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략적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운다. ♣
커뮤니케이션에는 참여자간에 말을 주고받는데,
참여자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바탕 위에 태도, 기대,
감정의 변화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의 맥락 자체도 변화를 합니다.
무엇보다도 커뮤니케이션의 결과가 어떻게 되느냐는 원인이 되는 말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바꾸어 말하면 커뮤니케이션은 그 능력 여부에 따라 결과가 좌우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이나 능력은 학자들마다 견해는 다르지만
첫째, 일반적인 지식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지식의 수준이 서로 대등해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참여자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시작되고 진행∙종료되는 과정의 밑바탕에는
참여자들이 가지고 있는 태도, 인성이라든가, 지식 등이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는 주고받는 메시지의 이해와 해석,
더 나아가 복잡한 문제나 추상적인 문제를 이해하거나 분석하는 것도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지식을 어느 정도 갖추어야 합니다.
특히 새롭고 다양한 지식을 갖춘 경우,
회의나 토론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적극적이고도 역동적으로 참여하여 주도하고
신지식이나 기술을 익히는 등 꾸준히 자기개발을 하고,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이 있는 경우
사전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임해야 합니다.
이런 노력 없이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은 있을 수 없습니다.
둘째, 언어적인 지식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대화, 토론, 연설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말하고 들을 때에
필요한 지식에 대한 능력, 즉 ‘화법(話法)능력’입니다.
여기에는 말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말하기의 상황과 상대방이나 청중의 처지와 이해수준을 감안하고
그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메시지 작성기술’이 포함됩니다.
또한 상대를 이해시키기 위하여 그것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내용에 맞게
목소리를 조절하여 몸짓언어까지 적절히 취하는 ‘표현기술이 있어야 합니다.
아울러 문답이 오고가는 대화나 토론의 경우에는
특히 상대의 말을 듣는 ‘경청기술’도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능력이 부족한 사람은 상대나 청중에게
자신의 의사나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습니다.
특히 여러 사람을 상대로 하는 프레젠테이션의 경우에는 발표불안을 극복해야만 합니다.
셋째, 상호작용기술인 전략적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말을 잘하는 사람은 정보를 분석 종합하는 능력이 뛰어 나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합니다.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말하고 들을 때에는
상대방, 커뮤니케이션 목적, 말하고 듣는 태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전략적 능력은, 커뮤니케이션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말하기와 듣기를 상대방의 언어사용 방식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자신의 언어사용 방식을 조정 하는 상호작용 기술로서, ‘공감’을 우선시 합니다.
커뮤니케이션 형식 중에서 얼굴을 마주하고 하는 대화는 말 한마디나 상황에 아주 민감합니다.
나와 이야기를 할 것인지 아닌지, 목적을 공유할 것인지 아닌지의 선택은
주로 상대방에게 달려 있습니다.
또한 나의 이야기에 상대방이 얼마나 집중할 것인지,
동의나 수락하느냐의 여부도 상대방에게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신은 전략적으로 상대의 선택을 조정할 수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전략적 능력인 것입니다.
따라서 성공하려면 반드시 당신은 어떤 사람을 상대하든 간에 당신의 의사를
효과적 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수능란한 커뮤니케이터가 되려고 노력해야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