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C.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여러 가지 유형
목회자들에게도 여러가지 유형의 리더쉽(leadership)이 있다고 전제하면서 박종순 목사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55)
1)독재적 유형:이 유형의 교회 지도자는 독재자처럼 교인들 앞에 군림하며,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든지 모든 결정을 자신이 내린다. 따라서 지도자의 지도와 결정과 권위에 도전하는 것은 용납하지 않는다. 독재적 리더쉽(leadership)은 위급한 상황과 사람들의 안정에 크게 위협적이라고 판단될 때와 아주 강력한 징계가 요구될 때 잠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권위주의적 리더쉽(leadership):이 유형의 교회 지도자는 자신의 의견이나 견해만이 가장 유용하고 적합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견해와 결정에 대해서는 항시 비판적이며,다른 사람의 능력이나 자질에 대해선 신뢰성이 결핍되어 있다. 다른 사람이 잘 한 일에 대해 거의 인정해 주지 않으며 자기의 유익을 위해 타인을 자주 이용한다. 사람 중심의 리더쉽(leadership)이라기 보다는 임무 중심의 리더쉽(leadership)이다. 이런 유형의 리더쉽(leadership)은 사람들이 종종 권위를 오용하고 있을 때,조직체의 법과 질서가 계속 위반되고 무너질 때,지도자 자신이 결정을 내리고 그 일을 수행해야 할 필요를 느낄 때 사용되어 질 수 있다.
3)협의적 리더쉽(leadership):이런 유형의 리더쉽(leadership)을 소유한 교회 지도자는 계획을 세우거나 결정을 하는데 타인의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사용한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기전에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 지도자가 최종 결정을 내린다. 다른 사람의 잘한 일을 합당히 여긴다. 중요한 책임을 종종 타인에게 부여하고 위임하지만 최종적인 결정권을 행사한다. 그러나 결정전에 모든 대안을 심사숙고하고,교인의 의견이 채택되지 않은 이유를 교인에게 설명해 준다.이런 유형의 리더쉽(leadership)은 조직의 계속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할 때,창조적이고 전향적(前向的)인 필요시,그리고 일상적인 업무가 조직적일 때,사용하면 좋다.
4)참여적 리더쉽(leadership):모든 사람의 아이디어가 동등해서,모든 권위를 타인에게 주고 위임하고 지도자 자신은 그 단체의 명목상으로만 남는다. 타인의 의견이 못마땅해도 받아들이고,그 단체 안에서 다른 사람의 창조성과 도덕성을 돕는다. 이런 유형의 리더쉽(leadership)은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일상적 업무에서 책임을 수행할 능력이 있을 경우와 조직의 계획을 세우고 평가를 내릴 경우 유용하다.
그러나 제임스 민스는 그의 책 ?그리스도인 사역의 지도력?에서 지도자의 유형을 ‘도전적인 지도력’과 ‘순응적인 지도력’으로 크게 구분하며,순응형이거나 도전적인 형태를 명확히 구분하기가 힘들다고 하였다. 또한 극단적인 유형이 바람직하거나 효과적이라고 규정하기는 힘들다고 전제하면서 두 리더쉽(leadership)의 특징과 효능성을 설명했다.
(i)도전적인 지도자의 행동:극단적으로 도전적인 지도자의 행동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신뢰성 또는 확신이 부족함을 나타낼 수가 있다. 이것은 지도자 편에서의 심한 불안감을 암시하는 것이다. 극도로 도전적인 지도자들은 자신의 목표나 또는 그들에게 좋을듯이 보이는 목표를 그룹의 목표에다 대치시키려는 강한 경향성을 지닌다.56) 도전적인 행동이란 지도자가 자신의 목적을 성취하려는 압박감의 표현인 것이다. 도전적 행동의 으뜸가는 외적 표시는 지도자의 뜻을 이루기 위해 그룹의 사람들을 지배하고 의사 결정 과정을 장악하려는 것이다.57) 환언하면 가장 극단적인 형태인 전체주의적인 통제를 제외하고도,도덕적 판단은 도전적 지도자에게 넘겨서는 안된다. 오히려 다음 두 가지 질문을 하여야 할 것이다. “특정한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도전성이 요청되는가? / 그리고 어떻게 그러한 도전성이 도전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가?”58)
(ii)순응적인 지도자:순응적인 지도자는 대체로 그룹 전체의 사람들이 함께 일하고 협력할 때 더 나은 결정이 이루어진다고 확신한다. 사실 개인이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전문적 지식을 소유하고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그룹전체의 사람들이 개개인보다 더 훌륭한 결정을 한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하여 입증되었다.59) 순응적인 행동은 다른 사람들의 결정을 받아 들을 교묘하게 조종하려 들지 않는다.
따라서 ‘도전적,순응적’ 분류 방식에 의하면 한 지도자가 리더쉽(leadership)을 발휘하는데 있어서 “도전”과 “순응”이라는 양극단 사이에서 균형과 조화를 창출해 내야 하는 것이다.60)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13 |
---|---|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12 |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0) | 2017.06.09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8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