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유대인들은 왜?

Joyfule 2012. 10. 10. 03:42

 

 

유대인들은 왜?

 

 

5-31. 왜 양피지 조각과 양피지를 담는 상자를 모두 메주자라고 부를까?

메주자(mezuza)는 사실 ‘문설주’라는 뜻이다. 사람들이 양피지 조각과 양피지 담는 상자를 문설주와 항상 같이 생각하다 보니 세 가지를 같은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5-32. 왜 메주자(mezuza)를 쉐마(Shema)라고도 부를까?

메주자 양피지에는 신명기 6장 4절부터 9절까지의 말씀이 적혀있는데, 첫 번째 단어가 “들으라”라는 뜻의 ‘쉐마’이다. 즉 “이스라엘아 들으라(쉐마 이스라엘). 우리 하나님 여호와는 오직 하나인 여호와시니”로 시작되는 것이다. 
이 말씀은 예배 때마다 듣는 구절이며, 잠자리에 들기 전에 드리는 기도에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인기있는 말씀이 되었다. 메주자의 말씀 구절 중에서도 첫 번째 단어를 따서 ‘메주자’ 대신 ‘쉐마’로 부르는 사람들이 많이 생기게 되었다.

 

5-33. 왜 메주자는 꼭 양피지에 손으로 써야 할까?

토라를 기록할 때 적용되는 율법은 메주자를 기록할 때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즉, 서기관(히브리어 sofer)은 코셔 가금류(보통 거위나 칠면조)의 깃대를 필기도구로 사용하여야 하며, 식물성 원료로 특별하게 만들어 지워지지 않도록 만든 검은색 잉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서기관은 신명기 6장 4~9절의 말씀 22줄을 기록하되 양피지도 코셔 동물의 가죽을 사용하여야 한다. 주로 양이나 염소의 가죽을 사용한다.

 

5-34. 왜 메주자 양피지 앞면에 샤다이(Shaddai)라는 글씨를 써놓을까?

탈무드 시대 사람들은 메주자에 악령을 물리치는 능력이 있어 자신들을 보호해 준다고 믿었다. 중세시대에는 카발라 학자들의 영향을 받아, 메주자가 가지고 있는 신비한 능력을 증명하기 위하여 성경구절을 인용하였다. 
카발라 신비주의의 출전(出典, source book)인 ‘조하르(Zohar)’이라는 책에는 ‘메주자 양피지에 샤다이라는 두문자어(頭文字語,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말)가 있어야 한다’고 적혀 있다. 샤다이는 ‘이스라엘의 문들을 보호하는 자’라는 뜻의 ‘shomer daltot Yisrael’이라는 히브리어 말의 첫 글자들(쉰, 달레트, 요드)을 딴 것이다. 

 

5-35. 왜 메주자 양피지 앞면에 ‘코주 베묵흐사츠 코주’라는 단어를 쓸까?

중세시대 신비주의자들은 메주자 앞면 하단 즉, 샤다이(Shaddai)라는 단어 아래에 세 단어로 된 암호를 적었다. 코주 베묵흐사츠 코주(kozu bemuchsaz kozu)라는 이 세 단어는 ‘아도노이 엘로헤이누 아도노이(Adonoy Elohaynu Adonoy)’라는 히브리어를 암호로 만든 것인데, “주 우리 하나님은 주시다”라는 뜻이다. 
Kozu bemuchsaz kozu는 히브리어 Adonoy Elohaynu Adonoy의 알파벳을 바로 다음에 오는 알파벳으로 대체해서 생긴 말이다. 아도노이(Adonoy)를 예로 들자면, 아도노이의 알파벳 요드, 헤이, 바브, 헤이를 각각 그 다음 알파벳 카프, 바브, 자인, 바브로 바꿔서 코주(kozu)라는 단어를 만든 것이다. 
마이모니데스(Maimonides)를 포함한 지식인들은 이 풍습을 반대했다. 이들은 메주자 양피지에 적힌 암호문이 미신이라고 비난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풍습은 오늘날까지 지켜지고 있다.

    www.segibak.or.kr - 유대인들은 왜?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2012.10.12
유대인들은 왜?  (0) 2012.10.11
유대인들은 왜?  (0) 2012.10.09
유대인들은 왜?  (0) 2012.10.08
유대인들은 왜?  (0) 2012.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