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원전 11기 세워놓고 전기 모자란다고 '비상벨' 누르나
입력 : 2018.01.26 03:19
한파(寒波)로 전력 수요가 늘자 정부가 24·25일 기업들에 전력 사용 감축 요청을 했다. 그제 1700개 기업이, 어제 2700여 개 공장이 해당됐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차례밖에 없던 조치가 올겨울에만 벌써 7번째다. 그런데도 정부는 '늘 하는 통상적 조치'라고 한다. 지난 며칠간 기업들에 보상해 준 국민 세금이 수천억원에 이른다.
기본적으로 정부가 전력 수요 예측을 잘못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발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올겨울 최대 전력 수요를 과거보다 300만kW 낮게 잡았다. 원전 3기에 해당하는 발전량이다. 탈(脫)원전 명분을 만들려고 전력 수요를 낮춰 잡았는데 난방기 등 사용이 늘면서 전력 소비가 는 것이다. 여름 무더위가 찾아오면 냉방 전력 수요로 또 비상벨이 울릴 것이다. 그런데도 "전기수요는 크게 늘지 않을 것"이라고 정부는 말한다. 탈원전 오기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원전(原電) 24기 중 11기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전례없는 일이다. 현재 원전가동률은 58%로 경주 지진으로 원전이 안전점검에 들어갔던 2016년(79.9%)보다도 훨씬 낮다. 2000년 이후 줄곧 80~90%를 유지하던 원전가동률이 뚝 떨어진 것 역시 탈원전 때문이다. 통상 3개월 걸리던 안전점검이 300일을 넘기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원전을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승인이 필요하다. 현재 원안위 위원장은 탈원전을 주장하며 환경단체에서 활동해 온 사람이다. 그제 그는 기자간담회에서 "영화 '판도라'가 허무맹랑하다고 말하는 게 허무맹랑한 것"이라고 말했다. '판도라'는 과학적 사실과는 상관없이 흥행을 위해 만든 공상물 영화에 가깝다. 원전 안전이 아니라 폐지를 목표로 하는 원안위 위원장이 앉아 있으니 앞으로 사소한 기술적 문제에도 원전이 멈춰서는 일이 일어날 것이다. 원전 가동률은 50% 이하로 떨어질지 모른다. 전력 부족 비상벨은 계속 울릴 것이다. 기적처럼 성장한 우리 산업의 바탕엔 값싸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질 좋은 전력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 그 전력 경쟁력이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됐다. 정부의 탈원전 오기가 만든 평지풍파가 어디까지 갈지 모른다.
기본적으로 정부가 전력 수요 예측을 잘못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발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올겨울 최대 전력 수요를 과거보다 300만kW 낮게 잡았다. 원전 3기에 해당하는 발전량이다. 탈(脫)원전 명분을 만들려고 전력 수요를 낮춰 잡았는데 난방기 등 사용이 늘면서 전력 소비가 는 것이다. 여름 무더위가 찾아오면 냉방 전력 수요로 또 비상벨이 울릴 것이다. 그런데도 "전기수요는 크게 늘지 않을 것"이라고 정부는 말한다. 탈원전 오기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원전(原電) 24기 중 11기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전례없는 일이다. 현재 원전가동률은 58%로 경주 지진으로 원전이 안전점검에 들어갔던 2016년(79.9%)보다도 훨씬 낮다. 2000년 이후 줄곧 80~90%를 유지하던 원전가동률이 뚝 떨어진 것 역시 탈원전 때문이다. 통상 3개월 걸리던 안전점검이 300일을 넘기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원전을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 승인이 필요하다. 현재 원안위 위원장은 탈원전을 주장하며 환경단체에서 활동해 온 사람이다. 그제 그는 기자간담회에서 "영화 '판도라'가 허무맹랑하다고 말하는 게 허무맹랑한 것"이라고 말했다. '판도라'는 과학적 사실과는 상관없이 흥행을 위해 만든 공상물 영화에 가깝다. 원전 안전이 아니라 폐지를 목표로 하는 원안위 위원장이 앉아 있으니 앞으로 사소한 기술적 문제에도 원전이 멈춰서는 일이 일어날 것이다. 원전 가동률은 50% 이하로 떨어질지 모른다. 전력 부족 비상벨은 계속 울릴 것이다. 기적처럼 성장한 우리 산업의 바탕엔 값싸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는 질 좋은 전력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 그 전력 경쟁력이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됐다. 정부의 탈원전 오기가 만든 평지풍파가 어디까지 갈지 모른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1/25/2018012503239.html
입력 : 2018.01.26 09:10 | 수정 : 2018.01.26 09:15
전력거래소는 26일 오전 9시부터 11시30분까지 수요자원 시장 제도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전력 사용을 줄여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DR제도에 참여한 기업은 전력사용 감축 등을 통해 아낀 전기를 전력시장에 판매하고 금전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 ▲ 전국에 ‘최강 한파’가 엄습한 25일, 서울 성동구의 한 건물 앞 전광판에 현재 온도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전력 수요 감축 요청은 이달 11일, 12일, 24일, 25일에 이어 올해 들어 다섯 번째다. 지난해에는 7월 두 차례(12일, 21일), 12월 세 차례(13일, 14일, 20일) 등 5차례 수요감축 요청이 이뤄졌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3일 연속 전력 수요감축을 요청한 것은 처음"이라며 "이례적인 한파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파가 이어지면서 전력수요도 정부 예상치를 뛰어넘고 있다. 전력수요는 24일 8628만㎾로 역대 최대 전력 수요를 경신한 후 25일 8725만㎾로 기록을 재경신했다. 정부는 지난달 29일 확정한 8차 전력 수급 기본 계획에서 올겨울(작년 12월~올해 2월) 최대 전력 수요를 8520만㎾로 전망했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최대 전력 수요 예상치는 8720만kw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탈원전 정책의 근거 마련을 위해 전력 수요를 낮게 예측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최대 전력 수요는 하루 중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한 시간 동안의 평균 전력량으로, 발전소가 얼마나 필요한지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최대 전력 수요가 예측치를 초과했다고 당장 정전이 되지는 않지만, 예상치 못한 발전소 사고 등이 일어날 경우 전력 부족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 지성을 위한 ━━ >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가 일자리 법안 막아놓고 왜 일자리 안 느냐고 하다니… (0) | 2018.01.27 |
---|---|
국방까지 '우리이니하고싶은거다해' (0) | 2018.01.27 |
박정희 대통령, 이휘소 박사에게 쓴 편지.........JPG (0) | 2018.01.25 |
文 지지율 하락에 여당서도 "적폐청산 얘기만 하니…" (0) | 2018.01.25 |
민노총에 장악된 154개 언론단위노조 (0) | 2018.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