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Joyfule 2016. 9. 13. 09:41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iritual leadership of Nehemiah
김 승 곤

 

III. 결론

이제까지 본 연구는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이 무엇인가를 밝혀 오늘날 다원주의와 세속화 되어 가는 시대에 진정한 영적 리더십의 모델을 찾으려고 시도하였다.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비전, 그의 기도와 경건, 그리고 투철한 소명의식에 있었다. 그러므로 느헤미야는 전능하신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알고 하나님을 믿었으며 지상에서의 가장 큰 힘은 기도라는 것을 알았다. 기도는 이 세상에서 가장 큰 힘을 얻는 탁 월에 이르는 열쇠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모든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으로부터 소명을 받을 때 회개와 헌신을 다짐받게 되는데 영적 지도자로서 느헤미야도 회개와 헌신을 동반한 소명의식이 있었다.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자질은 일반적 자질로 대인관계의 기술, 조직력, 의사소통의 기술이 있었고, 영적 리더십의 자질로는 믿음과 기도, 정직과 공의, 온유와 겸손의 자질이 있었고, 원리로는 조정의 원리, 협동의 원리, 칭찬의 원리, 과업성취의 원리, 신앙과 믿음의 원리, 동기부여의 원리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본질은

 

첫째, 민족 구원의 리더십으로 그것은 애국애족의 정신과 민족을 대표한 참회의 정신과 동족을 위한 헌신에서 나왔다.

 

둘째, 신앙적 인격적의 영적 리더십으로 민중을 영도하는 지도자는 지위나 권력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었는데, 느헤미야는 그보다는 더욱 큰 힘 즉 인격적 감화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청렴결백의 영적 리더십으로 느헤미야는 12년간 유다 총독으로 있으면서도 녹을 받지 않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마음으로 청렴결백한 생활을 보내어 진정한 영적 리더십의 모범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넷째, 사회 정의 실현의 영적 리더십으로 느헤미야는 부정과 불의가 가득한 시대에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데 정성을 다하였다. 그리하여 온 땅에는 하나님의 공법이 물같이, 정의가 하수같이 흘러 느헤미야의 사회정의 영적 리더십이 빛을 발하게 된 것이다.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모범과 교훈을 보면 하나님을 경외하는 영적 리더십으로 진실로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는 이웃에 대한 잔인한 행동이나 불의한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이다. 느헤미야는 하나님 중심의 영적 리더십을 소유했다. 청렴결백한 영적 리더십으로 느헤미야는 총독의 일을 하면서 당연히 받아야 할 총독의 녹을 먹지도 않았다. 그 녹을 요구하지도 않았다. 정당한 보수를 요구하지도 않은 그가 그 이상의 것을 탈취하지 않았다는 것을 당연한 일이다.

 

헌신적인 영적 리더십으로 느헤미야는 유다의 총독으로 있으면서 더러운 이를 위하여 일하지 않았다. 그의 관심은 하나님 말씀대로 예루살렘이 속히 중건되는 것이었다. 땅을 사들여서 치부하거나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일하려는 부정부패의 관리와 같은 생각은 조금도 없었다. 오히려 자신 먼저 희생하려고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조국애의 영적 리더십으로 느헤미야는 민족 구원의 영적 리더십을 소유했다. 이와 같이 참된 영적 리더십은 조국과 민족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다.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 공헌의 핵심은 예루살렘 성곽의 재건과 민족 신앙부흥 운동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오늘날 느헤미야의 영적 리더십의 모범을 통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기독교인들은 청렴결백하고 애국애족하며 희생과 헌신의 영적 리더십을 소유하여 하나님 나라 건설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도서
김승곤, 「성경적 리더십」 (서울: 태창문화사, 1997.
김승곤, 「하나님의 리더십과 성경적 지도자」 서울: 태창문화사.
김응조, 「성서대강해」 안양: 성결대학교출판부, 2001.
박용기, 「성경강론」 서울: 진리의 말씀사, 2000.
박희민, 「탁월한 지도력-느헤미야서강해」 서울: 보이스사, 1998).
모신희, 김홍규 역, 「느헤미야서 강해」 서울: 도서출찬 영문, 1994.
성경 연구회편, 「성경인물연구」 서울: 도서출판 시온 성, 2001.
성서백과대사전편집위원회, 「성서백과대사전 제2권」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0.
성경인구연구편찬위원회, 「시대별 성경인물연구」 서울: 도서출찬 시온성, 2001,
헤세드 종합자료시리즈편찬위원회, 「헤세드 종합자료시리즈 제9권」 서울: 임마누엘, 1991.

번역도서
Campbell, Donald K, Nehemiah : Man in Charge. Wheaton, III: SP Publication, Victor Books, 1982을 인용한 존 마틴 & 진게츠, 이종록 옮김, 「Bible Knowledge Commentary 8」서울: 두란노, 1983.
제임스 I. 패커, 「느헤미야 강해」 서울: 도서출판 옥토, 1995.
제임스 패커, 강철성 역, 「신앙의 열정」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제임스 보이스 , 이건일 옮김, 「느헤미야의 지도력 연구」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존마틴 & 빈게츠,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서울: 도서출판 두란도, 1983.
워렌 위어스비, 정정숙 옮김, 「느헤미야서 강해-견고하여라」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2.
워런 W 워어스비, 송용필 옮김, 「핵심성경연구」 서울: 나침반, 2001.
씨릴 바버, 김갑동 옮김, 「성공적인 지도자의 원동력」 서울: 성광문화사, 1985.
코넬리스 반더발, 명종남 옮김, 「반더발 성경 연구」 서울: 도서출판 연합,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