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12-1. 왜 초막절을 지킬까?
히브리어 수콧(Sukkot)은 유대인의 큰 축제로서 초막절을 말한다. 신년 명절로부터 2주 뒤인 티슈리월 15일에 지키게 되므로 태양력으로는 9~10월에 해당된다.
초막절은 유월절 또는 오순절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농업 절기였다. 그러나 성경 레위기 23장 42~43절 말씀에 따라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절기가 되었다. 성경에는 “너희는 이레 동안 초막에 거주하되 …… 이는 내가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때에 초막에 거주하게 한 줄을 너희 대대로 알게 함이니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도 많은 유대인들은 초막을 지어 이 절기를 기념하고 있으며, 자녀들에게 광야생활 40년을 체험하게 하고 있다.
12-2. 왜 성경에서는 초막절을 수장절이라고 부를까?
출애굽기 23장 16절은 초막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즉 “수장절(收藏節, Chag Ha-asif)을 지키라 이는 네가 수고하여 이룬 것을 연말에 밭에서부터 거두어 저장함이니라.”
12-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스라엘 민족이 광야 40년을 기념하기 이전까지는 초막절이 농업 절기 중의 하나였다. 초막은 포도 농사꾼이 포도 수확기에 묵었던 임시 거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농사꾼들이 초막을 더 이상 짓지 않게 되어 지금은 초막절을 기념하는 종교적인 상징으로만 남게 되었다.
12-3. 왜 초막절을 영어로 ‘Tabernacles’라고 부를까?
‘Tabernacles’는 ‘오두막, 임시 거처’라는 라틴어 tabernaculum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을 쓴다.
‘Sukka(복수형 sukkot)’도 같은 뜻을 가진 히브리어이다.
12-4. 왜 탈무드에서는 초막절을 ‘하그’로 부를까?
‘하그(chag)’는 히브리어로서 단순히 ‘명절’이라는 뜻이다. 탈무드뿐 아니라 성경에서도 초막절을 ‘하그’로 표현한 곳이 몇 군데 있다.
탈무드가 초막절을 ‘하그’로 부르는 이유는 초막절이 종교 달력에서 마지막 명절이기 때문이며, 동시에 화려한 큰 절기로 치룬 것과도 관련이 있다.
‘심하 베트 하쇼에이바(Simchat Bet Hasho'ayva)’라는 ‘물을 드리는 축제’는 더욱 특별하다. 유대인들은 초막절 둘째 날 저녁에 금으로 만든 병에 실로암 연못의 물을 담은 후 이것을 성전 제단에 부으면서 우기(雨氣)가 오기를 기도했다. 그리고는 밤새 횃불을 들고 열을 지어 다니면서 노래를 부르거나 춤을 추었다.
이와 관련된 글이 탈무드(Mishna Sukkot 5:1)에 기록되어 있다. 즉 “물을 드리는 축제를 보지 못한 사람은 진정한 흥겨움이 어떤 것인지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12-5. 왜 초막절을 순례자의 축제라고 말할까?
유대력에서는 무교절(유월절), 맥추절(칠칠절, 오순절), 수장절(초막절)을 ‘순례자의 축제’로 표시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 세 절기 때에는 모든 남자들이 예루살렘 성전으로 순례를 가야 했기 때문이다(출 23:14~17).
이 세 절기가 모두 농업 명절이었으므로 팔레스타인에 사는 유대인들은 절기를 지키기 위하여 처음에는 그 계절의 첫 수확물을 들고 성전으로 가야 했다. 농산물의 일부는 성전에 제물로 바쳤고, 나머지는 제사장 가족들에게 주었다. 순례자들은 이러한 의무를 다 한 후에 비로소 자기가 농사 지은 작물을 먹을 수 있었다
www.segibak.or.kr - The Jewish Book of W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