들이 복음을 전파하겠다는 개인적인 열정은 대단했으나 그 열정을 제대로 실현시키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노력을 기울였다고는 볼 수 없다. 예를 ..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1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2. 한국에 온 여선교사들 2. 한국에 온 여선교사들 스크랜톤여사는 한국에 최초로 들어온 여선교사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감리교 여성 해외선교회(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Methodist Church)의 임명을 받고 아들과 함께 한국을 향해 출발하였으나 일본에 잠시 체류하면서 한국어 공부를 하다가 먼저 입국한 아들의 연락을 받고..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20
개신교의 전래와 여성 - 1.개신교의 전래 1.개신교의 전래 기독교가 이 땅에 들어온 계기는 선교사들의 복음전파에 의한 것만은 아니었다. 즉 선교사들이 입국하기 20년 전인 1864년 4월 어느 날 만주에 체재하던 조선 공자의 관가에 있던 사람들에게 세례를 베풀었다는 기록이 있다.1) 그러나 이들과 그 이후의 역사의 연결은 찾기 어렵기 때문에..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9
한국기독교 여성100년의 발자취 3. 개신교 전래 이전의 여성의 지위 2. 새로운 계기들 2) 동학 동학은 경상도 경주의 몰락양반 출신인 제1대 교조 최제우(1824-1864)에 의해 1860년 4월에 창시되었다. 최제우의 아버지는 최옥금이고 유학자로서 경상도 일대에 이름을 떨쳤지만 그는 16세에 부친을 여윈 이래 사는 집도 없이 하는 일도 뜻대로 되.. ━━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2007.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