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뮤니케이션의 의미 ♣
커뮤니케이션의 일반적인 의미로는, 개념이나 뜻의 전달 및
통신과 사상의 표현이나 교환을 말하는 이른바 의사전달을 의미하며,
PR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노하우의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나아가 서로 대변하고 있는 개인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을
대인 커뮤니케이션(Personal Communication)이라 하고,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나 TV 등의 매스 미디어(Mass media)를 통해
행해지는 커뮤니케이션을 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이라고 불리운다.
그래서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은
전달자(Sourse)-내용(Message)-매체(Channal)-수용자(Receive)-효과(Effect)
라고 하는 5가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이중 하나라도 없으면 완전한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가 없을 것이다.
집필자 : speech119 (2005-05-16 17:48)
또한 내적으로는 PR 목표의 수립 및 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필요성 및 가치를 분석 평가하여 요구되는 객체와 장소에 전달함으로써
최적화와 합리화, 조정통합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외적으로는 환경과의 관계를 연개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즉,
국민의 요구, 기업간의 활동, 이익 집단들의 움직임, 정당들의 정책이나
건의사항 등을 알아내고 대응하기 위한 모든 정보교환이 여기에 속한다.
아울러 커뮤니케이션의 원칙으로는 레드필드(C.E. Redfield)는
커뮤니케이션의 일반 원칙을 다음 일곱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1. 명료성
이상적인 의사전달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 의미가 명확해야 하고,
최적의 통로를 선택해야 하므로, 가능한 어려운 단어나 복잡한 배경 설명,
어색한 문장구조, 진부성, 불필요한 전문용어,
지나친 미사여구 등은 오히려 커뮤니케이션의 명료성을 잃게 한다.
2. 일관성
최초의 커뮤니케이션이 통로를 타고 전달되는 과정에서
수정이 번복되거나 가감이 됨으로써 일관성을 잃게 되므로,
어떤 커뮤니케이션이든 PR 주체의 목표와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3. 적기적시성
아무리 좋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이라 할지라도
적절한 시기와 시간을 맞추지 못하면 불필요한 것이 되고 만다.
4. 분포성
PR 주체의 커뮤니케이션은 명확하게 PR 객체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5. 적당성
과대한 양과 짜증스러울 정도의 회수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나타낸다.
6. 적응성과 통일성
적응성이란 커뮤니케이션의 융통성, 개별성, 현실성 등을 말하며,
통일성이란 각 커뮤니케이션이 전체로써
일관된 정책이나 목표의 표현이 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7. 관심과 수용
커뮤니케이션은 그것의 관심과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때에
비로소 그 가치가 있고 능률이 있는 것이며, 수용에는 어떠한 권위가 배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