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5427

기독교여성과 교육 - 3. 개신교와 여성교육 6.

(3) 취업문제 물론 그렇게 남의 첩이 되는 것이 잘하는 일이라는 것은 아니다. 여고 졸업 후 남에게 기생해서 사는 것이 아니라 배운 바를 실천할 수 있는 터를 잡아서 일을 하고 그럼으로써 또한 경제력을 가진다는 것은 여성의 독립적인 삶에 필수적인 조건인 것이다. 여성들 또한 이 경제적 자유의 ..

기독교여성과 교육 - 3. 개신교와 여성교육 5.

이 동맹휴학이 있던 때의 교장은 선우리(Miss V.L. Snook)양이었는데 이렇게 기숙사 규칙을 완고하게 한 이유를 "그리스도의 정신을 체득시키는 동시에...한국인의 고유한 미풍가옥을 살려서 한국의 윤리를 깨뜨리지 않게 하려는 노력도 아끼지 않았던 데"51) 있었다고 들고 있다. 이를테면 숭의학교에 새..

기독교여성과 교육 - 3. 개신교와 여성교육 4.

2) 미션계학교의 문제들 그러나 비기독교인인 학생들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이들에게 어떻게 기독교적 이념을 수용하게 하나 하는 것이 문제로 대두되게 되었다. 1940년대의 감리회보에는 미션계 학교에서 기독교 신자로 개종하는 일이 점점 적어짐에 개탄하고,그런 중에서도 배화여고 학생들이 세례..

기독교여성과 교육 - 3. 개신교와 여성교육 3.

3. 개신교와 여성교육 1) 미션계학교의 설립과 교육내용 "제4학년 - 고등학교 - 1.주형순(Chu Hyong Soon)-기독교 면려회(C.E.Society)의 회장이며 학생회의 능동적인 회장,그녀는 영리하고 정직하고 야심만만한 학생,졸업 후에 그녀가 일본,나고야,긴죠학원(金城學院, Golden Castle)에서 1년 공부해서 교사"자격증"..

기독교여성과 교육 - 3. 개신교와 여성교육 2.

3. 개신교와 여성교육 1) 미션계학교의 설립과 교육내용 2. 임영신은 학교에 가기 위해서 "4주야를 말 한마디 밥 한숟가락 잠 한잠 자지 않고"투쟁하여서 전주 기전 여학교에 갈 수 있었다26)고 한다. 이렇게 여성교육열이 증대해감에 따라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즉 프라이당장이 조선교육협..

기독교여성과 교육 - 3. 개신교와 여성교육 1

3. 개신교와 여성교육 1) 미션계학교의 설립과 교육내용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직접적인 전도활동이 어려웠던 선교사들은 교육사업을 중요한 전도사업의 일환으로 삼았다. 따라서 초기 기독교에서의 교육열은 대단하였다. [대한그리스도인회보]의 한 기사에서는 여성교육을 다음과 같이 강조하였다. "[..

기독교여성과 교육 - 2. 개신교 이외의 새로운 여성교육

2. 개신교 이외의 새로운 여성교육 이러한 상황에 있을 때 1876년의 강화도 조약은 새로운 회오리 바람을 일게 한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즉 개항과 더불어 새로운 물결이 일기 시작했으니,그것은 곧 신교육에 대한 열망이었다.6) 일본을 비롯한 열강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주적 근대화와 부국강..

기독교여성과 교육 - 1. 전통사회에서의 여성교육

1. 전통사회에서의 여성교육 19세기 후반에 근대교육을 시작할 무렵의 조선 왕조의 교육제도는 1894년 갑오경장에 이르기까지 성균관,사학,향교,서원 및 서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 그 각급 교육기관의 교육내용은 주로 유교적 경서와 중국의 역사,문학등이었다. 교육기관의 정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3. 교회 내에서의 지위 2.

3. 교회 내에서의 지위 비슷한 시기에 이 요구를 지지하는 성진중앙교회 김춘배 목사의 글이 [기독신보]에 실렸다. "장로회총회에 올리는 말삼"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이 글은 일대 파문을 일으켰다. 김춘배 목사는 1934년 제23회 총회에 정식으로 제소되었다. 김춘배 목사는 그 당시 일을 다음과 같이 ..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3. 교회 내에서의 지위 1.

3. 교회 내에서의 지위 이러한 교회 여성들은 옛날 할머니들 세대와는 너무나 다른 여성들이다. 이제까지 집안에만 박혀 있던 여성들이 사회적으로 관계를 가지고 일을 하게 되자 사회의 시선은 온통 그녀들에게로 쏠렸다. 이제 이 여성들은 기독교의 복음과 서구문명의 깃발을 든 신여성들로 부각되..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2. 일반교회 여성 (조직활동2.)

(2) 사업 개체교회 여전도회는 전국적인 연합 전도회이든 중요한 사업은 주로 전도사업이었다. 예를 들어 부인전도회는 축호전도를 직접 다니고 전도지와 쪽복음을 나눠주기도 하였으며 돈을 모아 전도인을 고용하여 일하게 하기도 하였다.140) 이들은 전도활동 등 그들의 사업을 위해 날연보제도나 ..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2. 일반교회 여성 (조직활동1.)

3) 조직활동 (1) 조직과정 교회여성들은 성경반이나 사경회, 또는 개교회의 모임 등을 통해서 여성들만의 조직을 만들어 일을 하기 시작한다. 이 일 속에서 우리는 교회여성들의 의식의 내용,의식의 수준들을 고찰할 수가 있을 것이다. 교회여성들의 조직은 비교적 초기부터 눈에 띈다. 1901년 [신학월보]..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2. 일반교회 여성(종교교육 2)

(2) 사경회 이러한 성경반 외에 비정기적으로 열리는 사경회 또한 신앙의 훈련을 위한 훌륭한 방법이었다. 이 사경회 역시 성경공부가 주된 것이었으며 이를 위하여 강사들이 초빙되기도 하였다. 사경회는 아주 초기부터 실시되었다. [신학월보]에 실린 "북디방 녀인 사경회"에 관한 내용을 보면 다음..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2. 일반교회 여성(종교교육 1)

2) 종교교육 교회여성들은 주로 성경반과 사경회를 통하여 신앙적인 훈련과 교육을 받았다. 초기에는 물론 개인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그러나 곧 신자들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그 교육은 집단적으로 하게 되었다. 자신이 신앙하는 것의 구체적인 내용을 배우고자, 사람들이 계속 모이게 되어 교회는 모..

선교초기의 교회여성 - 2. 일반교회 여성 (6) 주체적인 삶의 태도

(6) 주체적인 삶의 태도 이렇게 그녀들은 배운 바를 실천에 옮길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안방에만 갇혀 살던 그녀들은 자신들의 삶에 대해서 어느 정도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협성회보에 보면 "일젼에 졍등교당에서 우리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