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유대인들은 왜? 11-26.

Joyfule 2012. 12. 10. 12:05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11-26. 왜 신년에는 꿀 케이크를 먹을까?

 꿀 케이크는 동유럽의 전통적인 명절 음식으로서, 레카흐(lekach) 또는 레이카흐라고 한다. 레카흐는 히브리어로서 ‘일부분’이라는 뜻이다.

꿀 케이크를 먹을 때는 유대전통을 가장 잘 따르는 사람에게 ‘큰 조각’이 돌아가기를 바라면서 감사 기도를 한다. 이 풍습은 ‘내가 선한 도리를 너희에게 전하노니 내 법을 떠나지 말라’는 잠언 4장 2절 말씀에 근거를 둔 것이다.

 

11-27. 왜 신년에 당근 치메스를 먹을까?

당근 치메스(tzimmes)는 당근에 꿀을 넣어 요리한 것으로서, 꿀처럼 기분 좋은 한 해가 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긴 요리이다.

당근을 먹는 이유는 당근이라는 이디쉬 말이 ‘meiren’으로서, ‘배가 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축복이 배가 되는 생산적인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당근 치메스를 먹는 또 다른 이유는, 당근이 부를 상징한다는 의식 때문이다. 즉 당근을 썰어 놓으면 그 모양이 동전 같고, 색깔도 금색과 비슷하므로 부(富)의 상징이 되는 것이다.

 

11-28. 왜 신년에는 생선 머리를 먹을까?

원시 사회에서는 신년 명절에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그 해의 운이 달라진다고 믿었다. 유대 전통에 있어서 생선은 성공과 관련이 있으며, 우두머리로 살기를 바라는 소망도 담겨져 있다.

슐칸 아루크(Shulchan Aruch, 유대율법전)에는 “생선을 처음 맛볼 때 ‘다가오는 한 해가 우리를 도와 많은 사람들 중에서 지도자가 되게 하고, 머리가 될지언정 꼬리가 되지 않기를 빕니다’라는 구절을 낭송하라”고 기록되어 있다.

스위스의 유대인들은 생선에 꿀과 건포도를 섞어 달게 만든 렙쿠헨(lebkuchen, leibkuchen)이라는 요리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참고로 이라크의 유대인들은 아예 생선을 먹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생선’이라는 히브리어 ‘dag’가 ‘근심’이라는 히브리어 ‘daagah’와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11-29. 왜 하시드파 유대인들은 신년에 비트 구근을 먹을까?  

탈무드(Horayot 12a)에는 학자 아바예(Abaye)가 ‘연초에 먹으면 복이 되는 음식들’을 열거해 둔 곳이 있다. 호박, 서양부추(leek), 비트, 대추야자 등이 이 목록에 포함된다. 신년 명절에 비트(beet) 구근을 먹는 풍습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하시드파 유대인들(chassidim)은 비트 잎을 먹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비트를 가리키는 히브리어 단어 ‘셀렉(selek)’이 신년에 자주 사용하는 ‘셰이스탈쿠 오이베이누(sheyistalku oivaynu)’의 ‘셰이스탈쿠’라는 부분과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말은 ‘우리가 우리의 적을 물리치기를’이라는 뜻이다.

 

11-30. 왜 어떤 유대인들은 신년에 견과류를 먹지 않을까?

어떤 유대인들은 견과류라는 히브리어 단어 ‘에고즈(egoz)’와 죄라는 히브리어 ‘헤트(chet)’의 숫자 가치가 같다는 이유로 견과류를 먹지 않는다. 에고즈의 숫자 가치는 17이고, 헤트도 알레프라는 글자 없이 쓸 경우 17이 된다.

 

www.segibak.or.kr - 유대인들은 왜?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2012.12.12
유대인들은 왜?  (0) 2012.12.11
유대인들은 왜?  (0) 2012.12.08
유대인들은 왜?  (0) 2012.12.07
유대인들은 왜?  (0) 2012.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