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 관리와 혁신
오늘은 리더십 및 조직문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멘토링(mentoring)이란 멘토(menotor, 도움을 주는 사람)와 멘티(mentee, 도움을 받는 사람)가 합의된 목표 아래 상호인격을 존중하며 일정 기간에 멘티의 잠재능력을 개발해 핵심인재로 육성하는 체계적인 활동을 의미하며, 멘토링 리더십이란 멘토의 자격을 가진 리더가 멘토링 활동을 통해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추구하는 능력을 말한다. 어떤 사람은 직장에서 신바람 나게 일을 하는 반면 어떤 사람은 직장 생활을 지긋지긋하게 여긴다. 전쟁터와도 같은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신바람 나게 일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최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많은 기업들이 멘토링을 채택하고 적잖은 성과를 내고 있다.
너그럽게 감싸고 감동으로 이끌어라
멘토형 리더가 가장 중시하는 점은 인간존중의 이념이다. 멘토와 멘티가 서로 존중하는 가운데, 직장에서의 의문점이나 고민을 나눔으로써 멘티의 스트레스를 없애주는 것이 멘토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멘토는 스트레스를 녹여주는 따뜻한 화롯불이 돼야 한다. 명장에는 지장, 덕장, 용장 등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이중 멘토형 리더에게 가장 적합한 유형은 덕장이라고 할 수 있다. 21세기는 봉사하고 헌신하는 리더가 각광받는 시대인 것이다.
또 멘토는 멘티에게 감화력을 발휘해야 한다. 멘티가 멘토의 언행을 보고 감동을 받아 변화한다면 그것은 최고의 멘토링이 될 것이다. 멘토는 멘티의 가슴속으로 파고들어 감동을 이끌어내는 역할모델이 돼야 한다. 멘토는 헌신적인 봉사로 멘티의 가슴을 데워야 한다. 멘티의 가슴을 데우며 자신의 몸과 마음을 바쳐 헌신하는 것도 멘토가 지녀야 할 중요한 역량중의 하나다.
독서를 통해 머리를 채워라
훌륭한 멘토에게 지식은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그렇다면 지식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을까?
지식 개발의 첩경은 독서다. 책에는 수년 혹은 수십년 간의 저자의 경험이 녹아있다. 독서는 짧은 시간을 투자해서 저자의 경험을 얻는 것이니 지식 개발의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훌륭한 사람 중에는 독서광이 많다. 피뢰침을 발명한 프랭클린은 “지갑을 비워 배만 채우지 말고 머리를 채워라. 이것이 최대의 투자”라고 했다. 존경 받는 멘토 중에 책 읽기를 게을리하거나 그저 시간이 날 때 혹은 마음의 여유가 날 때 하는 취미로 삼았던 사람은 없다. 독서는 그들이 삶의 일부였다.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켜라
매일같이 계속되는 치열한 생존 싸움에서 조직의 구성원이 아프다면 싸움에서 승리할 수 있겠는가? 이와 마찬가지로 건강한 정신과 건강한 신체를 유지해야 효과적인 멘토링을 추진할 수 있는 것이다.
정신적인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우선 매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자. 현재의 자신의 상태에 대해 감사하고 또 감사하는 마음으로 임하면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신체적 건강은 정신적 건강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정신적, 신체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것 외에 영적 건강을 유지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된다. 영적 건강은 영감을 주는 책을 읽거나 명상을 하거나 혹은 기도를 하면서 유지될 수 있다.
자기를 철저히 관리하라.
훌륭한 멘토는 뛰어난 판단력과 절제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판단력이란 생각의 여러 요소들을 적절하게 검토할 때 생긴다. 따라서 판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검토할 것들을 모아 여러 종류의 생각을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절제력은 충동이나 욕망에 따라 반응을 선택하지 않고 잠시 멈추어 서 생각하는 능력이다. 담배 한대만 더, 술 한 잔만 더, 5분만 더 자고 싶다는 자신의 욕망에 대해 잠시 멈추고, 생각을 해 보고 나서,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라.
칭찬하고 축하해라
축하는 사람들에게 승리자의 기분을 느끼게 하며 인정과 긍정적 에너지의 분위기를 만들어낸다존경 받는 멘토는 멘티나 어떤 구성원을 만나든지 언제나 칭찬과 격려할 거리를 찾아낸다. 부하직원들은 자신이 잘하고 있지만 무엇을 잘하고 있는지 모를 수가 있다. 멘토형 리더는 바로 그 잘하는 부분을 찾아내 알려줘야 한다. 그렇게 하면 그 사람의 잠재역량의 싹이 돋아나 열정이 생기고, 열정은 또 신바람으로 연결되고, 결국 조직의 발전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출처//문화일보 2006.01.10자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는 이사회 결정을 실행하는 최고경영책임자 (0) | 2017.04.14 |
---|---|
CEO가 되기 위한 50가지 Leadership (0) | 2017.04.13 |
관계 만들기 (0) | 2017.04.10 |
불황을 딛고 성공하기 위한 자기계발 키워드 365일 (0) | 2017.04.09 |
리더가 저지르기 쉬운 10가지 실수 (0) | 2017.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