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변화하는 세계
지금 우리 현대인은 급변하는 세계에 살고 있다. 그 변화의 내용을 살펴 보면 과학,문화,정치구조,도덕,종교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인간 생활의 전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44)
이 변화에 따른 자연 환경의 변화는 次置하고라도 우리는 실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인간의 異性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은 이제 우주항공,생명공학,핵 물리학,전자공학 등 그 모든 면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인간에게 유익을 끼치기도 하고 해를 끼치기도 한다.45)
도덕은 그 이성의 발달로 인해 가치 기준을 잃고 있고 사회구조의 변화도 도덕의 변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문화’라는 것도 전통문화와 단절된 채 즉흥적이고 실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지금 세계를 결집시켰던 권력구조(힘의 질서 또는 지도력 등) 전체가 붕괴되는 시기에 살고 있다.지금 근본적으로 다른 힘(power,권력)의 구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낡은 힘(power, 권력)의 패턴은 사무실,슈퍼마켙,은행,중역실,교회,병원,학교,가정에서 낯설고 새로운 방향을 따라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46) 힘(power:권력)은 모든 방면에서 동시에 이동하고 있다.우리가 초기호 경제로 이행해 감에 따라 힘-물리력,부(富) 및 지식의 혼합물-의 성격자체가 변화하고 있다.47)
이처럼 세계의 ‘힘’이 변하고 있다는 것은 교회 지도자들에게는 중요한 의미를 주고 있는 것이다.왜냐하면 교회는 세계 속에 있으며48) 교회 지도력은 사회의 일반적인 힘과 대치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이후에는 내가 너희와 말을 많이 하지 아니하리니 이 세상 임금
이 오겠음이라.그러나 저는 내게 관계할 것이 없으니(요한 14:30).”
B.교회 안에서의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이렇게 세계는 급변하고 있고 성경의 훈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 지도자들에 대한 존경심도 함께 변하고 있다. 교회 지도자들에 대한 존경심은 20세기 전체를 통하여 끊임없이 감퇴된 것이다.49)
하기야 초대교회 시대,100여년 이상은 “조직”적인 교회의 모습은 나타나지 않았었다. 모두가 ‘가정’ 안에서 교회의 모임이 이루어졌고 지도자들도 모두 그 ‘가정’교회에서의 지도자에 불과했다. 교인들은 한 가족으로 모여서 함께 생활했으므로 그곳에는 인사담당부서도,교회 건축 위원회도, 신학교도 없었다. 교회의 유지관리가 단순해서 몇 몇 사람들에게 맡기면 그만이었다.
그러나 교회의 형태는 점점 복잡한 기관형태로 변모하였다. 오늘날 이 기관형태의 교회에서 리더쉽(leadership)의 힘과 지도자의 존경심이 감퇴되고 있는 것이다. 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역할에 대한 이해조차도 철두철미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영적 리더쉽(leadership)의 기능이 단지 기관을 유지하기 위한 ?메니져?들의 필요에 의해서 왜곡되어 왔다.50)
교인의 수, 일 년 예산의 크기,교회당의 멋진 건축,교회 일원들의 활동의 참여도,그리고 프로그램의 다양화는 교회 지도자의 영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어 버렸다.51) 경영에 관한 책들은 ‘목표란 양적인 것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겠지만 ‘영적’목표,교회안에서의 목표는 그러한 기준을 적용할 수가 없다.
교회 안에서의 리더쉽이 변화하는 요인으로 J.E.민스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를 지적한다.52) (1)권위에 대한 거절:권위에 대한 보편적인 도전은 교회에까지 미쳐서 목회자와의 다툼이 보통의 일이 되었다. (2)교육 수준의 향상:회중의 교육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진 관계로 교회의 의사 결정에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뿐만아니라 또한 권력을 남용하는 지도자들을 대항하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교회 차원에서 보면 건전한 징후이다.그러나 지도자의 위치에서 본다면 도전임에 틀림없다.
(3)전달매체의 대중화:대중매체의 발달로 사이비 종교,통신판매 안수식,값싼 학위,타락한 유명 종교 지도자들이 대중매체에 여지없이 폭로된다. (4)교회의 세속화: 우리는 다음의 말에서 교회의 세속화를 단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그는 매사에 활동적이며,많은 집단을 조직하며,그의 행정하에서 교인의 수가 증가하고 예산이 확보된 것에 대하여 광고를 하며,그리고 일반적으로 그는 교회사업이 마치 상공회의소의 활동과 유사한 것처럼 교회를 경영해 나간다.” (5) 목양의 부족: 행정상의 노력,멋진 업무수행,프로그램의 경영,인사 모집,예산 확보 등에 우선권을 두기 때문에 목양이 소홀이 되었다.
사실 독일 슐라이어마허가 교리 신학을 실천 신학과 항상 병행하는 법이라 하여 현대 목회신학의 길을 열어 놓은 이후,현대에는 ‘문화와 同居하는 목회’가 되고 있기는 하다.53)
그러나 문화속에 동거하는 교회에서의 리더쉽(leadership)이라 할지라도 리더쉽(leadership)은 항상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뜻을 선포할 때만이 절대적인 권위를 내포할 수가 있다.54)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12 |
---|---|
III.현대교회 리더쉽(leadership)의 변화 (0) | 2017.06.10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8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7 |
II.성경에 나타난 리더쉽(leadership) (0) | 2017.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