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리더의 자질3

Joyfule 2017. 10. 28. 09:31

 

    29강 리더십론 

 

  3장 리더의 자질3

 

가드너 등(Gardner, Avolio, Luthans, May & Walumbwa 2005)은 진실한 리더가 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실천을 반복하고 실행하는 것이라 주장한다.

 

첫째, 긍정의 심리적 자산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상황에 대한 자신감, 삶에 대한 원천적인 낙천성, 긍정적인 태도,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는 정신적 자산.

이 같은 심리적 자산은 리더로 하여금 자신과 조직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희망을 유포하고 조직을 열정적으로 만든다.

 

둘째, 높은 수준의 도덕성 (Positive moral perspective)

도덕적 사안들에 대해 기꺼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용기와 도덕적 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가지는 것.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반응하며 끊임없이 엄정함을 지키고 지속적으로 도덕적인 행동을 성취하는 것이다.

 

셋째, 자기 인식 (Self-awareness)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자신의 재능, 강점, 목적, 핵심 가치, 신념, 욕구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를 자기 삶의 좌표로 설정하는 능력. 삶의 좌표가 되는 목적, 비전, 핵심가치라는 명시적인 멘탈 모델의 구축은 바로 이 자기 인식 능력에 기초한다. 자기 인식 능력을 가진 리더는 삶의 이상과 좌표에 따라 대담한 용기를 발휘한다.

 

넷째, 자기 조절 (Self-regulation)

자기 인식과 함께 리더의 진정성을 구현하는 또 다른 메커니즘. 이는 자기 인식에 기초하여 구축한 멘탈 모델을 지속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성찰하고 이에 부합하려는 일상적인 자기 조절 행동이다. 편견 없는 정보의 처리, 성실한 자기 성찰, 피드백의 겸허한 수용 등은 바로 자기 조절의 대표적인 행동들이다.

 

리더십과 매니지먼트의 차이는 무엇일까? 왜 이런 구분이 필요한 것일까?

리더십은 매니지먼트보다 우수한 것인가? 그 반대인가?

전통적인 리더십은 통상 매니지먼트를 의미했으나 기존의 가정과 정체성을 위협하는 새로운 도전들이 출현하면서 전통적인 매니지먼트 방식에 대한 회의가 일었고, 여기에 리더십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리더십은 현상을 넘어 조직의 비전을 창출하고 효과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리더의 새로운 역할을 의미한다. 매니지먼트가 안정성, 예측성, 질서, 효율성을 생산하는 것이라면 리더십은 변화를 창조하는 일이다 훌륭한 매니지먼트는 상대적으로 단기적인 결과를 성취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에 부합하지만, 리더십은 현상에 의문을 제기하고 도전함으로써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극적인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매니지먼트가 조직의 현재 요구에 대한 반응이라면 리더십은 조직의 장래 요구에 대한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리더십과 매니지먼트의 개념적 차이는 시대적 요구를 제외하고 둘 다 조직 성공에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균형감을 가져야 하는 행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불행하게도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매니지먼트를 리더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낡은 개념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리더십은 결코 매니지먼트를 대체할 수 없다. 매니지먼트는 그릇된 것이며, 리더십이 옳은 것이라는 논리는 리더십의 역동성을 간과한 주장이다. 이것은 결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훌륭한 리더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매니지먼트와 리더의 행동을 역동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ㅁ 리더십이 새로운 가능성과 장기적 성과를 추구한다면 매니지먼트는 재무적 관점에서 단기적 성과를 추구한다.

ㅁ 리더십이 비전을 커뮤니케이션 하고 이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공동의 문화, 핵심의 가치를 개발하는 동안 매니지먼트는 계획을 성취하기 위한 구조를 조직한다.

 

ㅁ 관계의 측면에서 볼 때 매니지먼트는 기계, 보고서 같은 사물과 조직의 상품과 서비스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보다 많은 관심을 두지만 리더십은 사람들을 동기부여 하고 고무하는데 더 많은 관심을 둔다.

 

ㅁ 매니지먼트가 공식적인 권한을 기반으로 하는데 반해 리더십은 개인적인 영향력에 기초하여 사람을 움직인다.

리더십은 눈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사람을 움직이는 개인적 특성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열정, 정직성, 용기, 겸손함 같은 것이다. 무엇보다 좋은 리더는 일에 대한 높은 열정과 타인에 대한 진지한 관심을 보인다. 훌륭한 리더는 자신의 일을 사랑하며 다른 사람들과 깊은 애정을 공유한다. 동시에 매니지먼트는 정서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문제에 대한 답과 그에 따른 효과적인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한다.

 

훌륭한 리더는 리더의 영혼(Leader's soul)과 관리자의 마음(Manager's mind)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그들은 환경의 요구뿐 아니라 구성원들이 가진 리더 성향과 매니저 성향을 효율적으로 조율함으로써 집단 안에 창조적인 시너지를 만들어 낸 사람이다(Hickman, 1992).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 개혁은 리더십의 개혁이다   (0) 2017.11.01
리더십론   (0) 2017.10.30
리더십론 - 3장 리더의 자질2  (0) 2017.10.27
리더십론 - 리더의 자질1.  (0) 2017.10.26
리더십론   (0) 2017.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