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 등장하는 마귀의 개념.
디아볼로스-[형용사] 비방적인, 중상적인 slanderous. [명사]중상자, 비방자 slanderer, 마귀 devil.
1. 구약성경
70인 역본에서 디아볼로스(diabolos)는 21회 등장한다(그 중 13회가 욥 1장과 욥 2장에 나온다). 에 7:4과 에 8:1('적대자' adversary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차르와 초레르의 역어로 사용되었음)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이 단어가 히브리어 사탄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히브리어 사탄은 3회 그저 사탄으로 음역되기도 하였다(왕상 11:14; 왕상 11:23a; 왕상 11:25b). 아람어 형태는 사타나(satana)이다.
구약성경에 나오는 사탄은 '적대자' adversary 또는 '악한 상대' wicked opponent를 의미한다. 삼상 29:4에서는 사탄(Satan, 70인역본에서는 에피불로스)이 전장에서 혹시 방해꾼이 될런지도 모르는 사람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왕상 11:23; 왕상 11:25에서는 한 파당의 주모자이며 후에 수리아의 왕이 된 르손에 대하여 사용되었다(시 109:6[108:6]을 참조하라. 여기에서 70인 역본은 디아볼로스[diabolos]로 번역하고 있다).
사탄(Satan)은 발람이 가는 길을 막아선 천사에 대해서도 사용되었다(민 22:22; 민 22:32). 사탄이 하늘에 있는 존재로서 맨 처음 나타난 것은 욥기의 서장에서인데, 여기에서 사탄은 의인을 하나님 앞에 고소하고 있다(말하자면 그는 하늘의 검사이다!). 슥 3:1이하에서도 사탄은 이와 유사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단어는 대상 21:1에서 최초로 사람의 이름으로 사용되는데, 여기에서 사탄은 인구 조사를 실시하도록 다윗을 유혹한다. 더 이전의 기사는 여호와의 저주에 강조점을 둔다(삼하 24:1). 구약성경에서 사탄은 후대에 사용된 의미의 마귀는 아니다. 즉 그는 하나님께 대적하는 악한 본질이 아니다.
70인 역본은 이런 방향으로 조금 옮겨 간 듯한 인상을 준다. 70인 역본은 민수기와 사무엘에 나오는 용례들을 번역함에 있어서 디아볼로스(diabolos)의 사용을 피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70인 역본은 이 단어의 양면 가치적 의미를 퇴색시키는 한편 욥기에 주요 강조점을 둔다. 70인 역본에서 디아볼로스(diabolos)가 사용된 다른 예로는 지혜서 2:24과 마카베오 일서 1:36 등이 있다. 흠정역(A. V)은 사 14:12에 나오는 히브리어 단어 헬렐(70인 역본에서는 헤오스포로스를 “Lucifer”(샛별)로 번역하는데, 문자적으로는 빛나는 것, 즉 샛별 Day Star이란 뜻이다. 하지만 이 단어가 가리키는 것은 사탄이 아니라 바벨론의 왕이다.
후기 유대교에서 마귀는 특히 “악한 경향”(evil inclination)및 “죽음의 천사”와 동일시되었다. 이제 마귀는 명백히 악한 성격을 갖게 된 것이다. 구약성경에서와 같이 마귀는 하나님께 인간을 고소하는 자이다. 천사들의 타락이 큰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하등의 근본적인 중요성을 갖지는 못한다(이디오피아어 에녹서 86:1-88; 3; 희년서 5:1-12; CD 2:18-21).
노아의 손자들을 속인 부정한 영들은 “감시인들”(The Watchers)의 자손이다(희년서 19:28). 이 영들의 많은 수가 진멸되었으나 열 번째의 영 하나가 살아남았는데, 마스테마(Mastema)는 이런 영들과 더불어 인간 가운데서 자기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희년서 10:8). 그밖에도, 귀신들(demons)은 권한의 측면에서 사탄과 비등하나 하나님께 인간을 고소하는 일을 하는 것은 오직 사탄뿐이다. 사탄이 하늘로서 떨어져, 쫓겨났다는 이야기는 없으니, 그렇지 않고서야 그는 고소자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는 무엇보다도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깨뜨리려고 획책한다. 그러나 그는 또한 나머지 인류와 하나님을 분리시키려고 광분한다.
그의 행위는 바바 바드라(Baba Bathra) 16a에 간단하면서도 명료하게 서술되어 있다.
바라이다(Baraitha)에는 다음과 같은 가르침이 있다. 사탄은 내려오면 속이고, 올라가면 고소하고, 권력과 영혼을 장악한다.” 사탄이 전에는 높은 신분의 천사였었다고 하는 이야기는 후기의 전승에만 나타난다. 랍비들은, 사람이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그 자유의지에 힘입어 율법을 지키고 악한 경향 혹은 사탄-삼마엘(Stan-Sammael)을 막을 수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였다.
쿰란 문서에서는 벨리알이 악령의 이름으로 나타난다. 하나님은 두 개의 영, 즉 빛의 영과 어둠의 영 또는 어둠의 천사(즉 벨리알)를 창조하셨고, 이 두 영은 현재 그 힘을 발휘하고 있다(1QS 1:18; 2:5, 19; 3:20-23). 벨리알은 악의의 천사로서(1QM 13:12) 자기를 따르는 사람들, 즉 “어둠의 자식들”(1QS 1:10)의 마음 속에 살며 배교한 설교자의 마음을 지배한다(CD 12:2). 의인의 적들은 “벨리알의 간계”로 가득차 있다(1QH 2:16이하; 6:21; 7:4). 벨리알을 따라는 자들은 그의 “회중”이라고 불리워진다(1보 2:22). 음행, 부, 그리고 성전 모독이 “벨리알의 세 가지 계략”이다(CD 4:15). 그의 힘은 홍수와 같아서 세상과 의인을 위협한다(1QH 3:29, 32; 5:39).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그의 의로운 자들을 보호하신다(1QM 14:9). 벨리알과 그를 따르는 자들은 준엄한 저주를 받는다(1QS 2:4-9; 1QM 13:4이하). “그와 한패가 된 영들”은 “파괴의 천사들”이다(1QM 13:12). 마지막 때에 쿰란 공동체가 다른 사람들과 인연을 끊고 나면, 벨리알은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마구 이스라엘을 공격할 것이다(CD 4:13). 마지막 때의 최후의 결전에서 “어둠의 자식들”은 벨리알의 군대로 편성될 것이다(1QM 1:1, 13). (p.2-164*) 그러나 그 군대는 패망할 것이다(1QM 11:8이하). 왜냐하면 하나님 자신이 벨리알에 대항하여 싸우실 터이고(1QM 15:3; 18:1, 3), 그의 격렬한 분노가 벨리알에게 폭발할 것이기 때문이다(1QM 4:1이하).
여호수아의 저주(수 6:6)는 어떤 저주 받은 사람, 즉 벨리알과 한패인 어떤 사람이 여리고성을 다시 건축하리라는 것을 보여준다(4Q test 23).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쿰란 문서에서 벨리알은 더 이상 고발자로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하늘이나 하나님께 나아갈 수도 없다. 또한 벨리알은 아담을 속여서 죄가 세상에 들어오도록 한 자였다는 이야기도 나오지 않는다. 이와 똑 같은 인물이 열두 족장의 언약에서는 벨리아르(Beliar)로 나오며, 또한 이디오피아어 에녹서 54:6에는 아자젤(Azazel)과 그의 무리가 사탄의 부하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베엘제불(Beelzeboul)은 변화하지 않는 명사이다(어떤 사본에서 베에제불[Beezeboub] 혹은 베엘제붑[Beelzeboub]으로 나온다). 이 이름의 기원 및 의미는 그리 분명하지 않다. 왕하 1:2 이하와 왕하 6:16에서 바알제붑(ba'alzebub: 파리의 주 Lord of the Flies)은 에그론의 신으로 나타나고 있다. 베엘제불(Beelzeboul)은 바알제불(ba'alzebul: 고지의 주 Lord of the heights 즉 천상의 주, 따라서 하늘의 주 혹은 하늘의 하나님)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
베엘제불(Beelzeboul)은 바알집불(ba'alzibbul: 구약성경 시대 이후의 히브리어 제벨[zebel]: 거름, 똥; 집불[zibbul]: 우상에게 드리는 희생제사에서 유래)에서 유래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우상에게 드리는 희생제사의 주-이러한 희생제사의 주는 곧 똥(dung)과 다름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 이름은 또한 히타이트의 사슴-신(神)인 자파르와(Zaparwa)에서 파생한 이름일 가능성도 있다. 이 지파르와는 제바바(Zebaba)라는 어형을 거쳐 에그론에 사는 블레셋 사람들에게 와서 바알제붑(ba'alzebub)으로 되었다. 만약 아람어에서 유래한 것이라면 그 어원은 베엘 데바바(be'el bedebaba: 적의[적]의 주 lord of enmity, enemy)이거나 베엘 디바바(be'el dibaba: 파지의 주 lord of the flies)이었을 것이다.
'━━ 영성을 위한 ━━ >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에 등장하는 마귀의 개념. (0) | 2022.01.20 |
---|---|
성경에 등장하는 마귀의 개념. (0) | 2022.01.19 |
성경에서 말하는 죄의 개념 (0) | 2021.12.08 |
성경에서 말하는 죄의 개념 (0) | 2021.12.07 |
성경에서 말하는 죄의 개념.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