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Joyfule 2017. 6. 15. 13:16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B.한국인의 종교의식


          3)유교적 편력(遍歷)

 

        공자의 근본 사상은 仁에 있었는데 이것이 이조에 와서 仁의 근본사상을 孝로 해석하여 유교의 종교적 의식구조의 중심체제를 형성하여 보수적 정체성을 띠고 있다.유교의 신(神)은 인간 자체에 근본하였고 인간이 바로 덕성을 갖춘 생존신이요 천지의 신과 同居同留하는 덕성을 소유한 자이다. 여기에서 유교는 인간자체 즉 성인의 대상으로 한 일종의 종교이며 인간의 인격으로서 최고인 聖人에 도달하기 위하여 聖人의 교훈을 지키는 것 이다.조상은 유교에서 가장 중요한 제사의 대상이다. 부모나 선조의 제사를 통하여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신을 확인하고 선조의 현존하심을 되살리면서 그 아득한 자기 생명의 긴 근원을 지금 이곳에서 경험함으로써 쇠잔해 가는 삶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신비에 참여하게 된다.

        유교의 특징을 몇 가지로 살펴 보자면

            (i)현세중심의 현실주의이다:모든 것은 현세에서의 상대적인 인간관계로써 규정짓는다. 종(棕)적인 신인관계(神人關係)나 신앙이라는 것이 介在할 여지가 없고 삼강오륜의 인륜관계 규정이 일체를 해결하고 있다.87)

            (ii)주체성의 상실이다:자기의 처사는 가족이 결정하고,가족의 세력이 자기의 운명을 개척해 준다.출세는 가문의 명예와 관계된다.따라서 주체적인 사람됨의 문제가 아니라 체면과 형식이 문제된다.88) 이러한 인격 상실에서 외모를 꾸미게 되고 겉치장을 하게 된다.

            (iii)보수적 권위주의다:윗사람에게 절대 복종이며 지배계급에 대해서도 무조건 복종이다. 불복종은 孝가 아니기 때문이다.

        孝 또는  祖上崇拜 라는 특징을 볼 때, 무속이 유교에도 들어 왔음을 볼 수 있다. 즉 유교의 젯상과 굿상이 어떻게 다른지 알 수 없고 유교의 제사나 어떤 행사 때 무당이 굿을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어떤 무가에서는 공자가 위대한 神으로 등장하기도 한다.89)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 민족은 어느 한 종교로 一貫되어 오지 않았다.  불교,유교를 거치면서도 재래 종교인 무교의 바탕아래  한국인의 종교의식은  形成되었다.90)

        이런 종교의식이 긍정적인 방향에서 기독교에 영향을 끼친게 있다면 제천사상,의존심,축복사상 등이 있을 것이다.‘하느님’ 개념이 기독교의 ‘하나님’개념에 쉽게 접맥되었고,의존심은 철저히 하나님을 의존케하고,축복사상은 재난과 질고에 대한 문제를 종교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게 한다. 그러나 부정적인 방향에서도 기독교에 영향을 끼쳤는데 그것은 축복의 관념에서 십자가의 고난이 너무 희석되었다는 점과 의타적 운명신앙을 낳았다는 점,책임의식의 결여,지나친 보수성 등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