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라-느헤미야(2): 에스라 (1-10장)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5과)2
4-3. 제 2출애굽의 첫 물결
여호와는 하나님의 백성들의 회복과 재건을 위해 구속사역을 시작하시고 고레스의 마음을 감동시켜 조서를 선포하게 하셨다. 또한 여호와께서는 동시에 유다 포로민들의 마음을 "감동시켜" 그들이 예루살렘 귀향길에 오를 수 있게 해주셨다(스 1:5). 우리는 여기에서 하나님의 섭리적 돌보심을 발견할 수 있다. 비록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을 심판하시고 바벨론에 포로가 되게 하셨지만, 그것으로 끝난 것이 아니었다.
여호와께서는 다시 포로지에서 자기 백성을 재창조하셨다. 여호와께서는 의심과 낙망의 무덤에서 남은 자들의 마음을 감동하여, 그들을 다시 자기 백성으로 부르셨다. 이러한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한 신실한 남은 자들은 세스바살의 인도 아래 최초로 예루살렘으로 귀향했다. 세스바살은 여호여긴 왕의 아들이요(세낫살, 대상 3;18), 스룹바벨의 숙부이며, 회복된 유대의 총독으로 임명된 사람이었다. 이들이 귀환하는 장면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두 번째 출애굽"에 비교되고 있다.
첫째로 주변 사람들이 돌아가는 유다 포로들에게 많은 보물들을 주었다.
"그 사면 사람들이 은그릇과 황금과 기타 물건과 짐승과 보물로 돕고, 그 외에도 예물을 즐거이 드렸더라(스 1:6)." 이것은 과거에 애굽인들이 탈출하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했던 것과 아주 유사하다. "이스라엘 자손이 모세의 말대로 하여 애굽 사람에게 은금 패물과 의복을 구하매,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으로 백성에게 은혜를 입게 하사, 그들의 구하는 대로 주게 하시므로, 그들이애굽 사람의 물품을 취하였더라(출 12:35-36)."
둘째, 원래의 성전 기명을 유다인들에게 돌려주어 조심스럽게 예루살렘에 돌아가도록 배려해 주었다.
"고레스 왕이 또 여호와의 전 기명을 꺼내니 옛적에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옮겨다가 자기 신들의 당에 두었던 것이라(스 1:7)." 여기에서 언급되고 있는 여호와의전 기명들은 출애굽시 장막을 위해서 만들었던 기명들을 생각나게 해준다. 패배한 민족의 신전 기명들을 승리자의 신들의 신전에 갖다놓는 것은, 패배한 민족들에게 그들의 신이 구원할 능력이 없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바벨론 신전에 놓인 여호와의 전 기명들은 바벨론인들에게는 여호와에 대한 바벨론 신들의 승리를 보여주는 가시적 상징이었을 것이다.
페르시아인들의 눈에는 이러한 일이 예루살렘을 다시 여호와의 도시로 만든 것으로 보였을 것이다. 한편 여호와의 성소의 기명들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일이 이스라엘 사람들의 눈에는 어떻게 보였을까? 아마도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러한 사건을 보고 여호와께서 옛날 출애굽 때에 보여주신 친밀한 관계로 다시 회복시켜주실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받아들였을 것이다.
셋째, 유다인들은 성전 건축을 위해 자원해서 금, 은, 제사장의 옷 등의 많은 예물을 드렸다(스 2;68-69).
이것은 과거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성막을 짓기 위해서 예물을 드리던 모습과 유사하다(출 35:20-29).
에스라-느헤미야서 기자는 세스바살과 스룹바벨의 인도 아래 돌아온 포로 귀환을 제 2 출애굽의 첫 번째 물결로 보고 있다. 실제로 바벨론 포로민들의 귀환은 세스바살과 스룹바벨 때부터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까지 오랜 과정에 걸쳐 80년간 지루하게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스라-느헤미야 기자는 포로 귀환 역사를 제2 출애굽으로 모형론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역사 배후에 있는 하나님의 손길을 믿음의 눈으로 보게 해주고 있다. 에스라-느헤미야서 기자는 이런 모형론을 통해서 이스라엘이 처음 탄생할 때에 보여주셨던 하나님의 은혜와 같은 은혜가 바벨론에서 귀환한 유대인들에게도 베풀어졌음을 암시하고 있다.
에스라-느헤미야서 기자는 바벨론으로부터의 귀향을 이스라엘이 애굽을 나와 가나안에 들어간 것과 유사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는 포로후의 하나님의 백성이 포로전의 하나님의 백성과 동질성이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일은 포로후 공동체가 출애굽 이전의 이스라엘과 같은 언약의 상속자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포로 후 공동체에게는 다음과 같은 주제가 매우 중요한 이슈였다."하나님 약속이 아직도 유효한가?" "하나님의 백성에게 미래가 있는가?" 그러므로 에스라-느헤미야서 기자는 제2 출애굽의 모형론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에 대해 분명한 대답을 하고 있었다.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5과)4 (0) | 2009.05.31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5과)3 (0) | 2009.05.30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5과)1 (0) | 2009.05.28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4과)8 (0) | 2009.05.27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4과)7 (0) | 2009.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