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안 따라간 '깜깜이' 방북...특사단 활동 북한 매체 통해 확인해야
입력 : 2018.03.05 16:09
대북 특별사절단이 5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에서 북한으로 출발했지만, 우리 취재진을 동반하지 않아 특사단 활동 상황은 이르면 5일 밤 청와대를 통해 알려질 것으로 보인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가정보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대북 특사단은 이날 오후 1시 39분에 성남 서울공항에서 평양 순안공항으로 가는 전용기에 탑승했다.
이어 1시 41분 대북 특사단을 태운 전용기의 출입문이 닫혔다. 그러나 특사단 출국을 취재하기 위해 현장에 나간 취재기자는 비행기에 탑승하지 못했다. 기자들은 특사단을 배웅나온 조명균 통일부장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등과 함께 전용기 밖에서 출입문이 닫히는 것을 지켜봐야했다.
이번 대북 특사단을 동행 취재하는 우리측 언론은 없다. 청와대는 물론 통일부 등 관련 부서에서도 특사단 동행 취재를 하지 못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전례가 없고, 외교안보사안으로 취재가 어렵다는 점을 양해바란다”고 밝혔다. 대신 특사단의 활동상황을 청와대의 사후브리핑으로 언론에 전하겠다는 입장이다. 특사단은 북한에 가서도 청와대 등과 연락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갖고 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용 수석특사 등 대북 특사단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면담 결과와 현장의 분위기는 물론이고, 면담 일정 조차도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에야 국내에 알려질 것으로 보인다. 특사단의 활동 상황을 우리 정부측 설명과 북한 관영매체에만 의존해 확인해야 하는 ‘깜깜이' 방북인 셈이다.
그러나 정부의 취재 제한은 북한이라는 취재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해볼 때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 북한은 취재진 접근이 원천적으로 제한돼 있고, 현지 변수가 지나치게 많기 때문이다.
대통령 특사를 파견하는 주요국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경우는 현지에 특파원 등 주재기자가 파견돼 상시적인 취재가 이뤄지고 있고, 별도의 추가 취재진 파견도 자유롭다. 이와 대조적으로 북한은 남북한 양쪽 정부 모두에게 허락을 받지 않고는 취재는 물론 입경도 불가능하다.
5일부터 6일까지 진행되는 대북 특사단의 일정도 지나치게 유동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보도를 위한) 영상과 사진, 과거형 일정 팩트 등은 (5일) 저녁 언제가 될 지 모르지만 대변인 브리핑을 하는 것이 목표"라면서도 “특별사절단이 올라가 북측과 실무적 협의 후 나올 결과"라고 했다.
당장 이날 평양 순안공항에 마중나오는 북한측 인사가 누구인지, 그리고 같은 날 오후 회담과 만찬 참석자는 물론 시간 및 장소도 짐작만 할 뿐, 현지에 도착해서야 확인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반면 북한의 ‘대남 특사단'이었던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등 고위급 대표단은 방남 기간 북한 취재진과 동행했다. 북한 기자들은 지난달 9일부터 11일까지 방남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함께 다니며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취재했고, 노동신문 및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은 이를 보도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가정보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대북 특사단은 이날 오후 1시 39분에 성남 서울공항에서 평양 순안공항으로 가는 전용기에 탑승했다.
이어 1시 41분 대북 특사단을 태운 전용기의 출입문이 닫혔다. 그러나 특사단 출국을 취재하기 위해 현장에 나간 취재기자는 비행기에 탑승하지 못했다. 기자들은 특사단을 배웅나온 조명균 통일부장관,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등과 함께 전용기 밖에서 출입문이 닫히는 것을 지켜봐야했다.
이번 대북 특사단을 동행 취재하는 우리측 언론은 없다. 청와대는 물론 통일부 등 관련 부서에서도 특사단 동행 취재를 하지 못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전례가 없고, 외교안보사안으로 취재가 어렵다는 점을 양해바란다”고 밝혔다. 대신 특사단의 활동상황을 청와대의 사후브리핑으로 언론에 전하겠다는 입장이다. 특사단은 북한에 가서도 청와대 등과 연락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갖고 가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용 수석특사 등 대북 특사단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면담 결과와 현장의 분위기는 물론이고, 면담 일정 조차도 상당한 시간이 지난 뒤에야 국내에 알려질 것으로 보인다. 특사단의 활동 상황을 우리 정부측 설명과 북한 관영매체에만 의존해 확인해야 하는 ‘깜깜이' 방북인 셈이다.
그러나 정부의 취재 제한은 북한이라는 취재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해볼 때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 북한은 취재진 접근이 원천적으로 제한돼 있고, 현지 변수가 지나치게 많기 때문이다.
대통령 특사를 파견하는 주요국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경우는 현지에 특파원 등 주재기자가 파견돼 상시적인 취재가 이뤄지고 있고, 별도의 추가 취재진 파견도 자유롭다. 이와 대조적으로 북한은 남북한 양쪽 정부 모두에게 허락을 받지 않고는 취재는 물론 입경도 불가능하다.
5일부터 6일까지 진행되는 대북 특사단의 일정도 지나치게 유동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보도를 위한) 영상과 사진, 과거형 일정 팩트 등은 (5일) 저녁 언제가 될 지 모르지만 대변인 브리핑을 하는 것이 목표"라면서도 “특별사절단이 올라가 북측과 실무적 협의 후 나올 결과"라고 했다.
당장 이날 평양 순안공항에 마중나오는 북한측 인사가 누구인지, 그리고 같은 날 오후 회담과 만찬 참석자는 물론 시간 및 장소도 짐작만 할 뿐, 현지에 도착해서야 확인할 수 있을 것으 로 보인다.
반면 북한의 ‘대남 특사단'이었던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등 고위급 대표단은 방남 기간 북한 취재진과 동행했다. 북한 기자들은 지난달 9일부터 11일까지 방남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함께 다니며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취재했고, 노동신문 및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은 이를 보도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3/05/2018030501850.html
'━━ 지성을 위한 ━━ >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지문의 뉴스로 책읽기] 박근혜 속죄양 만들기? (0) | 2018.03.06 |
---|---|
안희정 성폭행 후, '스위스 풍경만 기억하라' (0) | 2018.03.05 |
[인터뷰: 메리 베스 롱 전 국방부 차관보] “한국 정부, 북한 위협 직시해야…인내의 시간은 끝났어” (0) | 2018.03.05 |
[사설] 中이 바다 하늘 넘나들어도 몸 낮추는 정부 (0) | 2018.03.04 |
최근 검찰의 박근혜대통령에 대한 구형 논고문을 읽고... (0) | 201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