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종합
지금까지 성경에 자타난 리더쉽(leadership)을 고찰해 보았다. 성경에는 많은 하나님의 종이 있으나 그 중에 리더쉽(leadership)에 해당하는 직책은 ‘왕’,‘목자’,‘종’,‘감독’ 그리고 ‘장로’ 등이다.
이들은 모두 하나님의 종이라는 범주에서 이해되어야 하며 그들의 리더쉽(leadership) 실행 방법에 있어서도 ‘종(從)의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봉사자’로서의 자세를 견지해야 하는 것이다. 목회적 지도자는 결국 ‘하나님과 세상을 섬기는 자’로서 이해된다.39) 왜냐하면 교회의 주인은 하나님이시고 세상의 주인도 하나님이신데 우리는 하나님의 종이기 때문이다.
가장 위대한 종의 귀감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40) 그리고 목회자(목자)의 모본도 바로 예수님이시다.41) 이 주인께서 그의 종들에게 리더쉽(leadership)을 위임하셨다. 그래서 교회 지도자들의 리더쉽(leadership)은 ‘위임받은 리더쉽(leadership)’이다.
“내가 천국 열쇠를 네게 주리니,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매면 하
늘에서도 매일 것이요,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
리라(마 16:19).”
“내 양을 먹이라(요 21:15b).”
“내 양을 치라(요 21:16b).”
그러므로 교회 리더쉽(leadership)은 다음 두 가지에 있어서 상호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첫째,지도자는 일정한 권한을 부여 받았다42)(살전 5:12~13,딤전 5:17,히 13:17,마 16:19).그래서 교인들에게 성경은 순종과 복종을 요구하고 있다.
둘째,지도자는 통치자가 아니라 종이다(벧전 5:2~3,마 20:25~28,요 13:13~15).43) 그러므로 교회 지도자는 교인을 복종시키되 억압이 아니라 ‘감동(感動)’으로 복종시킨다. 여기서 리더쉽(leadership)의 상징은 왕관이 아니라 수건이다.
교회의 리더쉽(leadership)은 위의 두 가지 원리가 서로 평행을 이룰 때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낼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원리를 떠난 지도자는 참된 리더쉽(leadership)을 발휘할 수 없는 것이다.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0) | 2017.06.10 |
---|---|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0) | 2017.06.09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7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5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