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영향력의 법칙
리더십의 참된 측정은 영향력에서 온다. 리더십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리더십을 측정하는 법은 그가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끼치고 있느냐이다.
영향력을 갖지 못한다면, 결코 다른 사람들을 이끌지 못할 것이다.
1996년 런던 매일신문(Daily Mail)에서 조사한 여론 조사는 다이애나 왕비와 테레사 수녀가 세계의 가장 따뜻한 인물 1위와 2위를 차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그녀가 테레사 수녀와 같은 계열에 설 수 있었던 것은 그녀가 영향력의 법칙을 힘있게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다이애나는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사람들은 이전에 유치원 보모였던 다이애나에게 많은 호기심을 가졌다. 그리고 결혼 후 그녀는 황실을 대표하여 세계 주변을 여행했을 때, 재빨리 다른 사람들을 돕겠다는 그녀의 목표를 설정하여 자선을 위한 기금운동을 벌였다. 또한 그녀는 그러한 기금운동을 벌리는 동안 많은 중요한 사람들을 만났다.
▶리더의 출현
사람들이 모든 곳에서 당신을 따를 때, 그것이 단순한 호기심만이 아니라면, 당신은 리더로서의 우수성을 입증한 것이다.
▶리더십의 문제
궁극적으로 그녀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었기에 그러한 일이 발생했다. 리더는 영향을 끼친다. 리더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리더십은 ...이 아니다.
리더가 되는 일을 칭호에다가 너무 가치를 두어서는 안 된다. 참된 리더십은 부여나 할당이나 임명이 아니다. 리더십은 결국 영향력에서 온다.
칭호가 살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시간이 적게 든다는 것뿐이다. 그가 다른 사람들에게 대한 당신의 영향력의 수준을 높이든지, 없애든지 간에 상관없이 말이다.
▶리더십에 대한 다섯 가지 신화
잘못된 개념
1) 관리 신화
사람들을 인도하는 일과 관리하는 일이 동일하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리더는 사람들을 따라오도록 영향을 주는 데 반하여 경영자는 조직을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어떤 사람이 관리자보다는 리더자인가를 시험해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가 적극적인 변화를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이냐를 아는 것이다.
관리자는 방향은 지시하지만, 변화를 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사람들을 새로운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영향력을 필요로 한다.
2) 기업신화
사람들은 사업가들을 모두 리더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항상 그렇지만은 않다.
3) 지식신화
리더의 필수적 요건이 힘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지식을 소유한 사람들이 리더가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지식이 있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리더가 되는 것은 아니다.
과학자, 철학자들은 남다른 지식을 소유하였지만, 사람들을 이끄는 그들의 능력은 대단히 빈약하다. 아이큐가 리더십과 동일시될 수는 없다.
4) 개척신화
무리들의 맨앞에 서서 일하는 사람이 리더라는 것은 오해다. 표면적으로 앞에 나와 있다고 해서 리더가 되는 것은 아니다.
리더가 되기 위해 사람들은 맨앞에 서기도 해야 하겠지만, 그 리더를 자진해서 따르고, 인도를 순종하며, 그 리더의 비전을 따라 행동하는 사람들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5) 직급신화
리더십에 관한 가장 잘못된 오해는 리더십이 지위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리더십은 지위에 근거하고 있지 않다.
스탠리 후피는 "지위가 리더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리더가 지위를 만든다"고 했다.
★참 리더는 누구인가?
어느 조직체에서든 영향력을 획득하고 리더가 되는 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리더는 ...이다
리더는 영향력을 준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힘이 없는 리더십
직위에서 나오는 리더십은 자발적인 기관에서는 먹혀 들어가지 않는다. 자발적인 기관에서 힘(영향력)이 없는 리더는 비능률적인 사람이 된다.
교회와 같은 자발적인 기관에서는 순수한 형태의 리더십이 사람을 움직이게 한다. 리더는 사람들을 돕는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해리 오버스트리트는 "모든 파워의 본질은 다른 사람들을 참여시키는데 있다." 라고 말했다.
자발적인 기관에서는 팔로워들이 억지로 리더를 따르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리더가 팔로워들에게 영향력이 없다면, 그들은 리더를 따르지 않을 것이다.
▶사령관에서 사병으로
아프라함 링컨의 이야기는 영향력의 법칙을 설명하고 있다.
링컨은 블랙 호크 전투에서 사람들을 이끌고 지휘관이 되었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영향력의 법칙을 극복하지 못하고 이등병이 되었다.
그러나 군경력에 뒤이어 주 의회원이 되었고, 미하원 의원이 되었으며 수많은 노력과 개인적인 경험과 더불어 그는 사람들에게 놀라운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되었다.
"사람들을 이끈다고 생각하나, 따르는 자가 없다면, 그는 오직 혼자서 걸어가고 있는 사람일 뿐이다."
당신이 영향을 주지 못한다면 그들은 당신을 따르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따르지 않는다면 당신은 리더가 아니다. 그것이 영향력의 법칙이다. 당신이 어느 사람과 이야기하든 간에 리더십은 그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기억하라. 리더십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 21가지 불변의 법칙 (0) | 2017.07.09 |
---|---|
리더십 21가지 불변의 법칙 (0) | 2017.07.08 |
리더십 21가지 불변의 법칙 (0) | 2017.07.06 |
권한을 위임하는 목회자 (0) | 2017.07.05 |
호감의 법칙, 끌리는 사람을 따르고 싶은 이유 (0) | 2017.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