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성을 위한 ━━/기독교자료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는 길 - 제8권]

Joyfule 2021. 7. 9. 04:09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는 길 - 제8권]

    둘이 한 몸이 될지니라 Two become one

 

 제 13 과 기타 중요한 영역들


14. “제자를 삼으라”는 명령에는 먼저 제자가 되는 데 필요한 것들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습니다. 사전에서 “제자(Disciple)”라는 말의 정의를 찾아 적으십시오. 그리고 당신이 생각하는 “제자”의 의미를 적으십시오.


제자(disciple)<라틴어로 ‘디시풀루스(discipulus)’ ‘생도, 배우는 사람’에서 나온 것인데 ‘만다노(μανθάνω)’ ‘배우다’에서 유래한 ‘마데테스(μαθητής)’와 상응한다)는 본래 한 선생의 생도입니다. 이에 상응하는 히브리어 용어 ‘림무드(ךוּמּ’는 구약에서 다소 드물게 나오나(사 8:16, 50:4, 54:13, 참조 : 레 13:23), 랍비들의 저작들에서는 ‘탈미드’(ךי대상 25:8 참조)가 랍비로부터 전통적인 지식을 배우는 한 랍비의 생도를 나타내는 데 낯익은 낱말입니다. 흔히 나오는 헬라 세계의 철학자들이 그들의 생도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생도들은 종종 그들 스승의 독특한 가르침을 따랐기 때문에, 생도라는 말은 종교와 철학에 있어서 그 특별한 입장을 지지하는 자들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제자직(Discipleship)은 예수의 부르심에 기초했습니다(막 1:16~20, 2:13이하, 눅 9:59~62, 심지어 눅 9:57이하는 보편적인 용어로 예수의 초청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제자직은 그에 대한 개인적인 충성을 포함하고, 그를 따르고 그에게만 오직 충성을 바치는 것 속에 나타납니다ㅑ막 8:34~38, 눅 14:26~33). 적어도 몇 가지 사례들에 서 그 제자직은 가정, 영업상 관계 그리고 소유를 문자 그대로 포기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막 10:21, 28).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 어떤 대사를 치르더라도 예수의 요구를 기꺼이 제일로 하겠다는 마음가짐이 요구되었습니다. 그러나 태도는 보통의 사제 관계를 훨씬 넘어 ‘제자(disciple)’라는 용어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제자라는 말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배우는 사람’과 ‘따르는 사람’이 있습니다. 제자는 지식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모든 삶을  배우는 사람이 제자입니다. ‘배우고 따른다’는 말은 그 사람의 인생자체를 배우고 따른 것이 제자입니다. 예수님에 대해서 지식적으로 배우는 것이 제자가 아니고 예수님 인생 자체를 배워서 그 삶을 따르는 사람이 제자입니다.


세상에서 말하는 제자의 의미는 이것이 아닙니다. 그 사람의 기술, 학문, 예술, 예능 같은 것을 배우는 것입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제자는 예수님의 인생관을 배워서 그분과 같은 삶을 살아가려고 하는 것이 제자입니다. 주님이 원하는 것은 제자입니다. 아무리 구원은 받았서도 세상적으로 마귀를 닮아 살고 세상의 종노릇 하고 살면 주님에게 아무 유익이 없습니다. 그래서 구원 받은 사람에게 주님이 명하는 것은 ‘나를 따르라’는 것입니다. 구원 받은 사람에게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뜻은 예수를 믿으라와 예수를 따르라는 것입니다.


15. 다음 말씀들이 제자의 삶에 관하여 가르치는 바를 찾아 적어 보십시오.


(1) 누가복음 9:23 “또 무리에게 이르시되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좇을 것이니라”

자기를 부인하고 사는 것입니다. 자기를 부인하고 사는 사람이 제자입니다. 완전히 로드심이 되어 있어야합니다. 자신을 부인하하고 예수님께서 순종하고 굴복하고 살아가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실제 삶에서는 자기가 주인노릇하고 예수님은 손님 입장에 두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자기 마음대로 살아가갑니다. 그러니까 일평생 한번도 주님의 제자가 못된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는 항상 주님의 뜻이 어디에 있는가를 알고 주님의 뜻에 따르기 위해 나를 부인하고 굴복시키는 삶을 살아아야 합니다. 이 사람이 제자입니다.


(2) 요한복음 8:31 “그러므로 예수께서 자기를 믿은 유대인들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 내 제자가 되고”

말씀에 거하고 살아야 합니다. 제자들은 말씀안에서 사는 것입니다. 말씀을 읽고 듣고, 공부하고 묵상하고 암송하고 말씀안에서 젖어 사는 사람이 제자입니다.


(3) 요한복음 13:34~35 “새 계명을 너희에게 주노니 서로 사랑하라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 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이로써 모든 사람이 너희가 내 제자인 줄 알리라”

서로 사랑하고 사는 것입니다. 서로 사랑하는 사람이 제자입니다. 다시말하면 자기가 가진 돈이나 시간이나 재능이나 이런 것을 남을 위해서 얼마나 사용하느냐 도와주느냐가 중요합니다. 말로도 남을 기쁘게 하고 격려하고 남을 위해서 기도해주고 화목시키고 이러한 사랑의 삶을 살아야 합니다. 성경지식을 많이 배우고 알아도 서로 사랑하는 삶이 없으면 제자가 아닙니다.


(4) 요한복음 15:8 “너희가 과실을 많이 맺으면 내 아버지께서 영광을 받으실 것이요 너희가 내 제자가 되리라”

열매는  맨즌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열매를 맺는 사람이 제자입니다. 열매는 크게  두 가지인데 전도의 열매와 성품의 열매입니다. 이러한 열매가 나타나고 이런 것을 순종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전도하고 이런 열매를 매즌 것이 제자입니다.


(5) 누가복음 6:46 “너희는 나를 불러 주여 주여 하면서도 어찌하여 나의 말하는 것을 행치 아니하느냐”

실제로 말씀에 중심으로 순종하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삶의 모든 과정이 말씀의 위에서 역어져가고 있어야합니다. 나의 생각에 의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서 하나하나 진행되어져 가고 있는 사람이 주님의 제자입니다.


제자도는 중요한 것을 5가지로 나눕니다. 주님의 제자라고 하면 이러한 삶을 사는 사람을 말합니다. 내가 과연 주님의 제자인가? 내가 주님의 제자의 도에 따르고 살고 있는가? 내가 얼마나 부인하고 주님의 중심으로 살아가는 것인가? 말씀안에 살아가고 서로 사랑하고 사는 가?을 살펴 보아야 합니다.


▶ 제자의 삶에 관한 이 공부를 통하여,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하시는 말씀은 무엇입니까? (적용)

▶ 자신을 한번돌아보는 것입니다. 내가 어떤 면이 부족하고 하나님의 나의 어떻게 순종하기를 바라고 있는가?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 당신은 이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겠습니까?


당신의 개인적인 사역은 당신의 가족들과 함께 할 시간을 고려해서 해야 합니다.


시간의 청지기


현대 가정이 직면하고 있는 하나의 공통적인 문제는 시간에대한 압력입니다. 가족 개개인이 지역사회의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서로가에 원활한 의사 소통을 유지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16. 시간 사용에 대한 성서적인 가르침은 에베소서 5:15~17절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이 성경 구절과 연관해서 다음을 완성시키십시오.


(1) 어떻게 행할 것을 자세히 주의해야 합니다.


(2) 지혜롭게 행하여야 합니다.


(3) 세월을 아껴야 합니다.

영어 성경에서는 Redeeming the time이라고 나옵니다. 이 뜻은 시간을 구속하라는 뜻입니다. 구속하라는 말은 값을 지불하고 사는 것을 의미하는데, 즉 시간을 아끼기 위해 돈을 투자하라는 것입니다. 돈을 투자해서라도 시간을 아껴 사용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4) 때가 악함을 분별해야 합니다.

지금 때가 악함을 아는 것은 시간을 아끼는데 세월을 아끼는데 도움이 됩니다. 긴급사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행해야 할 것만 하고 살아갑니다. 긴급사태에서는 이것저것 할 수 없어 중요한 것만 하고 살아가는 것처럼 일상 생활에서 꼭해야 할것만 할 때 시간을 아끼는 삶이 됩니다.  


(5) 하나님의 뜻을 이해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는 것이 세월을 아끼는데 지름길이 됩니다. 왜냐하면 여러 가지를 일을 하다가 되지 않을 때 마지막에는 하나님의 뜻이 아니더라 생각이 될 때는 시간을 낭비한 것입니다. 시간을 아껴쓰려면 이 일이 하나님의 뜻인가 아닌가?를 확신하고부터 시작하는게 지혜로운 것입니다. 시간을 낭비하며 하는 것들이 우리의 생활에는 많이 있습니다. 열심히 일을 해놓았는데 하나님의 뜻이 아니어서 헛되게 되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고 하나님의 뜻만 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렇게 할 때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일을 안할 수 있게 됩니다.


17. 야고보는 사람의 일생은 짧고 불확실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야고보서 4:14). 시편 90:12절을 하나님께 간구하는 기도의 형식으로 자신의 말로 써보십시오.


나의 생활이 짧다는 것을 알고 시간의 청지기가 되게 도아 달라는 기도입니다. 시편 90편 12절에 “우리에게 우리 날을 계수함을” 이라하고 나오는 데 우리의 날을 계산해보면 알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시편 90:10 “우리의 년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도 그 년수의 자랑은 수고와 슬픔 뿐이요 신속히 가니 우리가 날아가나이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의 년수가 칠십이요 강건하면 팔십이라고 하였습니다.  내가 보통이면 70세로 건강하면 80세로 하여 현재의 나이에서 계산을 해보면 자신의 남은 년수가 몇 년인지를 알 수있습니다(이것은 하나의 예입니다). 

계산을 해보면 자신의 남은 년수가 얼마 남지 않았음을 알수 있고 또한 일 할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음을 알수 있습니다. 얼마 남지 않은 시간에 직장에서 일하는 시간, 식사하는 시간, 잠자는 시간, T.V보는 시간, 오락하는 시간 등등을 생각하면 하나님께 봉사하며 일하는 시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간을 헛되이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고 아껴서 주님의 일을 위해서 살아야 합니다. 살아가는데 우리의 시간은 짧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을 때 시간의 청지기 생활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당신의 삶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신의 우선 순위를 계속 올바로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주의 깊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 책의 목적은 하나님의 관점에서 결혼과 가정 생활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습니다.


완전무결한 겨혼 생활은 결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당신과 당시느이 배우자가 하나님의 말씀을 삶 가운데 적용한다면, 하나님께서 “둘이 한 몸이 될지니라” 하신 말씀 속에서의도하신 모든 것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의 가장 중요한 것은 가정 생활이고 가정 새활에서 중요한 것은 부부간의 교제가 중요합니다. 이 중요한 일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 더 온전해지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어제보다는 오늘을 오늘보다는 내일을 성숙한 삶으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