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조지 바나 외 지음. 최기운 역. 베다니 출판사. 1999년
제12장 갈등: 리더십을 단련하는 불 -짐 반 이퍼렌-
허들이 주자를 만드는 것처럼, 갈등이 지도자를 결정짓는다.
1. 갈등의 본질
가. 잘못된 개념
(1) 갈등을 죄의 관점에서 바라 보는 것. 상처받고 주기 싫어함.
(2) 갈등을 힘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 갈등을 권력과 지위를 확고히 하는 수단으로 봄.
2. 갈등은 필요하다.
갈등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필요를 알고 죄를 인정하며 진리를 깨닫고 우리의 믿음을 시험하게 된다. 갈등은 하나의 배움의 과정이 된다.
3. 리더십은 부르심이며 하나님께서 부여하시는 능력이다.
갈등은 리더십을 단련하는 불이다. 갈등은 지도자를 검증하는 도구이며, 더 나아가 하나님으로부터 능력을 부여받았는지르 확인하는 수단이다.
4. 사건보다는 큰 틀에 초점을 맞추라.
큰 틀을 추구하는 지도자는 갈등 뒤에 숨어 있는 영적인 진리를 본다.
5. 힘으로 맞서지 말고 진리로 힘에 맞서라.
6. 공동체 안에서 진리를 확인하라.
갈등을 해결하는 것은 분별과 순종에 관한 문제이다.
7. 그리스도를 가리키라, 그리고 길을 비키라.
갈등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통치에 순복할 것이냐 아니면 불순종할 것이냐를 선택하는 것이다.
당신이 관건이 아니라 하나님이 관건이다.
8. 문제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먼저 인정하라.
가. 갈등의 원인은 외부적인 것이 아니라 내부적인 것이다.
나. 눈 앞에 있는 위기는 본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보다 더 깊고 조직적인 갈등을 드러내 보여주는 것이다.
다. 지도자는 모든 해답을 다 알지 못한다. 또한 그 자신이 해답도 아니다.
9. 나와 관련된 부분은 무엇인가?
가. 문제를 인정해야 한다. “이 일을 일어나게 만든 원인 중 나와 관련된 부분은 무엇인가?”
나. 갈등은 자신들이 의사결정과정에서 제외되었다고 느끼기 때문에 생겨난다.
10. 비난을 제거하라.
비난은 진정한 배움과 해결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가장 커다란 장애물 중 하나이다.
비난은 분열시키고 넘어뜨리기 위한 사단의 도구이다.
비난하고자 하는 충동을 제어함으로써 당신은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는 잘못을 범하지 않을 수 있다.
지도자로서 우리의 목표는 뭔가를 “고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목표는 살아 있어서 상호연락하는 유기체와 같이 배우며 성장하는 것이다.
11. 네 번 “왜?”라고 물으라.
12. 신학적인 뿌리를 파헤치라.
신학이 조직을 몰아가고, 조직이 관계를, 그리고 관계가 행동을 몰아간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13. 부분이 아닌 전체를 생각하라.
대부분의 위기는 내부적이고 영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14. 믿음 안에 굳게 서라.
15. 인내로써 경주하라.
'━━ 지성을 위한 ━━ > Leadersh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0) | 2018.01.23 |
---|---|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0) | 2018.01.22 |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0) | 2018.01.18 |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0) | 2018.01.17 |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Leaders on Leadership) (0) | 201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