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11. 왜 성인들도 할례를 받을까?
어렸을 때 할례를 받지 않은 유대인들은 나중에라도 반드시 할례를 받아야 유대인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대교로 개종하려는 이방 남자들도 성인이 된 후에 할례를 받게 된다.
12.왜 어떤 유대인들은 할례를 반대할까?
19세기에 일부 개혁파 지도자들은 ‘할례는 시대에 뒤지고 야만적이므로 폐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같은 개혁파 조직 전체가 이러한 도발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했다.
지금도 모든 유대교 단체들이 할례를 중요한 종교의식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만, 일부 반대론자들은 ‘어린 아이에게 너무 큰 정신적 충격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권위있는 의학 전문가들은 할례를 받은 수십만 명의 유대인과 할례를 받지 않은 비유대인을 비교하면서 할례는 절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13. 왜 할례를 행하기 전날 밤에 아이를 밤새 지킬까?
유럽계 공동체에서는 일반적으로 할례를 행하기 전날 밤에 불침번을 서 가며 아이를 밤새 지키는데, 이것을 ‘깨어있는 밤(독일어 Wachnacht)’이라 한다.
학생들도 어른들과 함께 아이 침대 주변에서 쉐마(Shema) 기도를 하거나 공부를 하면서 밤을 지낸다.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침대 주변에 원으로 둘러 앉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대 신비철학에서 유래되었다.
참고로 유대풍습 중에서 원모양으로 둘러싸는 행동들은 대부분 그 목적이 악령들을 쫓아내는 데 있다.
14. 왜 할례 의식에 산덱(sandek)이 참석할까?
10세기 이전에는 집에서 할례를 행했고, 그때는 아버지와 모헬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10세기 이후에는 회당에서 아침예배를 마친 후 회중 앞에서 할례를 행하는데, 이때 친척이나 가까운 친구 또는 랍비를 초청하여 아버지와 모헬을 돕게 한다.
이 사람을 산덱(sandek)이라 부르는데, 이 말은 ‘대부(代父)’라는 뜻의 그리스어 표현에서 비롯된 것이다.
산덱은 할례를 행할 때 의자에 앉아 아이를 무릎에 눕힌 후 안아 주는 역할을 한다.
할례 의식에서 산덱이 그 중심에 있기 때문에 그를 ‘바알 브리트(baal brit)’ 즉 ‘할례의 우두머리’로 부르기도 한다.
15. 왜 할례 의식에 크바터(kvater)와 크바터린(kvaterin)이 참석할까?
중세에는 아버지와 모헬 그리고 산덱 외에도 두 사람이 더 할례 의식에 참여하였다. 바로 ‘크바터(kvater)’와 ‘크바터린(kvaterin)’으로서, 그들은 산덱을 도우면서 아이의 대부와 대모 역할을 하였다. 이들은 각각 남자와 여자이며, 부부 또는 남매인 경우가 많았다.
크바터는 ‘~같은(like)’이라는 뜻의 접두사로써 히브리어 글자 카프(kaf)와 ‘아버지’라는 뜻의 독일어 ‘파터(Vater)’가 합쳐진 말이다.
어원으로 보면, 독일어 ‘대부(代父)’에 해당하는 게파터(Gevatter)가 폴란드어-이디시어로 변형되어, 크바터와 크바터린으로 고정된 것이다.
크바터린은 할례를 시작할 때 아이를 어머니에게서 받아 크바터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크바터는 아이를 아버지에게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
아버지는 아이를 받은 후 미리 특별한 의자에 앉아 있는 산덱에게 넘겨 주는데, 이러한 아이 전달 절차는 그 이유가 분명히 있다.
즉 레위기 12장 1절 이하에 보면, 아이의 어머니는 출산후 아직 부정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아이를 남편에게 바로 전달하지 않고 중간에 정결한 상태에 있는 두 사람을 거치는 것이다.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 2012.08.18 |
---|---|
유대인들은 왜? (0) | 2012.08.17 |
유대인들은 왜? (0) | 2012.08.15 |
유대인들은 왜? (0) | 2012.08.14 |
유대인들은 왜? 아이의 종교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어머니일까? (0) | 2012.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