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성공하는 리더는 혼자 뛰지않는다 (Effective Motivation)

Joyfule 2016. 10. 18. 09:00

 

      성공하는 리더는 혼자 뛰지않는다 (Effective Motivation)

 존 어데이(john Adair) 

 

제2부 동기부여란 무엇인가?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두가지는 행복에 대한 욕망과 불행에 대한 두려움이다 - 사무엘 존슨"

 

 

 8. 동기부여가 강조되는 이유


motive는 "움직이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동사 movere로부터 나온 단어이다. 따라서 motive는 간단히 말해 '사람으로 하여금 행동하게 만드는 그 무엇'이라고 할 수 있다. 어우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당신의 내면안에 있는 구 무엇이 작용하여 당신을 앞으로 나아가게 만들 수 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마음속의 충동이 아무리 강한들 행하려는 의지가 없다면 동기는 당신을 행동하게 만들지 못할 것이다. 행동으로 이어지지않는 동기들은 기차 신호등(의지)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들이다.


폭주 기관차와 같은 행동은 주로 감정(emotion)으로 인해 일어난다. motive와 같이 emotoin 이라는 단어도 'To move'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에서 파생된 말이다. 하나의 행동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한가지 이상의 동기에 의해 일어나게 마련이다. 다시말해 우리의 동기는 종종 여러 가지가 복합되 있다는 것이다.


동기를 분석하는데 어려운 점은

1. 어떤 행동의 정확한 동기가 무엇이었는지 항상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것

2. 다른 사람을 대하는 것과는 달리 자신을 향해서는 항상 너그럽다는 사실

9. 기대이론에서 말하는 동기부여


"사람은 자기가 준 것에 대해서는 하나의 눈을 갖고 있지만 받을 것에 대해서는 일곱 개의 눈을 갖고 있다 - 독일 속담"
미국 심리학자 에드워드 톨만이 1930년에 사용한 이론, 인간의 행위는 자극에 대한 반응의 결과라기 보다는 의식적인 기대에 의해 동기부여된 결과의 산물이라는 것 1964년 미국 심리학자 빅터 브룸, 유의성 : 개인이 특정결과에 대해 갖는 선호의 정도, 그의 공헌은 사람마다 사물을 바라보는 눈이 다를 수 있고 그만큼 동기부여되는 것과 그에 따른 행동도 상당히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 기대이론은 소모되는 에너지에 대해 기대되는 이익의 가치를 재려는 자연적이고 본능적인 인간의 성향에 바탕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