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창의성 발현의 10가지 비결 by LG경제연구원

Joyfule 2017. 12. 15. 23:56
 

       창의성 발현의 10가지 비결 by LG경제연구원

 

 

       Ⅱ. 창의성 발현의 10가지 비결 

 

7. 멋진 실패에 상을 주어라. 
 
창의적 기업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탈피하여 불확실하거나 위험이 있는 새로운 과제에 과감히 도전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조금이라도 위험이 존재하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면 도전하지 않는 ‘위험 회피 풍토’는 기업의 혁신에 가장 큰 걸림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주목할 점이 있다. 구성원들이 불확실하거나 위험이 있는 것에 대한 도전을 꺼려하는 이유가 반드시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실패로 인한 결과, 즉 인사상의 처벌이나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이 도전을 주저하게 만드는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실패를 과감히 포용할 수 있는 풍토가 필요하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는 방법 중의 하나로 멋진 실패는 인정하고 상을 주는 것도 고려해 볼만 하다. 물론 노력을 게을리 하거나 기본적인 것을 지키지 않아서 하게 되는 ‘부주의한 실패’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워야 한다. 그러나 더 나은 가치 창조를 위해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하게 되는 ‘칭찬 받을 만한 실패’에 대해서는 오히려 상을 주는 과감한 인사 정책이 필요하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세금 관련 솔루션 판매업체인 인튜이트(Intuit)가 그러한 예이다. 동사의 한 마케팅 팀은 2005년 젊은 세대를 겨냥하여 ‘락유어리펀드(RockYourRefund)’라는 신상품을 출시하였다. 여행 전문 사이트인 익스피디아(Expedia)나 소매점인 베스트 바이(Best Buy)에서 비자 카드로 결재한 젊은 사람에게 할인 혜택은 물론 세금의 일부를 환급해 주는 서비스 상품이었다. 마케팅 팀은 신상품 홍보를 위해 젊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힙합의 창시자인 러셀 사이몬(Russell Simmons)을 광고 모델로 내세웠다. 이처럼 도전적으로 신상품을 기획하고 마케팅을 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젊은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세금 환급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동사의 회장 스캇 쿡(Scott Cook)은 200여명의 마케팅 관련자들이 모인 공식 석상에서 “이번에 실패한 것은 실패가 아니다. 우리에게 진정한 실패는 실패로부터 배우지 않는 것뿐이다”라고 말하면서 신상품을 추진했던 마케팅 팀의 도전 정신을 높이 평가하고 상을 주었다.  
 
8. 창의성 발현의 걸림돌을 제거하라. 
 
조직의 안정을 기하고 경영 사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면에서 일정 수준의 통제나 규정은 필요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과도한 통제와 규정은 오히려 창의성 발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시장, 산업 등 경쟁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과도한 중앙 통제는 신속하고 유연한 의사결정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특히 사업과 조직 특성이 상이한 부서나 조직들로 구성된 기업일수록 천편일률적인 제도나 시스템은 창의적 경영의 장애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창의적 사고와 혁신적 도전 촉진에 걸림돌이 되는 제도나 규정은 제거해야 한다.   
 
2005년 복합 엔터테인먼트 회사인 디즈니(Disney)의 CEO로 부임한 로버트 아이거(Robert Iger)는 엔터테인먼트 사업의 성공은 창의성에 있다고 생각하고, 창의적 문화의 걸림돌이 되는 관료적 경영 요소를 제거하였다. 부임 당시 디즈니는 애니메이션, 테마공원, 리조트, 스튜디오 등 다양한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사의 전략기획부서에서 모든 사업을 일일이 통제하고 있었다. 그 결과 사업 현장에서 제기한 혁신적 아이디어들이 본사의 전략기획부서에서 대부분 걸러져서 CEO에게 전달되지 못한 채 사장되고 있었다. 이에 아이거는 모든 사업의 전략 기획을 담당했던 본사의 전략기획부서를 대폭 축소하였다. 대신에 전략 기획 및 실행 결정에 대한 권한을 각 사업부에 위임하여 사업 현장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치 이후 동사에는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가 많이 나왔다. 예컨대 비디오게임 사업의 경우, 신제품 아이디어가 많이 발굴되었고, 그에 따라 게임 개발 및 게임 스튜디오 인수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다.  
 
한편 구성원들의 창의성을 촉진하는 기업들은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막강한 복리 후생 제도이다. 예컨대 구글의 복리 후생은 폭 넓고 다양하기로 유명하다. 드라이크리닝, 자동차 오일 교환, 세차 서비스는 물론 약속 장소를 대신 잡아주기도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마찬가지다. 쇼핑, 세탁, 우편 서비스는 물론 사무 공간, 복장 등에서도 구성원들을 배려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복리 후생이 직원들을 무조건 잘해 주기 위한 것이라든가, 업계에서 일하기 좋은 회사라는 기업 이미지를 쌓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구성원들이 일함에 있어서 시간과 관심을 분산시키거나 훼방하는 잡다한 일은 회사가 처리해 줄 테니, 구성원들은 창의적인 업무에 매진하라는 메시지도 함께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