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관 자료 ━━/인터넷성경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2과)1

Joyfule 2009. 5. 3. 06:25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2과)1

역대기(3): 분열왕국 (대하 10-36장)

 


1 회개와 하나님의 자비

 

  역대하 7:14의 원리가 역사 가운데 어떻게 적용되는 지는 분열 왕국의 첫 왕인 르호보암 기사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르호보암의 통치 기사를 담고 있는 역대기 본문은 역대하 10-12장인데, 10장은 열왕기의 병행 본문과 거의 유사하나, 11-12장은 열왕기와 상당히 큰 차이를 드러낸다.

첫째, 르호보암의 통치 기사를 담고 있는 역대기 본문(총 58절)은 열왕기 본문(왕상 12:1-24, 14:21-31, 총 35절)보가 훨씬 길다.

둘째, 열왕기는 르호보암이 여호와 보시기에 악을 행했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왕상 14:22), 역대기는 전반적으로 겸비하여 회개한 왕으로 묘사하고 있다(대하 14:22). 겉으로 보면 역대기 기자가 역사보다는 신학에 더 관심을 가지고, 역사를 왜곡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렇게 보는 것은 역대기 기자의 독특한 접근을 오해하는 것이다.

 

  우선 르호보암의 역대기 기사가 긴 것은 르호보암이 역대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열왕기에서 르호보암은 여로보암 스토리의 보충 정도로 다루어진 반면에, 역대기에서 르호보암은 그 자체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역대기에서의 르호보암은 하나님께서 다윗의 전 왕조를 어떻게 다루시는지를 보여주는 일종의 샘플로 제시되고 있다. 역대기의 주요 주제들이 르호보암 기사(대하 11-12장) 가운데 등장하는 데, 열왕기에서는 이런 요소들이 나타나지 않는다. 르호보암 스토리에 나오는 역대기의 주요 주제들은 "예언에 대한 순종의 중요성"(11:1-4), "건축 사업을 통한 왕국의 강화"(11:5-12), "하나님을 구하는 것의 중요성"(11:13-17), 그리고 "회개의 중요성"(12:5-12) 등이다.

 

  역대기 기자가 르호보암 기사에서 이렇게 역대기의 주제를 드러내는 많은 자료들을 첨가한 것은, 심지어 악한 자도 하나님께 돌아갈 수 있는 길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역대기 기자도 열왕기 기자처럼 르호보암을 "여호와의 율법을 버린 자"로 비난하지만(대하 12:1-2,14) 르호보암 스토리의 주요 목적은 (대하 7:14)에 제시된 용서와 회복의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보여주는 데 있었다. 실제로 하나님은 르호보암의 회개에 직접적으로 반응을 보이시고, 진노를 거두시고, 유다를 모두 멸하지 않으셨다. "르호보암이 스스로 겸비하였고, 유다에 선한 일도 있으므로, 여호와께서 노를 돌이키사 다 멸하지 아니하셨더라(대하 12:12)."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르호보암의 회개는 지속적이라기 보다는 일시적인 것처럼 보인다는 데 있다. 성경 나래이터는 르호보암이 "마음을 오로지하여 여호와를 구하지 아니함으로 악을 행하였더라"고 결론을 짓고 있다(대하 12:14). 이렇게 보면 (대하 11-12장)은 역대기의 복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만일 하나님께서 유다의 궁극적 몰락을 가져오게 한 전형적인 죄(일시적 회개)를 범한 르호보암과 같은 인물에게 호의를 보이셨다면,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겸비케 하는 이들에게 호의를 베푸시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겠는가? 르호보암 스토리가 페르시아 제국의 통치 아래 종노롯을 하고 있는 포로 후 공동체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르호보암의 스토리가 주는 메시지는 "자유로 가는 유일한 길이 하나님을 찾고 그 앞에서 겸비한 자세를 보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