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웃길 줄 아는 사람이 ‘리더’ 된다 1.

Joyfule 2019. 6. 30. 22:26
 

 

    웃길 줄 아는 사람이 ‘리더’ 된다 1. 

 

 

 로널드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은 재임 중 난감한 질문을 퍼붓는 백악관 출입기자에게 치미는 화를 참지 못하고 Son of Bitch라고 욕을 했다. 대통령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졌다. 기자들은 며칠 후 레이건 대통령에게 티셔츠 한 장을 선물로 전달했다. 셔츠에는 SOB라는 글씨가 크게 새겨져 있었다.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여론은 더 악화되고 언론과의 갈등 관계는 증폭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레이건은 빙그레 웃으며 이렇게 응수했다.

 

“SOB라…. 이건 당연히 Saving of Budget(예산 절약)이라는 뜻이겠지요?여러분의 충고를 늘 염두에 두겠습니다.”

다음날 신문에는 레이건을 비판하는 기사가 실리지 않았다. 권력과 언론의 갈등 관계가 눈 녹듯이 풀렸다.

 

링컨, 처칠, 루스벨트, 아이젠하워, 케네디, 레이건, 클린턴….
근·현대 미국과 영국이 배출한 걸출한 지도자인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이들은 미국과 영국의 역사에 뚜렷한 업적을 남겼거나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구현하는 데 혁혁한 공헌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재임 중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시공(時空)을 초월한 존경과 관심의 대상이 되었을까? 아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탁월한 유머 감각을 겸비한 지도자였다는 사실에 있다.

왜 대중들은 유머가 풍부한 지도자, 즉 국민을 웃길 줄 아는 지도자를 좋아할까.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의 작가이자 유명한 강사인 레오 버스카글리아는 이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제시했다.

“사람은 함께 웃을 때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느낀다.”

 

유머만이 청중을 하나로 만들 수 있어

한국 개그계(界)의 대부로 통하는 전유성(全裕成)씨에게 정치 지도자의 자질 중에 왜 유머 감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고 물었더니 이런 대답이 돌아왔다.

“정치 지도자는 불특정의 대중을 상대해 설득해야 한다. 그 대중들은 나이, 성별, 학력, 신분, 재산 등에서 천차만별이다. 각계각층, 가지각색의 사람들이 한데 뒤섞여 있는 게 대중들이다. 이들이 한데 모여있는 자리에서 어떤 정책과 철학에 관해 길게 이야기한다고 생각해보라. 얼마나 지루하고 짜증나 할 것인가. 나이, 성별, 학벌, 지위와 관계 없이 대중을 하나로 만드는 것은 웃음이다. 웃는 것에는 어떤 차별도 없다.”

 

버스카글리아와 전유성의 말은, 표현은 조금 다르지만 웃음이 발휘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거의 일치한다. 웃음은 서로 이질적이고 융합하지 못하는 대중을 하나로 묶어주고 연대감을 느끼게 하는 유일한 무기라는 뜻이다. 그래서 무엇보다 대중의 마음을 움직여야 하는 정치 지도자에게 웃길 줄 아는 능력이 요구된다는 논리다.

 

한국 정치의 특징은 정치를 전쟁 치르듯 살벌하게 한다는 것이다. 서양인들은 이런 한국 정치의 살벌함과 무지막지함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한다고 말한다. 여야 대변인 공방(攻防)은 말할 것도 없고 여야 대표, 심지어 대통령까지 살벌한 용어를 구사한다. 2003년은 특히 살벌함에 상스러움까지 더해져 국민들은 피곤하고 짜증나는 한 해를 보내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