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 등장하는 마귀의 개념.
디아볼로스-[형용사] 비방적인, 중상적인 slanderous. [명사]중상자, 비방자 slanderer, 마귀 devil.
2. 신약성경 - 2
마귀의 활동 영역은 기본적으로 비 기독교적 세계이다(행 26:18; 참조: 고후 6:16). 따라서 마술 Magic은 마귀와 연관된다(행 13:10). 유다서 9절에는 아마도 모세 승천기에 기원을 가지고 있고 악마가 천사장 미가엘을 공격하는 이야기가 나오는 어떤 묵시적 이야기가 전제되어 있다. 행 5:3; 계 2:9이하, 그리고 20:7에도 사탄이 기독교 공동체를 공격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마지막 때에 사탄은 적그리스도 Antichrist를 보낼 것이다(살후 2:3-12; 계 13:17에 나오는 짐승). 마 25:41; 계 20:10(참조: 요일 3:8; 히 2:14). 그리고 아마도 롬 16:20도 종말에 있을 사탄의 멸망을 언급하고 있다. 그때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깨달은 그는 성나고 포악해져서 하나님의 백성을 마구 못살게 군다(계 12:12; 계 12:16하).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은 하나님의 전신갑주로 무장하는 것(엡 6:11; 엡 6:16), 하나님께로 결연히 돌아서는 것(약 4:7), 그리고 깨어 있는 정신으로 방심하지 않고 경계하는 믿음, 이것이 전부이다. 오직 이것만이 비록 마귀가 초조해지고 신변에 위험을 느끼어 울부짖는 사자처럼 이리저리 다닐찌라도(벧전 5:8) 그의 힘을 잃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하지만 마귀가 멸망할 수 밖에 없는 궁극적 원인은 “어린 양의 피”(계 12:11), 즉 예수께서 십자가상의 죽음을 통하여 이룩하신 승리이다.
신약성경에서는 마귀의 기원이나 본질에 관한 이런저런 생각들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또 마귀는 악한 경향이나 죽음의 천사와 동일시되지도 않는다. 사실 죽음과 마귀는 구별된다(계 20:10; 계 20:14). 왜냐하면 사탄은 사망에 대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히 2:14).
요한문서에는 창 3장에 나오는 원역사에서 마귀가 했던 역할을 지시하는 대목이 가끔 나온다(계 12:9. 그리고 아마도 요 8:44; 요일 3:8도 그러할 것이다). 유대교 주석가들은 뱀을 마귀로 해석하였다. 즉 마귀는 태초부터 죄인의 편에 섰고(요일 3:8), 처음부터 살인자였다(요 8:44b). 진리에 참여하지 못하니 거짓말을 하며 제 것으로 말한다(요 8:44). 이것은 역사적 진술이지 형이상학적 진술은 아니다. 그러나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점들은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다.
즉, 마귀의 힘에 의존하는 일은 행동의 경우에도 결심의 경우에도 모두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이 일의 결과들이 요한복음에서는 혈통과 친족관계라는 서술적 언명을 수단으로 하여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 그것이다. 죄를 지은 자는 가인과 같이 마귀에 속한다(요일 3:8; 요일 3:12). 혹은 그는 배반자 유다와 같이 그 자신이 마귀이다(요 6:70). 그러므로 하나님의 자녀들은 마귀의 자녀와 대립한다(요일 3:10). 예수님의 적은 마귀의 자신들이라고 불리우는데, 이는 즉 마귀의 본성과 행동을 나누어 가진 자들이라는 뜻이다(요 8:44). “청년들”이 악한 자를 쳐부수는데 성공한다면(요일 2:13이하). 그것은 그리스도의 은총이다(참조: 요 17:15). - H. Bietenhard
신약성경에서 베엘제불(Bee(l)zeboul)은 우두머리 마귀의 이름이다. 예수님의 적대자들은 예수가 그 마귀에 사로잡혔다고 비방하였다. “예루살렘에서 내려온 서기관들은 '저가 바알세불을 지폈다' 하매 또 '귀신의 왕을 힘입어 귀신을 쫓아낸다' 하니”(막 3:22; 참조: 병행구 마 12:24, 그리고 마 9:34에 나오는 유사한 표현 “귀신의 왕”, 눅 11:15; 또한 이 이름을 사용하는 다른 경우로서 마 10:25; 마 12:27; 눅 11:18이하도 참조).
이에 대하여 예수께서는 “저희를 불러다가 비유로 말씀하시되 '사단이 어찌 사단을 쫓아낼 수 있느냐 또 만일 나라가 스스로 분쟁하면 그 나라가 설 수 없고 … 만일 사단이 자기를 거스려 일어나 분쟁하면 설 수 없고 이에 망하느니라. 사람이 먼저 강한 자를 결박치 않고는 그 강한 자의 집에 들어가 세간을 늑탈치 못하리니 결박한 후에야 그 집을 늑탈하리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의 모든 죄와 무릇 훼방하는 훼방은 사하심을 얻되 누구든지 성령을 훼방하는 자는 사하심을 영원히 얻지 못하고 영원한 죄에 처하느니라' 하시니 이는 저희가 말하기를 '더러운 귀신이 들렸다' 함이러라”(막 3:23-30; 참조: 병행구 마 12:25-37; 눅 11:17-23; 눅 12:10; 눅 12:43이하).
유대교 자료에도 예수님에 대하여 이와 유사하게 생각하는 견해들이 나온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글은 예수님의 행적을 마술로 간주하고 있다. 즉 “나사렛 예수는 마술을 행하여 사람들을 미혹시켰기 때문에 유월절 전날에 십자가에 달렸다”고 한다(Sanhedrin 43a; 참조: Sanhedrin 107b; Sotah 47a; J. J. Hagigah 2. 2 또 기독교 교부의 저작에 나오는 예들로는 Justin, Dial. 69; Origen, Contra Cels. 1, 6, 28, 68, 71; 2, 9, 14, 16, 44, 48, 49, 51; 3, 1; 5, 51; 8, 9, 39; Tertulian, Adv. Marc. 3, 6. W. L. Lane, The Gospel of Mark, NLC, 1974, 142; H. van der Loos, The Miracles of Jesus, Supplements to NovT 9, 1965, 158-67).
레인(W. L. Lane)은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주석한다. “예수는 '바알세불'을 '사탄'으로 슬쩍 바꿈으로써 자신의 사명은 사탄과 직접 대결하는 것이라는 입장에서 논쟁을 전개해 간다. 그의 논증은 점층법적으로 고조된다. 만약 너희들이 말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사탄이 저희 자신의 영역을 스스로 파괴하고 있다는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 왜냐하면 한 나라가 스스로 분쟁하면 그 나라는 망하게 되며, 한 가정이 스스로 분쟁하면 그 가정은 설 수 없게 된다는 것은 자명한 진리이기 때문이다. 너희의 비방이 사실이라면, 사탄은 저희끼리 분쟁하고 있는 셈이 된다. 이것은 사탄의 힘이 무력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이것은 분명히 사실과 다르다. 사탄은 여전히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너희의 비방은 거짓임을 드러난다” 사탄이 여전히 강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는 두 가지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는, 이미 귀신에 지핀 사람들을 볼 때 그가 여전히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말씀을 전하고 귀신을 쫓아내는 것이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의 사명이다, 참조: 막 3:15). 둘째로, 예수께 반대하고 성령의 역사를 바알세불의 역사라고 강변하는 사람들을 볼 때(막 3:29) 사단이 여전히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7절에서 예수는 다시 그가 귀신들렸다는 비방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사탄은 죄, 귀신들림, 질병, 사망 등을 통해서 인간을 예속시킨다는 데서 잘 드러나듯이 힘이 강한 존재이다. 마귀들은 이러한 파괴사업을 담당한 사탄의 종들이다 …… 예수께서 사탄을 쫓아내는 능력을 가졌다는 사실은 사탄보다 더 강한 자가 사탄의 활동을 억압하고 그에게 예속된 사람들을 풀어주려고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의 선교의 핵심은 사탄과 대결하고 그를 모든 영역에서 쳐부수는 일이며, 이러한 그의 과업을 성취함에 있어서 그는 자신이 불가항력적 힘의 소유자임을 자각하고 있다. 이러한 예수님의 발언은 그의 힘의 근원이 무엇인가라는 절박한 질문을 불러일으킨다. 하나님을 모독한 자에 대한 언급에서 예수의 사역은 성령의 권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암시되었다. 그가 사탄과의 싸움에서 하나님의 전사로 나설 수 있는 근거는 그가 성령의 담지자이기 때문이다. 예수께서는 그가 더러운 영에 사로잡혔다는 주장에 맞서서 자기는 하나님의 영에 사로잡혔다고 단언한다”(W. L. Lane, op. cit., 143). - C. Brown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에서 말하는 죄의 개념. (0) | 2022.01.22 |
---|---|
성경에서 말하는 죄의 개념. (0) | 2022.01.21 |
성경에 등장하는 마귀의 개념. (0) | 2022.01.19 |
성경에 등장하는 마귀의 개념 (0) | 2022.01.18 |
성경에서 말하는 죄의 개념 (0) | 2021.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