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2 |
에스더(1); 서론과 구조 |
1-3. 문제성
에스더서가 일부 유다주의 서클에서는 존경의 대상인 반면에, 대부분 평가절하의 대상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 첫째,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의 말씀이 나오지 않는다. 게다가 "여호와"라는 이스라엘 신의 고유명사는 커녕 일반적인 신을 가리키는 총칭명사인 "하나님"에 대한 언급도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심지어는 사랑 문학인 아가서도 냉소적으로 들리는 전도서도 하나님의 이름은 언급하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이는 특이한 현상이 아닐 수 없다.
에스더서는 하나님이라는 단어조차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반면에, 이방 페르시아 왕은 167절 안에 무려 190번이나 하나님을 언급하였다. 둘째, 에스더서에는 종교적 요소가 적어보인다. 예를 들어, 율법, 언약, 성전과 같은 주제는 물론, 심지어는 위기 가운데에서 기도로 위험을 극복했다는 언급도 없다. 게다가 다른 포로 후기 성경문서들에 나타나 있는 안식일 준수 규례, 음식 금지 규정, 이방인과 통혼 금지에 관한 이야기도 언급하지 않는다.
오히려 여주인공인 에스더는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이방 왕과 결혼하는 모습을 보인다(레 19:11을 어긴 것임). 셋째,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등장 인물들의 윤리적인 모호성이다. 에스더가 할례받지 않은 이방인인데다가 이혼까지 한 왕의 부인이 되기 위해서 결혼 전에 성관계를 맺는 점은 도덕적으로 납득이 가지 않는다(참조 출 34:16, 신7:3). 만일 왕후로 간택되지 않는다면 에스도는 왕의 하렘에서 첩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모르드개의 행동도 도덕적으로 의혹의 대상이다. 상급자에게 절하는 것은 고대 근동 아시아, 특별히 페르시아에서는 일반적인 왕궁 예절이었다. 다니엘과 그의 친구들은 느부갓네살이 우상 앞에 절할 것을 요구했을 때에야 비로소 절하기를 거부하였다. 그러나 모르드개는 왕의 고위 신하에게 절하는 것을 거부함으로 자신 뿐 아니라, 동료 유대인 전체를 위기에 빠지게 만들었다(3:4). 과연 이런 태도가 바람직한 것인가? 어리석이 짝이 없는 오만한 태도가 아닌가? 어떻게 보면 에스더서의 등장 인물은 철저하게 세속적인 인물처럼 보인다.
어떤 학자는 에스더서에는 고귀한 인물이 단 한 명도 나오지 않는다고 혹평한다. 그는 잔치 석상에 나와서 미모를 자랑해 달라는 아하수에로 왕의 요구를 거절한 와스디만이 에스더서에서 유일하게 본받을 만한 인물이라고 주장한다. 일부 고대 유다인 해석자들은 "왕후의 면류관은 정제하고 나오라"는 왕의 명령을 "단지 왕후의 면류관만 쓰고" 나오라는 뜻으로(나체로) 해석하기도 한다.
에스더서에서 문제로 제기되는 것은 그뿐만이 아니다. 우성 9장의 대량 학살은 의로운 보복인가? 아니면 지나친 살육인가? 아니면 이 둘의 복합인가? 최소한 유다인들은 승리의 순간에 적들과 같은 수준의 행동에 머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마지막으로 에스더서는 매우 유다주의적인 특성을 보인다. 에스더서는 유다인의 구원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긴 정기도 유다 절기인 부림절이다. 따라서 에스더서는 "유다인 중심적'이다. 그에 반해 기독교인은 부림절을 지키지않고 있다.
1-4. 개혁주의 전통과 에스더서
따라서 위와 유사한 이런 저런 이유로 종교 개혁자 루터는 에스더서가 아예 존재하지 않았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심지어 개신교 가운데에서도 구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장 강하게 지지하고 선호하는 개혁주의 전통에서도 에스더서는 흔쾌한 호응을 얻지 못했다. 우리가 아는 한, 칼빈은 에스더서를 본문으로 설교한 적이 없다.
그러나 에스더서는 얌니아에서 랍비들에 의해 정경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초대 기독교회에서도 논란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397년 카르타고 회의에서 에스더서를 정경으로 인식하고 확증하였다. 그 이후 교회는 에스더서를 정경의 일부로 받아들인 것은 타당한가? 만일 에스더서가 정경이라고 한다면. 우리는 에스더서가 정경으로 인정된 기준이 무엇이며, 에스더서가 전하는 신학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자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4 (0) | 2009.06.15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3 (0) | 2009.06.14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1 (0) | 2009.06.11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6과)6 (0) | 2009.06.10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6과)5 (0) | 2009.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