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8과)1. |
에스더(2) |
6-1. 심각한 위기 안에 웃음
사악하고 기회주의적인 궁정 대신 하만의 고소와 황제의 무관심한 허락으로 인해 조직적인 유다인 말살 계획이 은밀하게 추진되고 있었다. 에스더서는 유다인 민족 말살이라는 심각한 위기를 다루면서도 스토리의 중심 전개에 따라 아이러니와 풍자와 유머를 많이 보여주고 있다.
앞에서 살핀대로 에스더서에는 페리페테이아(역전)의 원리 위에 세워져 있기 때문에, 강한 아이러니가 나타나고 있다. 인간이 세운 계획이 의도한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강한 아이러니는 9장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아달월 곧 십이월 십 삼일은 왕의 조명을 행하게 된 날이라. 유다인의 대적이 저희를 제어하기를 바랐더니 유다인이 도리어 자기를 미워하는 자를 제어하게 된 그 날에(에 9:1)...." "이 달 이 날에 유다인이 대적에게서 벗어나서 평안함을 얻어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길한 날이 되었으니, 이 두 날을 지켜 잔치를 베풀고 즐기며 서로 예물을 주며 가난한 자를 구제하라 하매(에 9:22)...." "에스더가 왕의 앞에 나아감을 인하여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에 9:25)...."
특히 하만은 에스더서에서 아이러니의 희생물로 등장하고 있다. 모르드개와 유다인을 멸망시키려고 했던 하만은 결국 자신의 가족과 함께 파멸하며(9.10), 모르드개를 매달려고 했던 교수대(5:14)는 하만을 매다는 사형틀이 되고 만다(7:10). 하만의 조서는 유다인들의 재산을 강탈하도록 지시하나,(3:13), 끝내는 하만의 재산이 유다인 모르드개의 손 안에 들어가게 된다(8:2). 이렇게 보면 하만은 힘이 세고, 거만한 인간 군상의 대표로 제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만을 아이러니의 대상으로 만든 것은 그저 극적인 분위기를 위해서만이 아니다. 하만이 실제 상황에 부적절한 처신을 하거나, 자기 계획과는 반대로 일이 진행되는 것을 모르고, 어떤 행동이나 말을 할 때에 우리는 극적인 아이러니를 느끼게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는 단지 언어적 장식만은 아니다. 아이러니를 형성 시키는 원리는 우주적이고, 세게적이고, 인생론적이다.
아이러니는 누가 세계를 다스리고 지배하는 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세상을 지배하는 자는 아하수에로 왕도, 하만 자신도 아니며, 오직 하나님만이 세상을 다스리신다. 하나님은 자신의 통치를 인정하지 않고 연약한 자를 악한 음모로 괴롭히는 자들을 그대로 두지 않으신다. 결국 우리는 하만이 아이러니컬하게 거꾸러지는 모습을 통해서, 이러한 오만한 삶으로부터 분리되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
'━━ 보관 자료 ━━ > 인터넷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8과)3 (0) | 2009.06.21 |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8과)2 (0) | 2009.06.21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8 (0) | 2009.06.19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7 (0) | 2009.06.18 |
인터넷 성경 핵심 공부 (창세기에서 계시록까지) (77과)6 (0) | 200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