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관 자료 ━━/인터넷성경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4

Joyfule 2009. 6. 15. 00:05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4

에스더(1); 서론과 구조

 

3. 플롯

 3-1. 플롯의 중요성

 

  에스더서는 실제 일어난 역사 위에 기초한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잘 짜여진 내러티브라고 할 수 있다. 에스더서는 정연한 플롯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롯은 다른 모든 요소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황이나 등장인물이나 주제는 플롯에 의해 존재하게 되고, 다른 요소들과 적절한 관계를 지니게 된다. 플롯이 다른 모든 것을 연결하고 유지하게 한다. 플롯은 성격상 스토리의 특정 요소들을 부각시키고, 그로 인해 주요 주제들이 무엇인지 암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플롯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에스더서의 플롯은 비교적 직접적으로 표면에 드러나 있다. 에스더서의 플롯을 다음과 같이 크게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단계

본문

1

발단(exposition)

1-2장

2

분규,절정,결말(main action)

3:1-9:19

3

부림절 부록(Purim appendix)

9:20-32

4

결언(epilogue)

10장


 3-2. 발단(에 1-2장)

 

  발단은 하나의 플롯의 맨 처음 양상이며 가장 암시적이며 상징적인 시초라고 할 수 있다. 발단이란 내러티브에 서술될 행동들의 서론으로서, 등장 인물들이 소개되며, 그들의 이름, 특징, 어ㅚ모, 삶의 상황에 나타나고, 그 배경이 설정되는 서두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플롯의 발단을 스토리가 진전되어 나가는 막연한 시초라고 할 수 없다. 발단에는 성격의 갈등과 주제를 예시할 수 있는 암시성이 내포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에스더서의 발단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제로 에스더서의 발단을 구성하고 있는 1-2장에는 이어지는 내러티브의 주요 등장 인물, 배경, 갈등과 주제를 암시하는 요소들이 충분히 나타나고 있다. 우선 발단에는 포로로 끌려온 유다인 에스더와 모르드개가 어떻게 왕궁에 들어가서 유력한 지위에 오를 수 있었는지를 묘사함으로써 앞으로 감당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에시하고 있다. 민족적 위기의 순간에 에스더와 모르드개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기 때문이다. 에스더는 사랑받는 왕후(2:17)가 되었고, 모르드개 역시 큰 일을 한 사람의 명부에 이름이 기록되었기 때문이다(2:21-23).

 

  동시에 발단은 페르시아 궁정의 에토스(ethos)와 삶의 상황을 독자들에게 잘 보여준다. 페르시아는 인도에서 구스까지 이르며, 127도나 되는 거대한 제국이었다. 아하수에로 왕은 127도의 모든 방백과 신복들은 물론, 수산 성의 백성들을 황제의 잔치에 초청하였으며, 왕후 와스디에게 잔치에 나와서 미모를 뽑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왕후 와스디는 왕의 요청을 거절했다.

 

왕은 왕후가 자기의 요청을 거절한 일을 듣고 모든 부녀들이 남편을 멸시하는 일이 일어날 것을 염려했다. 그러므로 그는 왕후를 폐위하는 조서를 내리고 이를 바사와 메대의 법률에 기록하여 변개할 수 없도록 했다(1:19). 그리고 나서 그는 각 도의 각 백성의 문자와 방언대로 조서를 내려 "남편으로 그 집을 주관하게 하라!"(1:22)고 선포하였다.

우리는 여기에서 페르시아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했으며, 왕이 변덕이 법이며, 한번 법으로 정해지면 변개할 수 없었던 나라라는 것을 알 수 있다(1:19). 이 모든 것은 플롯 전개에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주요 행동의 많은 긴장들이 변개시킬 수 없는 것을 어떻게 변개시켰는지를 중심으로 전개될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