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리더의 자질1.
개인적인 역량, 삶의 조건, 특정한 직위, 권한.. 이런 것들로 리더가 될 수 있을까?
저런 것들로 리더가 될 수 있다면, 세상에는 리더들이 무수히 많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를 리더로 만들어 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간디, 마더 테레사, 바울, 슈바이처...
이들은 한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한 순간의 사건에 의해 그들의 삶의 목적이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마치 양자도약(Quantum leap)에 비견되는 리더십 도약(Leadership leap)의 순간이라 부를 만한 행동을 보여주었다.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다가 어떤 극적인 사건에 의해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극적 변화는 결코 우연이나 요행의 산물이 아니다.
사실, 우연히 가져다주는 극적 변화란 허구이고 신화이며 신기루일 뿐이다.
우리가 목격하는 리더의 극적 변화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고의 세월과 끝없는 정신적 사투가 어느 날 임계점에 다다르고 마침내 극적 변화를 일으킨 것이다. 그들은 그 순간 삶의 수많은 시행착오와 정신적 번민을 넘어 진정한 존재의 문제에 대해 성찰했으며,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자각을 통해 집단을 위한 사명을 발견한 것이다.
미시건대학교의 로버트 퀸(Robert E. Quinn) 교수는 한 개인의 객관적인 조건이 그 사람을 리더로 만드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주장한다. 리더가 된다는 것은 직위나 권력의 획득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삶의 양식을 전환하는 일임을 강조한다(존재양식의 변화).
즉, 그것은 '일상의 상태(Normal State)'에서 어떻게 '리더십 상태(Leadership State)'로 전환하는가의 문제라는 것이다. 리더가 된다는 것은 자신의 삶에 대한 근원적 변화(Deep Change)를 시도하는 일이다. 그것은 일반적 상태에서 벗어나 리더십 상태로 삶을 전환하여 새로운 자기 정체성을 발견하는 일이다.
리더는 자신과 자신의 존재에 대한 자각으로 부터 일상에 숨겨진 숭고한 의미를 발견한다(purpose-centered).
삶과 일에 대한 거룩한 목적의 발견은 자기 존재에 대한 사명을 각성시킨다. 이들은 이 목적과 사명을 통해 현재 자신의 위선과 거짓에 직면하게 되고, 그래서 용감하게 정직함과 진실함을 내면화한다(internally-driven). 이것이 바로 이들이 갖는 삶의 파워다.
숭고한 목적으로의 귀환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와 타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의 재능을 기꺼이 헌신할 대상을 확인한다(other-focused). 따라서, 이 리더십 상태의 사람들은 개인적 이해가 아니라 집단적 이해를 바탕으로 봉사와 희생을 실천한다. 이 봉사와 희생이야 말로 꿈과 희망을 실현하는 수단이다.
더 큰 뜻과 꿈을 가진 이들은 항상 세상을 향해 문을 열고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개방적으로 수용하며 적극적으로 자신과 조직을 변화시켜 간다(externally-open). 이것이 바로 리더의 존재양식이다.
20세기 초의 위대한 리더(great man)에 관한 연구는 특성이론(trait theories)으로 발전되었다.
여기서 특성이란 능력, 동기, 행동의 패턴을 포함하는 일련의 개인적 자질을 지칭한다.
한마디로 훌륭한 리더는 그 자질을 타고 난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20세기 중반까지 리더와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로서의 독특한 특성과 자질은 그가 처해있는 상황이나 환경에 관계없이 항상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인데, 사실 바로 이 점이 이 이론이 가진 맹점이었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이 지금까지 현실적으로 리더십을 설명하는 매력적인 이론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받는 이유는 아마도 훌륭한 리더의 특성을 개인에게서 찾고 싶은 사람들의 욕망과 관련되어 있을 뿐 아니라 손쉽게 리더십을 설명하고자 하는 기대 때문일 것이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의 자질3 (0) | 2017.10.28 |
---|---|
리더십론 - 3장 리더의 자질2 (0) | 2017.10.27 |
리더십론 (0) | 2017.10.25 |
진정한 리더란? (0) | 2017.10.23 |
리더십의 7가지 지속적인 요소 (0) | 2017.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