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교회에서 상처받은 사람들

Joyfule 2022. 6. 27. 00:57

 

 

 

       교회에서 상처받은 사람들


9. 윌로우크릭 교회의 폭발적 영향력

부록 회복하는 과정에서의 이슈들
학대하는 교회에서 받은 상처로부터 회복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면 많은 논제들과 이슈가 있음을 알 수 있다하지만 그러한 문제들은 겉으로 분명히 드러나기보다는 내재적인 경우가 더 많다다음의 기록을 통해 이러한 이슈들을 생각해 본다면학대당한 당사자뿐 아니라 그들을 돕고자 하는 사람에게도 많은 유익을 줄 것이다.
 
학대적인 단체에 들어가게 되는 이유들
‧ 정서적 결핍
‧ 권위적인 요소에 대한 호의적 태도
‧ 그릇된 기대
‧ 거짓으로 긍정적 인상을 심어 주는 단체와 이를 받아들이는 자세
‧ 건전한 기독교 신앙과 공동체를 경험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되는 취약성
‧ 의존해야 할 필요성
 
학대적인 집단을 떠나 회복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들
‧ 의존 상태를 조성하는 체제
‧ 구성원들 스스로 생각하지 못하도록 하는 분위기
‧ 개개인을 강조하기보다는 전체를 중요시함
‧ 전체성과 순종에 대한 강조
‧ 사회적 능력이 개발되지 못함
‧ 무엇을 하더라도’ 실패하리라는 생각 자아 성취적 예언
‧ 고아처럼’ 혼자가 되고 거부당할 것이라는 느낌
‧ 문화 충격
‧ 다른 교회들은 신뢰할 수 없다는 가르침으로 인해 갈 곳이 없음
‧ 대인 관계에 대한 잘못된 자세
‧ 사회로부터의 고립
‧ 소원한 가족 관계
‧ 인생에 대해 중심적으로 생각하는 바와 목적 의식의 상실
‧ 수치심과 죄책감
‧ 희생당한’ 신드롬 (Victimization syndrome)
‧ 권위에 대한 불신혹은 친밀감에 대한 불신
‧ 부족한 자원 (재정정서관계)
‧ 용서하는 데 방해가 되는 분노와 원통함
‧ 집단 내에 있는 친구들과의 관계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는 요소들
‧ 자아 존중감
‧ 경제적 불안정
‧ 다른 그리스도인 공동체나 교회에 참석하는 것을 경계함
‧ 의존성
‧ 재사회화의 필요성
‧ 결혼과 가정 환경
‧ 전문적 상담을 받아야 할 필요성
‧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불신이나 회의적인 시각으로 보여짐
‧ 자아 훈련(self-discipline)의 결핍
‧ 영적인 마비 상태
 
해결해야 할 감정들
‧ 거부당함으로 인한 감정
‧ 낮은 자아 존중감
‧ 수치심과 죄책감
‧ 연약함
‧ 고립감
‧ 부적합하다는 느낌
‧ 슬픔
‧ 잃어버린 세월에 대한 후회
‧ 정체성 상실
‧ 두려움과 혼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