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4): 분열왕국 이야기(1)(12-17장)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7과)3
4. 평가적 관심
열왕기 기자는 등극 공식에 나타나는 신학적 평가를 통해 두 왕국의 왕들의 역사를 신학적으로 해석하려는 관심을 보인다. 이런 점에서 이 역사는 소위 "역사를 위한 역사, 또는 냉정한 역사는 아니라, 신학적 역사이다. 이 점은 메소포타미아에서도(아마도 유다와 예루살렘에서) 발견되는 공식적 궁중 기록들이 열왕기에서 보는 왕들에 대한 종교적 평가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볼 때에 매우 특이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종교적 평가들은 이스라엘 왕 역대 지략이나 유다 왕 역대 지략에는 없었던 내용을 열왕기 기자가 직접 평가한 것인지도 모른다.
4-1. 여로보암의 죄-이스라엘 왕의 기준
등극 공식에 나타나는 평가는 매우 도식적이다. 북방 이스라엘의 경우에는 "여로보암의 죄"를 지었는가의 여부로, 남방 유다의 경우에는 "다윗의 길"을 따랐는지의 여부로 간단하게 평가하고 잇다.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이스라엘에서는 전체 20명의 왕중에서 그 어떤 왕도 열왕기 기자에 의해 선하다는 판단을 듣지 못했다. 특히 예후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직 예후만이 가장 호의적인 평가를 받는 왕이었다. 그는 여호와의 명으로 엘리사에 의해 기름 부음을 받았으며, 아합의 전체 식구를 멸절하라는 명령도 받았다(왕하 10:30).
왕조 |
왕 |
평가공식 |
비고 |
여로보암 |
여로보암1세 |
|
|
나답 |
여로보암의 죄 |
살해됨 | |
바아사 |
바아사 |
여로보암의 죄 |
|
엘라 |
함축 |
살해됨 | |
시므리 |
시므리 |
여로보암의 죄 |
자살-7일천하 |
디브니 |
디브니 |
평가없음 |
|
오므리 |
오므리 |
여로보암의 죄 |
|
아합 |
여로보암의 죄, 바알숭배 후원 |
| |
아하시야 |
여로보암의 죄 |
| |
여호람 |
여로보암의 죄 |
살해됨 | |
예후 |
예후 |
여호와보시기에 정직, 여로보암의 죄 |
|
여호아하스 |
여로보암의 죄 |
| |
요아스 |
여로보암의 죄 |
| |
여로모암2세 |
여로보암의 죄 |
| |
스가랴 |
여로보암의 죄 |
호의적인 평가 | |
살룸 |
살룸 |
평가없음 |
살해됨 |
므나헴 |
므나헴 |
여로보암의 죄 |
|
브가히야 |
여로보암의 죄 |
살해됨 | |
베가 |
베가 |
여로보암의 죄 |
살해됨 |
호세아 |
호세아 |
여호와께 악행 |
|
그러면 도대체 여로보암의 죄가 무엇인가? 여로보암의 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왕상12:28-33)에 나온다. 여로보암은 금송아지를 만들어 벧엘과 단에 두고, 레위 자손이 아닌 보통 백성을 제사장을 삼았으며, 7월15일이 아닌, 8월15일로 절기를 바꾸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여로보암 왕이 조직적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신명기 율법의 대부분의 원리를 깨뜨렸다는 인상을 받게된다. 1) 중앙성소 외에서의 제사(신 12:5-7), 2) 형상만들기(신 9:8-21), 3) 비 레위 계열의 제사장(신 18:1-8), 4) 비레위 계열의 제사장(신 18:1-8). 4) 마음대로 정한 달에 잘막절을 지키게 함. 게다가 두 금송아지를 만들게 한 일이나, 이를 가리켜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올린 너희 신들"이라고 복수 동사를 사용한 것을 보면 여로보암이 다신론을 받아들였음을 보여준다. 나레이터는 분명히 여로보암의 제사는 여호와에 대한 것이 아니라, 금송아지에 대한 제사임을 주장하고 있으며, 더욱이 오래 된 산당 제도도 여로보암의 탓으로 돌리고 있다(왕하 10:31).
일부 역사 지향적인 학자들은 여로보암은 단지 이스라엘의 고대 예배 전승을 회복하려는 것뿐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여로보암이 만든 금송아지는 법궤가 여호와의 보좌인 것처럼, 단지 그 발등상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그들은 금송아지를 세운 단과 브엘세바는 왕국의 남과 북의 끝이기 때문에 이 곳에 금송아지를 세운 일은 다신론적인 배도의 행위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예적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주장은 옳지 않다. 앞에서 살펴본대로 열왕기 전체에 있어서 여로보암의 죄는 후대의 죄의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여로보암의 죄는 모든 북방 이스라엘 왕들을 비난할 때에 기준이 되고 있으며, 요시아 왕에 의해서만 이 죄가 해소되고 원상태로 돌아온다(13:2, 왕하 23:15-20). "이스라엘로 범죄케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이 벧엘에 세운 단과 산당을 왕이 헐고, 또 그 산당을 불사르고 빻아서 가루를 만들며, 또 아세라 목상을 불살랐더라(왕하 23:15)." 열왕기에 있어서 여로보암의 행동은 가장 악한 죄로서, 여로보암은 선한 왕의 모형인 요시야와 대조되는 악한 왕의 모형이었다. 금송아지는 순진한 이들에게 곡해될 소지가 너무 많이 있었으며, 실제로 이스라엘의 역사 가운데 무서운 신학적 위험을 초래하였음은 아무스와 호세아 선지자의 글을 통해서 분명히 알 수 있다. 여러 군데의 성소는 가나안적 바알 숭배의 지역적 복수성을 암시하며, 단의 여호와와 벧엘의 여호와라는 잘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었다.
결국 여로보암은 후대의 왕들이 심판받는 악의 패러다임으로, 죄를 저지른 왕으로 제시된다. 이 점에서 여로보암은 다윗과 대조를 이룬다. 이는 후에 요시야와 므낫세가 대조되는 것과 유사하다. 이 점에서 저자는 고대 근동 아시아의 관습을 따르고 있다. 나람-신(Naram-Sin)은 니푸르(Nippur)의 엔릴(Enlil) 신전을 더럽혔다는 이유로 1,500년 동안 메소포타미아 문헌에서 악한 왕의 전형으로 묘사되고 있다. 아키투(Akitu) 절기를 훼방하였다는 이유로 불건전한 왕의 전형으로 묘사된 나보니두스(Nabonidus)는 후대의 악한 지배자의 전형이 되었다.
여로보암은 고대 근동 아시아적인 전형적인 사악한 왕의 대명사이다. 결국 여로보암의 죄는 열왕기에 나오는 두 가지 형태의 배도 가운데 하나로서, 여호와에 대한 부족절한 예배 행위였다. 이것응 열왕기상 11장에 언급된 솔로몬의 우상 숭배와 함께 열왕기에 나타나는 두 가지 배도 가운데 하나이다. 결국 열왕기 기자는 "여로보암의 죄"라는 신학적 평가 공식을 통해서 여로보암과 북방 왕들은 국가를 죄로 이끌고 가고, 궁극적으로는 멸망과 포로로 끌고 간 가장 사악하고 회개할 줄 모르는 우상 숭배자로 묘사되고 있다.
열왕기 기자는 이를 통해 이스라엘이 성전 예배와 여호와를 버리기 시작하고, 끝내는 앗시리아에 포로로 잡혀가게 된 계기가 바로 북방 이스라엘의 분리임을 지적하고 있다. 특별히 열왕기하 17장에서는 북방 이스라엘의 멸망을 가져온 장본인은 여로보암이라고 명시적으로 기록하고 있다(왕하 17:21-23). 열왕기 기자는 열왕기 구조의 신학 공식 안에 반복적으로 왕국의 멸망이 불가피한 것이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열왕기의 구조는 열왕기 전체 내러티브 안의 골격과 순서를 제공하며, 이스라엘 역사의 집적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7과)5 (0) | 2009.04.03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7과)4 (0) | 2009.04.01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7과)2 (0) | 2009.03.30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7과)1 (0) | 2009.03.30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66과)8 (0) | 2009.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