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120-1과) |
이사야서의 서론 문제 |
이사야는 옛 예루살렘을 사랑했지만, 동시에 새 예루살렘을 고대했다. 그는 아마 예루사렘에서 태어나서 그 곳에서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그는 결혼하여(8:3), 적어도 두 아들(스알야숩과 마할살랄하스바스)을 낳았고,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한 시대(주전 740-700)를 살면서 사역을 했다. 이사야의 사역은 다음과 같이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 사회 비판 시기(주전 740-734년)(사 2-5장) (사 1:1)에 이사야서 저자는 이사야의 사역을 4시기로 구분하고 있다. 1. 웃시야
아하스의 뒤를 이은 왕은 히스기야(주전 729-686년)였다. 그는 모든 면에서 아하스와는 대조되는 선한 왕이었다. 그는 주전 715년부터 686년까지 독자적으로 유다를 통치했으며. 국가적, 개인적으로 비극을 맞았을 때에 선지자 이사야에게 자문을 구했다. 그는 여호와를 의지하고 부패한 나라를 다시 일으키기 위해서 과감한 종교개혁을 시도했다(왕하 18:4,22). 그는 호전적인 강국 앗시리아와 적절한 관계를 유지해야만 했다. 앗시리아 왕 사르곤 2세(주전 722-705년)는 전쟁에 적극적이었다. 그는 동쪽(엘람, 바벨론)과 서쪽(수리아-에브라임)의 여러 나라를 비롯해서, 유다 남서부 국경에 접한 와디엘 아리쉬까지 정복했다(주전 715년). 이러한 상황에서 히스기야는 앗수르의 영토 확장 정책에 적절히 대처해야 했다. 그러나 그는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앗수르와 적절한 관계를 유지해 나갈 수 있었다. 그는 나라를 개혁하고 유다의 이익을 증진시켜 나갔다. 그는 유월절 행사에 북왕국의 남은 자들을 초청하기도 했다. 주전 712년에 앗수르 왕 사르곤은 블레셋을 정복하고 히스기야에게 공물을 요구했다. 그리고 사르곤이 죽은 후에(주전 705년) 산헤립(주전 705-681년)이 앗수르의 왕이 되었다. 산헤립은 이집트와 블레셋과 유다의 연합 세력에 강하게 맞서 싸웠다(왕하 18:7). 그는 그 전쟁에서 46개나 되는 도시를 점령했다(사 10;28-32, 미 1:10-16에 나열된 도시들은 그 일부로 보인다). 마침내 산헤립은 예루살렘을 포위하기에 이르렀고, 히스기야는 성에 갇히고 말았다. 그때에 산헤립은 히스기야에게 항복을 요구했다(주전 701년). 그러나 하나님은 이사야를 보내 예루살렘을 구원해 주시겠다고 약속해 주셨다. 그리고 하나님은 그날 밤에 천사들을 보내서 앗수르 군대를 치셨다. 이로 인해 산헤립은 거의 대부분의 군사들을 잃고 빈 손으로 퇴각을 하고 말았다. 그리고 유다 백성들은 하나님께서 베풀어주신 큰 구원을 기뻐하면서 하나님께 감사를 드렸다(왕하 19:35-36).
그 후에 히스기야는 병이 들고 말았다. 그는 병이 낫기를 위해서 간절히 기도했으며, 하나님은 그의 기도를 들어주시고 그의 생명을 15년 동안 연장해 주셨다(왕하 20:1-19, 대하 32:24-26, 사 38:1-22). 이 기간 동안 하나님은 유다를 번영케 하셨고, 히스기야는 장차 있을 지도 모르는 앗시리아의 공격에 대비했다(대하 32:27-29). 그러나 이 기간은 큰 문제점을 안은 기간이기도 햇다. 히스기야는 앗수르에 대한 승리에 우쭐했다. 그래서 그는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파견된 바벨론의 사신들에게 그가 가진 모든 보물과 무기고들을 보여주고 말았다. 그 때에 하나님은 이사야 선지자를 보내서 장차 유다가 바벨론에게 점령당하고, 그가 보여준 모든 보물을 빼앗길 것이라고 경고하셨다(사 39:6). 그러나 이사야는 장차 유다가 바벨론에게 멸망되어 포로로 잡혀갔다가 여호와의 도우심으로 다시 귀환하게 될 것이라고 약속했다(이사야 40-48장).
2. 문학형식과 내용 요약 2-1. 문학형식 이사야는 히브리어가 지닌 풍부함을 효과있게 나타낸 재능있는 설교가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서 스코트는 이렇게 말했다. 보수주의 학자들은 이 책 전체에 나타난 어휘와 주제의 유사성과 반복에 근거해서, 이 책은 처음부터 한 권으로 된 책이며, 이사야가 단독으로 이 책을 기록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비평주의 학자들은 서로 다른 주제들을 가지고 구절을 분리하여, 이 책을 몇 개로 나누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책을 여러 개로 나누어야 한다는 주장은 시간이 갈수록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 그들이 서로 다른 주제라고 주장했던 주제들은 점점 더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학자들은 점점 더 이사야서 전체가 통일된 구조를 가지고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다. 이러한 일에 기여한 학자는 아크로이드, 이튼, 죠셉 젠센 등이 있다. 특히 조셉 젠센은 이사야서에서 하나님의 계획이란 주제가 아치형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시도는 이사야서에서 심판과 구원의 통일적인 메시지를 밝히는 길을 열어주었다.
2-2. 내용 요약
다음 주 계속 - |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121과)2 (0) | 2010.05.12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121과)1 (0) | 2010.05.11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119과)3. (0) | 2010.05.08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119과)2. (0) | 2010.05.07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119과)1 (0) | 201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