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꼭 알아야 할 기독교 핵심 교리 - 데릭 프라임

Joyfule 2021. 8. 1. 23:35



꼭 알아야 할 기독교 핵심 교리 - 데릭 프라임 

그리스도의 신성

1. 그리스도 자신이 신성을 주장하셨다
 (1) 그리스도는 종종 공개적으로 자신이 메시아라고 주장하셧다(마 14:61-64; 눅 22:66-71; 요 4:25-26).
 (2) 메시아이심을 주장하신다는 것은 곧 신성을 주장하신다는 것이다(시 2:6-12; 사 9:6; 슥 13:7).
 (3) 유대인들은 예수님이 메시아라는 주장에 함축된 의미를 인식했다(요 10:33).
 (4) 그리스도는 자신에 대해 독특한 주장을 하셨다(요 6:35, 8:12, 10:7, 9, 10:11, 11:25, 14:6, 15:1).
 (5) 그리스도는 자신이 아버지와 하나라고 주장하셨다(요 10:30. 참고, 5:18).
 (6) 그리스도는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라는 도마의 선언을 수용하셨다(요 20:28-29).

2. 그리스도의 생애에 일어난 모든 일이 그리스도가 신성에 대해 주장하신 것을 실증하는 데 도움이 된다
 (1) 그리스도의 초자연적인 임신과 출생에 대하 증거가 있다(마 1:18-25; 눅 1:26-56, 2:1-40).
 (2) 그리스도의 죄가 없는 생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증언이 있다.
  ① 그리스도는 전혀 죄를 범하지 않으셨고, 그리스도의 입술에는 거짓이 없었다(벧전 1:22).
  ② 그리스도는 완전한 인간만이 감히 던질 권리가 있는 “너희들 중에 누가 내가 죄를 지었다고 증명할 수 있겠는가?‘라는 질문을 하실 수 있었다(요 8:46).
  ③ 빌라도의 아내는 그리스도를 ”저 무죄한 사람“이라고 불렀다(마 27:19).
  ④ 가룟 유다는 ”내가 무죄한 피를 팔았다“라고 말했다(마 27:4).
  ⑤ 죽어 가는 도둑은 ”이 사람이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고 선언했다(눅 23:41).
  ⑥ 십자가 처형을 담당한 로마 병정은 ”이 사람은 정녕 의인이었도다“라고 선언했다(눅 23:47).
  ⑦ 그리스도는 아무리 다양한 도발을 당해도 악하게 대하지 않으셨다(벧전 2:23).
 (3) 그리스도의 현저한 통찰력과 지식에 대한 증거가 있다.
  ① 그리스도는 각 개인에 대한 증언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들으실 필요가 없었다. 그리스도는 사람이 실제로 어떤지를 말씀하실 수 있었기 때문이다(요 2:24-25).
  ② 그리스도는 처음부터 배반자를 아셨다(요 6:70-71, 13:10-11)
  ③ 그리스도는 베드로가 자신을 부인하고, 뉘우칠 것을 아셨다(눅 22:31-34).
 (4) 그리스도의 독특한 가르침에 대한 증거가 있다.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들은 사람은 모두 그 권위에 놀랐다(마 7:28-29; 요 7:45-46). 예를 들면 예수님은 ”내가 너희에게 진리를 말한다“고 말씀하신 반면, 선지자들은 ”이것은 여호와의 말씀이다“(겔 21:9)라고 말했다.
 (5) 그리스도가 행하신 기적들에 대한 증거가 있다.
  ① 그리스도가 자기 자신의 유익을 위해, 혹은 과시용으로 기적을 행하신 적은 없다(마 4:5-7).
  ② 그리스도의 기적을 목격한 사람들은 자신이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있다고 느꼈다(막 1:27; 눅 5:26, 7:16, 9:43).
  ③ 그리스도의 기적들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요 20:30-31). 유대 귀신 축출자들이 여호와의 이름에 호소한 반면 예수님은 명령하셨고, 악령들과 바람과 물결이 복종했다(막 1:27, 4:41).
 (6)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압도적인 증거가 있다.
  ① 모든 복음서 기자가 그리스도의 부활을 자세히 기록했다(마 28:1-20; 막 16:1-20; 눅 24:1-53; 요 20:1-21).
  ② 베드로와 바울이 각각 서신서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을 언급한다(벧전 1:3; 21; 고전 15장).
  ③ 사도의 설교가 그리스도의 부활을 그리스도의 신성의 주요 증거로 역설했다(행 2:32, 3:15, 26, 4:33).
  ④ 성부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부활에 의해 그리스도가 아들이심을 선언하셨고, 그렇게 해서 그리스도가 스스로를 두고 하신 모든 주장을 승인하셨다(롬 1:4).

3. 그리스도 자신의 주장과 독특한 생애 및 세례 요한을 포함한 선지자들의 증언이 그리스도의 신성을 증명한다
 (1) 예언 시들이 신적인 메시아를 언급했다(시 2:6-12. cak고, 히 1:5; 시 45:6-7. 참고, 히 1:8-9; 시 110:1. 참고, 히 1:13).
 (2) 이사야는 기묘자, 모사, 전능하신 하나님, 영존하시는 아버지, 평강의 왕이라는 이름의 메시아를 언급했다(사 9:6).
 (3) 예레이먀는 메시아가 ”여호와 우리의 공의“로 불릴 거라고 선포했다(렘 23:5-6. 참고, 고전 1:30).
 (4) 미가는 메시아를 그 근본이 아주 먼 옛날에, 영원에 있는 분으로 지칭한다(미 5:2).
 (5) 스가랴는 하나님이 메시아를 자신의 짝, 즉 자신과 친밀하신 분으로 언급하신다고 기록한다(슥 13:7).
 (6) 세례 요한은 자신의 사역을 주의 길을 곧게 하는 것이라고 기술할 뿐만 아니라(요 1:23. 참고, 사 40:3),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증언했다(요 1:34).

4.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사도들의 증언도 있다
 (1)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 16:16)라는 베드로의 고백은 사도들이 영적 통찰력을 가지게 되는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2) 사도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살면서 그리스도의 영광을 보았다. 그 영광은 아버지의 독생자에 걸맞은 영광이었다(요 1:14; 요일 1:1).
 (3) 요한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다음과 같이 증언한다.
  ①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요 1:14. 참고, 1:1-4).
  ② 요한은 이사야가 목격한 그리스도의 영광을 주의 영광과 동일시한다(사 6:1-3; 요 12:41).
  ③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진리는 요한에게 가장 근본적인 진리였다(요 20:31; 요일 5:20).
 (4) 베드로는 그리스도의 신성을 다음과 같이 증언한다.
  ① 베드로는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성부 하나님의 증언을 들었다(벧후 1:16-18).
  ② 베드로는 성부, 성자, 성령이라는 삼위일체적인 용어로 말한다(벧전 1:2).
 (5) 바울은 그리스도의 신성을 다음과 같이 증언한다.
  ① 바울이 회심한 후에 맨 처음 선포한 진리는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이었다(행 9:20).
  ② 바울은 하나님이 교회를 “자기 피로 사셨다”고 선언했다(행 20:28).
  ③ 그리스도 안에는 신성의 모든 충만이 육체적인 형태로 거하신다(골 2:9).

5. 마지막으로 성경 자체의 증언이 있다
 (1) 구약 성경에서 하나님을 언급한 내용이 신약 성경에서 그리스도에게 적용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① 그리스도는 주님이시다(사 40:3. 참고, 마 3:3).
  ② 그리스도는 처음이요 마지막이시다(사 44:6; 계 1:17).
  ③ 그리스도는 심판자시다(전 12:14. 참고, 고전 4:5).
 (2) 하나님의 사역들이 그리스도께로 돌려진다.
  ① 창조 사역이 그리스도의 사역이었다(요 1:3; 고전 8:6; 골 1:16; 히 1:2).
  ② 섭리에서 보존 사역이 그리스도의 사역이다(히 1:3).
 (3) 하나님께만 해당되는 속성들이 그리스도에게도 돌려진다.
  ① 그리스도는 어디에나 계신다(마 28:20).
  ② 그리스도는 전능하시다(빌 3:21; 계 1:8).
  ③ 그리스도는 모든 것을 아신다(요 16:30, 21:17; 계 2:23).
  ④ 그리스도는 변하지 않으신다(히 13:8).
  ⑤ 그리스도는 죄를 용서하신다(막 2:7, 10; 골 3:13).

6. 결론
 (1) 그리스도의 신성은 하나님의 사랑에 놀라운 빛을 던진다. 하나님이 친히 인간을 구속하러 오셨기 때문이다(고후 5:19).
 (2) 그리스도는 우리의 예배를 받으실 만하다. 하늘의 모든 존재와 더불어(계 5:11-12) 모든 하나님의 천사가 그리스도를 경배하기 때문이다(히 1:6).
 (3) 그리스도의 죽음은 그리스도의 신성 덕택에 독특한 가치를 띤다. 그리스도의 죽음 덕택에 우리가 구원을 받고 하나님께 돌이킬 수 있고, 모든 악에서 해방될 수 있기 때문이다(딛 2:14; 계 5:9).
 (4) 그리스도는 기독교인의 신앙 대상이시다. 그래서 사람들이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을 얻도록 도전받는다(행 16:31).
 (5)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성이란 진리 위에 건설된다(마 16:18).
 (6) 기독교인이 그리스도와 맺는 관계는 그들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실재다(빌 3: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