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유대인들은 왜?

Joyfule 2012. 10. 12. 08:19

 

 

유대인들은 왜?

 

 

5-41. 왜 오늘날에는 회당 입구에도 메주자가 걸려 있을까?

위에서 답했듯이 메주자는 성경적으로 사람이 먹고 자는 집에 걸어 놓아야 한다. 그러나 예전의 회당은 기도를 하는 곳에 불과했기 때문에 메주자를 걸어 놓을 필요가 없었다.  
요사이는 회당에도 메주자를 걸어 놓는데, 그 이유는 회당에서 사람들이 공부도 하고, 음식을 먹으면서 사회적인 모임도 갖기 때문이다.  
마이모니데스는 미쉬네 토라(Mishneh Torah, Hilchot Tefilin U' Mezuza 11)에서 “사람은 영구적인 거처에서 살아야 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원한다면 평생 동안 천막이나 배에서 살아도 되며, 이 때에는 메주자를 문설주에 달 필요도 없다”라고 기록하였다.

 

5-42. 왜 수카(sukka)에는 메주자를 걸 필요가 없을까?

수카(sukka)는 잠시 동안만 살기 위해 짓는 것이므로 메주자를 걸 필요가 없다. 위에서 기록했듯이, 반영구적으로 사는 집이 아니라면 메주자를 달 필요가 없는 것이다.

 

5-43. 왜 어떤 사람들은 집을 비우면서 메주자를 남겨 놓을까?

다른 유대인에게 집을 팔거나 임대했다면 메주자들을 남겨 놓아야 한다. 문설주에 메주자가 달려 있지 않으면 이사 온 사람은 메주자를 구할 때까지 그 집에서 살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이사 오는 사람이 유대인이 아니라면 메주자를 잘못 다룰 가능성이 있으므로 집을 비울 때 메주자를 모두 떼어 내어야 한다. 다만, 새로 이사 오는 사람이 메주자가 떼어진 것을 보고 불쾌할 가능성이 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이든지 메주자를 남겨 두는 것이 옳다.

 

 5-44. 왜 어떤 사람들은 메주자를 체인에 걸어 목에 걸까?

현대 유대인에게 있어서 메주자는 유대인을 상징하는 중요한 물건으로 사용되고 있다. 유대인 중에는 메주자를 문설주에 걸어 놓을 뿐 아니라 축소모형으로 목걸이 추, 넥타이 핀 또는 커프스 단추로 사용하기도 한다.  
메주자를 행운의 부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유대교 관례에 의한 것이요 동시에 유대교에 대한 충성심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목걸이 추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는 것이다. 

 

5-45. 왜 히브리어 글자들이 적힌 부적을 목걸이 추로 만들었을까?

이미 탈무드 시대부터 팔레스타인과 바빌로니아 지방의 유대인들은 ‘부적을 가지고 다니면 마녀나 악마의 눈을 피할 수 있다’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풍습은 다른 민족들에게도 있던 것이었다. 
오늘날에는 ‘살아있는’ 또는 ‘생명’이라는 뜻을 가진 ‘하이(chai)’ 글자가 부적으로 사랑받고 있는데,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하이’라는 단어의 숫자 가치는 헤트(chet)의 여덟과 요드(yud)의 열을 더해서 열여덟이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일반적으로 자선기금을 카이(열여덟) 달러 또는 열여덟의 배수만큼 낸다.
    
www.segibak.or.kr - 유대인들은 왜?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2012.10.15
유대인들은 왜?  (0) 2012.10.13
유대인들은 왜?  (0) 2012.10.11
유대인들은 왜?  (0) 2012.10.10
유대인들은 왜?  (0) 201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