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많은 CIO들은 걸림돌이 되는 사람 중의 한 사람으로 CEO를 지목하고 있다. 박성현 sh_park@ciokorea.com CEO들은 IT가 비즈니스의 중요 요소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아직까지 IT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CEO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것은 CEO만의 잘못이 아니다. 이런 기업의 CIO들은 자신을 한번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자신의 CEO를 탓하기 전에 자신의 전략적인 사고 능력, ‘내가 얼마나 CEO에게 신뢰를 쌓고 있는가’, ‘CEO에게 IT를 얼마나 이해 시키려고 노력했는가’ 에 대해 고민해 보아야 한다. CIO는 CEO와의 이상적인 관계 정립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 물론 이 해답은 원론적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이 원론적인 요소들을 제대로 실천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이상적인 관계 CEO는 회사의 전체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사람이다. CIO는 이러한 기업의 전략에 맞춰 IT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CIO가 아무리 뛰어난 기획능력을 가졌다 하더라도 CEO에게 최종 결정권한이 있다. 그러나 CEO는 IT에 대해 CIO보다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CIO는 CEO를 제대로 이해 시키고 설득해야만 자신의 IT 전략을 소신 있게 추진할 수 있고, CEO는 이러한 IT전략을 비즈니스에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상호 보완적인 관계, 이것이 바로 CEO와 CIO의 이상적인 관계다. CEO와 CIO는 서로 가지지 못한 요소들을 상호 충족시켜 줌으로써 서로간의 이해를 높이고 자연스러운 관계 증진을 모색할 수 있다. ‘상호 보완적인 관계’, 말은 그럴 듯 하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리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호 보완이란 서로의 부족한 점을 채워줌으로써 같이 발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게 말처럼 쉽지는 않은 것이 현실이다. CIO들에게 ‘CEO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사랑을 받는 법’에 대해 질문 했다. ‘지속적’이라는 것은 그냥 관심이나 사랑을 받는 것 보다 더 어려운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CIO들은 “CEO에게 사랑을 기대하는 자체가 무리다. 지속적인 관심을 받는 것은 불가능 하다. 종종 협박을 해서라면 모를까”라고 대답한다. 하지만 가장 많은 대답은 역시 인간적인 신뢰를 쌓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열심히 일하여 성과를 보인다면 자연스럽게 CEO와와 관계가 원만해 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역시나 원론적인 대답으로 귀결됐다. 그러나 원론적인 해법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들이기는 하지만 가장 지키기 힘든 것들이기도 하다. 신뢰 쌓기 요즘 ‘경기도 안 좋은데 무슨 돈이 그렇게 많이 드는 건지...’라고 생각하는 CEO들이 많을 것이다. 특히 IT와 같이 ROI가 분명하지 않은 분야에 대한 투자는 더욱 그렇다. “CEO는 ‘100을 투자하면 200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라고 말하는 CIO의 말을 믿기보다는 그 사람의 신뢰도에 따라 결정을 내리게 된다.”고 LG유통 왕영철 CIO는 말한다. CEO가 CIO를 신뢰하지 않으면, 길가에 약장수가 ‘이 약 한번 먹어봐.’라고 말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라는 것이다. 꼭 CEO와 CIO의 관계가 아니더라도 ‘신뢰’라는 것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중요한 요소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 신뢰가 없으면 그 관계가 지속되지 못한다. 특히 비즈니스에서는 필수요소이다. 하지만 신뢰는 하루 아침에 쌓이지 않는 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을 것이다. 약장수에게 산 약이 진정 효과가 있는 지는 두고 봐야 알게 되듯이 처음부터 많은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CIO는 자신의 신뢰를 쌓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 전략적인 사고와 기획능력 CIO가 IT전략을 실행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는 바로 CEO의 ‘IT에 대한 전략적 인식’이다. CEO의 IT에 대한 마인드는 CIO가 자신의 IT 전략을 소신 있게 수행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에 앞서 CIO들의 전략적인 기획능력이 요구되어야 한다. CEO가 IT를 전략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해도 CIO가 그에 상응하는 IT 전략을 내놓지 못한다면 그 CIO는 아마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CEO는 성과위주로 판단을 한다. 때문에 전략적인 기획능력과 그 결과에 의한 성과는 CIO와 CEO의 관계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능력 있는 CIO가 CEO에게 인정 받는 것은 당연하다. 신한카드 심우엽 CIO는 “CIO에게는 IT의 기술적인 측면보다는 비즈니스 측면의 전략적인 기획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전략적인 사고와 기획능력은 비즈니스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요소다. 능력 있는 CIO는 미리 자신이 IT 전략 뿐만 아니라 경영전략에 대해 예측하고 비전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전략적인 사고와 기획능력이 없는 CIO도 단기적으로는 CEO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IT 비용을 아껴쓰고 CEO의 지시대로 잘 따르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비위 맞추고 3년 후에 나가느냐, 소신 있게 밀어붙이다 바로 나가느냐, 아니면(전략적인 기획이 인정 받은 3년 후) 더 오래 재직하느냐의 차이다.”라고 대신증권의 문홍집 CIO는 말한다. 당장의 관심과 사랑보다는 전략적 기획능력과 추진력 있는 CIO가 장기적으로 인정 받게 된다는 것이다. 유사시를 대비하자 CIO가 관심을 받을 때는 평상시, 즉 평온한 시기가 아니라 문제가 발생했을 때이다. 한 CIO는 농담과 진담을 섞어 가며 ‘IT에 관심 없는 CEO의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서 시스템을 살짝 다운 시켜주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라고 말한다. CIO는 아무 일이 없을 때, 유사시를 대비해야 한다. 안정성과 보안에 철저해야 하는 것이다. 유사시에 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준비된 CIO는 분명 CEO에게 주목 받는다. 때문에 자사의 시스템 안정성에 대해 다시 한번 주의를 기울여보는 것이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능력 신뢰가 가는 사람,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이는 커뮤니케이션이다. 말을 해봐야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이다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사람이 능력이 아무리 출중하다 해도 그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원만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그 사람은 인정 받을 수 없다. 그렇다면 CIO가 갖추어야 할 커뮤니케이션 능력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무엇보다도 CIO는 CEO의 눈높이로 커뮤니케이션 해야 한다. CIO는 항상 비즈니스 마인드로 IT 전략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야 한다. 비즈니스에 IT를 대입해서 말하는 것은 CEO가 IT를 이해하는데 매우 도움이 된다. 또한 CEO와 CIO는 전략 방향에 대한 정확한 공유가 필요하다. IT 전략을 세우는 데 사전에 이러한 공유가 없으면 CIO가 IT 전략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말로써 IT를 이해 시키려 노력하는 것 보다는 그 사람과 술을 한잔 마시는 것이 낫다.’ 는 말이 있다. 한국 사회는 아직까지 정서적인 교감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부분으로 꼽힌다. 때문에 특히 이러한 정서적인 교감이 부족한 CIO들은 이러한 ‘한국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도 필요하다. ‘CEO에게 ‘NO’라고 말하기’에 대한 팁도 필요하다. 무조건 ‘NO’라고 대답하기 보다는 ‘김 과장에게 알아보라고 하겠습니다.’ 혹은 ‘컨설턴트를 데려와 보겠습니다.’ 등과 같은 식으로 대답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CEO는 ‘NO’라는 대답보다는 이런 대답을 하는 CIO에게 반응을 보일 것이다. 대인관계의 승리를 위해서는 자신이 통제를 할 수 없는 문제에 관해서는 ‘웃으면서 진지하고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싫더라도 기꺼이 인정해 가면 사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때로는 CEO의 제안이 터무니없고, 그들과 논쟁하고 싶더라도 CIO는 보다 효과적이고 영향력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관계 만들기
어떤 것이 CEO와의 합리적인 관계이고,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CIO들은 무슨 노력을 기울여야 할까.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가 되기 위한 50가지 Leadership (0) | 2017.04.13 |
---|---|
변화 관리와 혁신 (0) | 2017.04.11 |
불황을 딛고 성공하기 위한 자기계발 키워드 365일 (0) | 2017.04.09 |
리더가 저지르기 쉬운 10가지 실수 (0) | 2017.04.08 |
감각 마케팅의 10대 원칙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