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리더의 자질2
그럼, 커크패트릭과 로크(Kirkpatrick & Locke, 1991)는 그간의 연구에 기초해 여전히 영향력을 갖는 리더의 고유한 특성을 발견했다. 이 특성들은 성공적인 리더가 되려는 사람들이 여전히 주목해야 하는 요소라는 점에서 재고할 가치가 있다.
1. 추진력(Drive)
평범함을 넘은 탁월함을 추구, 도전적으로 과업추진 높은 성취동기를 갖고 있고 일과 경력에 대한 야심이 있음.
신체적, 정신적으로 에너지가 넘치며, 강한 의지와 인내력, 장애의 극복,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태도를 발산함.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을 열정적으로 만들고 추구하는 비전에 몰입하게 만드는 힘을 발산.
2. 리더십 동기(Leadership Motivation)
사람과 상황에 대해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욕구.
- 사유화된 권력 동기(personalized power motive) : 파워를 획득하고 유지하는 것 자체를 리더십의 목적으로 삼음.
이들은 자신의 개인적 욕구를 실현시키기 위해 구성원을 지배하고 이용하며, 이들에게 희생을 요구함.
- 사회화된 권력 동기(socialized power motive) : 보다 훌륭한 비전,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파워를 추구.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헌신하고 구성원들의 꿈과 욕망을 충족시키고자 노력함.
구성원들의 욕구에 대해 책임을 지기 때문에 이들과 자신의 파워를 공유하고 자율적 권한을 부여함.
3. 정직과 성실(Honesty and Integrity)
남을 속이지 않고 말과 행동을 일치시킴. 약속을 지키며 구성원들을 위해 봉사하고 책임을 다하는 것.
4. 높은 자신감(Self-confidence)
계속되는 문제의 처리, 의사 결정, 신뢰 형성에서 높은 자신감을 드러냄. 리더가 보이는 단호함, 결단력 등은 다시 자연스럽게 구성원의 자신감을 고무한다. 자신감 있는 리더는 정서적 안정성(emotional stability)도 뛰어나다.
정서적 안정성이 높은 리더는 위기 시에도 평온하고 자신감 있으며 예측 가능하게 행동한다. 정서적 안정성이 결여된 리더는 극단적인 자기애에 빠지거나 성격적 장애를 경험하며, 대체로 사유화된 권력 지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5. 지적 능력(Cognitive ability)
단지 IQ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전력을 수립하고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정확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을 말한다.
6. 사업 관련 지식(Knowledge of business)
조직, 산업, 직무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전문성이 없다면 구성원을 효과적으로 이끌 수 없으며, 사업 및 산업에 대한 통찰이 없기 때문에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없고 결정사항을 실행하는데 많은 장애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리더의 자질은 신의 선물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독특한 상황적 맥락이 요구하는 바를 규명하고 이를 강화하는 과정 속에 땀과 열정으로 일구어지는 노력의 산물일 뿐이다.
그리고 바로 이런 믿음이 리더를 키운 것이다.
한 여인이 간디에게 자기 아들을 데려왔다. 아이가 설탕을 너무 많이 먹는 바람에 주의를 주었지만 그에게 해롭다고 설명해도 도통 설탕 먹는 일을 포기하지 않았던 것이다. 여인은 간디에게 이 일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아이에게 직접 말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간디는 "지금은 안 됩니다. 아이를 대신 일주일 뒤에 데려오세요." 라고 대답했다. 일주일 후 여인은 아이를 데리고 간디에게 왔고, 약속한 대로 간디는 소년에게 설탕을 포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의논했다. 소년은 간디의 충고에 영향을 받은 듯 보였고 여인은 그에게 깊은 감사를 표했다.
그녀가 떠나기 전 간디에게 다시 물었다. "근데 왜 지난주에는 아이를 만나주지 않고 오늘에서야 만난건가요?" 그러자 간디는 이렇게 말했다. "왜냐하면 지난주에는 내가 설탕을 먹고 있었기 때문이죠."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만한 간디의 유명한 일화이다.
리더는 언제나 진실함을 통해 사람들에게 감동을 전달한다. 진실의 리더는 그 자신의 진실함을 통해 부하와 조직을 진실하게 물들이며 궁극적으로 지속적 성과를 창출한다. 리더가 된다는 것은 이 진실함에 대한 도전이다.
진실의 리더는 자신의 리더십을 속이거나 다른 사람의 기대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자신의 진실한 모습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개인적 이익, 명예, 지위를 획득하려는 동기가 아니라 개인적 확신에 따라 동기부여가 된 사람들이다. 따라서 남을 모방하기보다 독창적으로 자신의 고유한 관점과 개인적인 가치를 창안하고 이를 지켜간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론 (0) | 2017.10.30 |
---|---|
리더의 자질3 (0) | 2017.10.28 |
리더십론 - 리더의 자질1. (0) | 2017.10.26 |
리더십론 (0) | 2017.10.25 |
진정한 리더란? (0) | 2017.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