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최후의 심판자’가 말한다 “이런 회사가 망한다”
‘후추’처럼 매운 페퍼교수의 충고
인터뷰=정동일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경영학과 교수
박종세 WeeklyBIZ 에디터
■앨빈 토플러와의 논쟁
―2년 전 한국을 방문했을 때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와 논쟁을 벌이셨죠. 당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동전을 던지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하셨는데, 지금도 미래를 예측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신가요.
“사람들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증거가 별로 없습니다.”
―그럼 미래를 예측하려고 하는 것은 완전한 시간낭비라는 얘긴가요.
“아뇨. 미래를 예측하는 데 돈을 지불하면서 즐기려는 수요가 있으니까요. 다만 MIT의 다이내믹스 연구소에 따르면, 미래를 예측하는 데 시간을 낭비하는 대신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빨리 파악해서, 재빨리 대응하고 배우는 게 훨씬 성과가 좋습니다.”
―2년 전 한국에 왔을 때 한국정부가 내놓은 미래 비전에 대해 비판하신 적이 있습니다. 근거가 약하다고…. 정부가 미래 비전을 말하는 것도 부질없는 겁니까.
“비전을 세우는 것은 좋은 거죠. 미래예측(forecasting)과는 다른 겁니다. 미래에 뭐가 되고 싶다는 열망이며, 그곳에 어떻게 도달할 것이며 어떤 단계를 밟아야 하느냐는 것입니다. 매우 중요한 겁니다.”
―이렇게 빨리 변화하는 정보화시대에 한국정부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한국정부는 국민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데 투자해야 하고, 노동시장을 개방해야 합니다. 싱가포르 정부가 효과적인 것은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거시정책을 통해 기업들이 미시적으로 글로벌 마켓에서 보다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일하기 좋은 기업’이 좋은 기업
―좋은 예가 될 수 있는 위대한 회사는 어떤 곳이 있는가요.
“사우스웨스트항공, 싱가포르항공, 구글…. 포천지의 일하고 싶은 회사 100개를 보면 됩니다. 이들은 다른 기업들의 성과보다 훨씬 좋습니다.”
―사람 중심의 전략을 믿고 계신 것 같네요.
“나는 아무 것도 믿지 않습니다. 나는 과학자입니다. 데이터를 들여다볼 뿐입니다. 웹사이트에 가서 가장 일하고 싶은 100대 기업 가운데 첫번째 페이지에 나오는 기업들의 주식을 사서 10년간 들고 계세요. 다른 주식보다 수익률이 훨씬 좋을 겁니다.”
―그럼 심지어 재무보고서 등도 들여다볼 필요가 없다는 건가요.
“물론입니다.”
―한국의 대기업 CEO를 위해서 조언해 주신다면.
“상식을 사용하라는 겁니다. 그런데 이게 드물어요.”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시죠.
“관찰(observation)에 근거하라는 겁니다. 어느 책에서 봤다고, 혹은 GE가 했다고 따라하는 것은 곤란합니다. 사실과 증거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교수님이 말하는 인간중심 전략을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관행을 도입해야 하나요.
“직원들을 훈련시키는 데 투자하세요. 그들이 훈련에서 배운 기술(skill)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훈련이 필요합니까.
“이론훈련(class training)과 현장훈련(on the job training)이 모두 필요합니다. 사람들에게 필요한 기술(skill)을 훈련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일을 주는 겁니다. 그래서 그런 기술을 발전시키고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거죠. 피아노를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피아노를 주고, 연주하게 하는 겁니다.”
―이미 많은 기업에서 하고 있는 것 아닙니까.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기업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관찰해 보세요. 경기가 안 좋을 때 맨처음 하는 일이 훈련비용을 줄이는 거죠. 또 많은 기업들이 직원들에게 ‘뭘 하라’고 지시하는 바람에 직원들이 훈련을 통해 배운 것을 써먹을 기회를 박탈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간단한데, 왜 많은 기업들이 따라하지 못하는 겁니까.
“영문 3글자로 말하면 ‘자아(ego)’ 때문입니다. CEO의 자아 때문입니다. ‘CEO가 그렇게 하라고 했다’ ‘CEO의 결정은 거기에 참여한 수백명의 사람보다 뛰어나다’….”
―이런 강한 자아의 문제가 중간관리자에게도 있는가요.
“물론입니다. 조직의 위부터 아래까지 다 해당됩니다. 이런 문제가 없는 기업이 성공합니다.”
(jspark@chosun.com)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0) | 2018.01.11 |
---|---|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0) | 2018.01.10 |
경영학 ‘최후의 심판자’가 말한다 “이런 회사가 망한다” (0) | 2018.01.08 |
경영학 ‘최후의 심판자’가 말한다 “이런 회사가 망한다” (0) | 2018.01.06 |
이런 상사가 인재를 키운다 (0) | 201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