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iritual leadership of Nehemiah
김 승 곤
3.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특징
1) 느헤미야의 일반적 리더십의 자질
1] 대인관계의 기술
영적 지도자로서 느헤미야는 사람을 다루는 방법을 알았다. 느헤미야가 인적 문제를 다루는 솜씨를 보면 연설 전반에 흐르는 동료 의식, 예루살렘이 처한 곤경의 심각성에 대한 인정, 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호소, 개인적 간증들로 인하여 사람과의 문제를 자기를 예루살렘 거주민의 한 사람으로 여길 수 있도록 행동하고자 하는 자신의 의도를 잘 나타냈었다. 이렇게 사람들을 이끄는 지도력은 사람의 처한 곤경의 심각성을 인정하고 대인관계의 기술을 소유해야 하는 것이다.
2] 조직력
영적 지도자로서 느헤미야의 조직력은 대단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유능한 감독자로서 느헤미야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며 행동하는 사람이었다. 일단, 왕으로부터 자신의 계획에 대한 승인을 얻자마자 필요한 사람과 물자를 얻어 내어 조직적으로 일을 하였다. 안전한 여정을 마련해 놓고 더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많은 인력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방대한 공공사업 계획을 앞에 놓고 운영하기 좋도록 작은 단위로 쪼개 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느헤미야가 조직의 질서 정연함을 이룬 요소들은 기도 중에 미리 계획하고 (느 2:1-10) 사전에 모든 상황에 대해 세심한 조사를 했으며(느 2:11-16)일을 맡기기 전에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느 2:17-18).
3] 의사소통의 기술
지도자에게 의사소통의 기술은 과업 성취의 열쇠이다. 특별히 인간관계의 이론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리더십 이론에서 의사소통의 기술은 지도자와 성원들과 함께 과업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지도자와 성원간의 정서적 감정적 동질감은 바로 의사소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느헤미야는 백성들이 성벽 중건의 과업에 기꺼이 참여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기술을 소유했다. 그러므로 현명한 지도자인 느헤미야는 칭찬할만한 곳에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리하여 의사소통을 정기적으로 계획된 통로와 분명하게 알려진 통로를 통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과업을 성취할 수 있었다.
2)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자질
1] 믿음과 기도
느헤미야는 기다리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첫 번째 자질은 무엇보다도 믿음의 기도(느 1:1-11)라고 할 수 있는 자질이다. 찰스 스윈돌이 느헤미야를 무릎으로 일한 지도자라고 말 한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그의 기도는 민족의 상황에 관심을 갖는 기도(느 1:1-3)였다. 느헤미야는 유다를 다녀온 사람들에게 남아있는 자들과 예루살렘 형편을 물었다. 자기는 수산 궁에서 잘 살고 있지만 내 민족 내 나라에 깊이 관심을 쏟았던 것이다. 그리하여 느헤미야가 백성들이 환난과 능욕을 당하고 예루살렘이 훼파되고 성문들은 소화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근심하였던 것이다. 느헤미야는 민족을 위해 금식 기도를 하였다. (느 1:4-6) 느헤미야는 민족의 슬픔을 알고 하나님 앞에서 금식 기도하며 울고 슬퍼하였다. 느헤미야는 자신이 진정 의지해야 할 분, 하나님 한 분밖에 의지하지 않았다. 모세처럼 바울처럼 하나님의 생명책에서 자신의 이름이 흐려질지라도 동족을 구원해 주실 것을 구했다. 이와 같이 성도는 약속하신 소망의 말씀을 붙잡고서 택한 백성이 사명을 감당해 달라고 기도해야 한다. 느헤미야는 민족의 도구가 되기 위한 기도(느 1:11)를 하였다. 그는 민족의 문제가 남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믿음으로 기도한 것이다. 그리하여 우주를 주관하시는 하나님께 민족을 위하여 간절한 맘으로 기도하여 이 민족의 도구로 쓰임 받게 되었다.
2] 정직과 공의
느헤미야는 매사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의 공의를 실현할 수 있는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
느헤미야는 왕을 대면한 자리에서 두 가지 면에서 자신이 정직성을 보였다. 유다에 거하는 모든 지도자들과 백성들이 다 부패하여 허다한 죄악 속에 거할 때 느헤미야는 분연히 일어설 줄 아는 용기 있는 신앙인이었다. 그는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정직했고 의로우시며 불의를 행치 않으시고 자기의 공의를 나타내시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의와 공평을 행하는 것을 제사 드리는 것보다 더 기쁘게 여기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공의로운 지도자였다. 하나님께서는 사사로운 감정이나 이해에 치우치지 않고 공평을 지키며 의를 행하는 지도자의 자질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정직과 공의로 백성들을 다스린 느헤미야는 결국 하나님의 뜻 가운데 성공적인 지도력을 발휘하고 신앙부흥운동을 전개하여 큰 성과를 거두게 되었던 것이다.
3] 온유와 겸손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1세의 신임을 받아 술 맡은 관이 되어 영예롭고 풍족한 생활을 누렸다. 그러나 그의 마음은 언제나 예루살렘과 환난 가운데서 처해있는 동포에게 있었다. 그는 출세했으나 환란 중에 있는 동포들을 잊지 않고 겸손함을 보였다. 느헤미야는 불의를 꾸짖고 의를 선포함에 있어서 온유하고 겸손의 미덕을 보인 영적 리더십의 자질을 가지고 있었다. 독선적이며 명령자가 되기 쉬운 지도자의 입장을 지혜롭게 지킨 지도자였다. 느헤미야는 마치 왕 앞에 부복하여 두려운 마음으로 아뢰는 신하처럼 항상 겸손한 자세로 기도를 드렸다. 그에게는 자기의 육체를 신뢰하지 않고 하나님의 거룩하심 앞에서 무릎을 끊으며 항상 말씀을 앙망하는 겸손 리더십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패역한 백성들을 감화시키며 그들로 하여금 올바른 신앙과 진실한 생활을 회복할 수 있도록 이끌었던 것이다. 영적 리더십에서 겸손의 자질은 대단히 중요하다. 예수님도 온유하고 겸손한 영적 리더십을 가지고 있었기에 완전한 영적 리더십의 모델이 되신 것이다. 그러므로 겸손한 맡믄 안전한 투자는 없다고 하였다. 겸손의 결과는 엄청난 축복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겸손한 성도를 친히 높여 준다(약 4:10)
3)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특징
켐벨은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21가지로 열거하고 있다.
① 합당하고 실현가능성 잇는 목표를 세웠다.
② 선교의 감각을 가지고 있었다.
③ 자발적으로 일에 몰두하는 성향을 갖고 있었다.
④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그가 우선해야 될 것이 무엇인지 재정리했다.
⑤ 하나님께서 역사하시는 시간을 인내를 갖고 기다렸다.
⑥ 그의 상급자에게는 존경을 표했다.
⑦ 어려운 시대에 기도했다.
⑧ 요령 있게 그리고 공손하게 자신의 요구를 간구했다.
⑨ 그가 앞으로 일을 해나갈 때 무엇이 필요한지를 깊이 생각하고 준비했다.
⑩ 적절한 통로를 통해서 나아갔다.
⑪ 3일 동안 시간을 내서 휴식하고 기도하고 계획을 세웠다.
⑫ 먼저 상황 파악에 힘썼다.
⑬ 예루살렘을 둘러보고 나서 어떠한 문제들이 있는지 파악한 다음,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렸다.
⑭ 자신을 백성의 한 사람으로 여기고 그렇게 행동했다.
⑮ 백성들에게 타당하고 성취 가능한 목표를 제시했다.
그들이 세운 계획에 하나님께서 함께 하신다는 것을 백성들에게 확신시켰다.
장애물에 부딪힐 때 확고한 자세를 보여 주었다.
장애물들에 부딪힐 때마다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대적들과 논쟁하지 않았다
대적들의 반대에 부딪힐 때에도 결코 낙심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총독으로서 자신의 권위를 과감하게 사용했다.
그러나 느헤미야가 보여준 리더십의 특징은 한마디로 이기심을 극복한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느헤미야가 보여준 리더십의 특징은 하나님이 세운 이기심을 극복한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세우신 통치자는 충성된 사람이어야 하고, 주를 경외하는 사람이어야 하며, 겸손한 사람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0) | 2016.09.09 |
---|---|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0) | 2016.09.08 |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0) | 2016.09.06 |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0) | 2016.09.05 |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0) | 2016.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