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유대인들은 왜?

Joyfule 2012. 12. 18. 09:04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12-11. 왜 어떤 유대인은 돌출부 없는 시트론을 쓸까?
‘시트론(etrog)’에는 과일 배꼽 위치에 젖꼭지 모양의 돌출부 즉 ‘피톰(pittom)’이 나 있다. 아람어로는 ‘쇼샨타(shoshanta)’ 즉 ‘꽃’이라는 뜻이며, 그 모양 때문에 풍요를 상징한다. 대부분의 유대인들은 시트론이 이 피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막절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피톰이 없는 시트론을 사용하는 유대인들도 있다. 왜냐하면, 피톰이 있는 시트론은 교배종이므로 성경이 말하는 ‘아름다운 나무 실과’가 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에서 자라는 시트론들은 모두 피톰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북아프리카와 일부 지중해 나라에서 들여 온 시트론들은 피톰이 없는 대신 교배종이 아닌 코셔(kosher, 정결한 음식)이다.
유대인 공동체들은 지역에 따라 우수한 시트론(muvchar)을 고르는 기준들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동양의 유대인들은 둥글고 통통한 시트론을 선호하지만, 헝가리의 유대인들은 표면이 매끄러운 타원형 시트론을 좋아한다. 그리고 갈리시아계 유대인들은 표면에 골이 있는 시트론이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하며, 어떤 유대인들은 시트론의 볼록 튀어나온 피톰과 꼭지(ikutz)가 일직선상에 있어야지 우수한 것으로 본다.

 

12-12. 왜 ‘피톰’이 망가진 시트론은 코셔가 아닐까?
시트론(etrog)에서 ‘피톰(pittom, 배꼽부분의 돌출부)’이 떨어지거나 망가진 것은 더 이상 완전하지 않으며 아름답지도 않다. 따라서 성경에서 초막절에 사용하라고 한 ‘아름다운 나무 실과’로서의 가치가 사라져 코셔로서의 자격을 상실하게 된다.
유대인들은 흠 없고, 아름다운 시트론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며 심지어 시장에 돋보기를 가져 가 시트론을 비춰 보면서 흠없는 것을 고르는 사람도 있다.

 

12-13. 왜 식물 축복 기도에 종려나무만 언급될까?
유대인들이 네 가지 식물 중에서 한 가지만 골라 축복해야 할 경우라면, 상식적으로는 가장 아름다운 ‘시트론(etrog)’을 고르는 것이 이치에 맞다. 그러나 종려나무(lulav) 가지가 선정되었는데, 그 이유는 종려나무가 네 가지 식물 중에서 가장 키가 크고, 기량도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12-14. 왜 시내버들 두 가지를 쓸까?
시내버들 가지를 한 개 이상 쓰는 전통은 성경이 ‘버드나무’를 복수형인 ‘aravot’로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따라서 시내버들 가지는 두 개를 사용한다.
또한 ‘무성한 나무 가지’로 기록된 화석류나무(hadas, 복수형 hadasim)는 ’anaf, aytz, avot(무성한 나무 가지)‘의 세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대인들은 이를 세 개로 보고 화석류 가지도 세 개를 사용하게 되었다.

 

12-15. 왜 화석류나무를 시내버들보다 높이 꽂을까?
화석류나무 가지는 향기가 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시내버들 가지보다 우수하다고 평가받는다. 화석류나무 가지를 시내버들 가지보다 높이 꽂는 풍습도 이런 전통에 따른 것이다.

 

www.segibak.or.kr - The Jewish Book of Why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2012.12.21
유대인들은 왜?  (0) 2012.12.19
유대인들은 왜?  (0) 2012.12.17
유대인들은 왜?  (0) 2012.12.15
유대인들은 왜?  (0) 2012.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