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Leadership

성경적 리더십(leadership)

Joyfule 2017. 8. 18. 20:13

 

  성경적 리더십(leadership) 

      IV.현대 한국 교회안에서의 바람직한 리더쉽(leadership)

 

C.한국교회의 리더쉽(leadership) 변천사()
        위에서 살펴 본 바에 의하면 한국인은 왕조마다 각기 다른 종교를 편력해 왔으며 그 때마다 재래 종교인 무교의 바탕에서 적절히 변형시켰음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기독교가 들어온 이래로 어떻게 리더쉽(leadership)이 변해왔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이를 위해서 한국 기독교 100년사를 통해 선포되어진 설교문 1,500여 편을 분석한 자료를 기본 골격으로 사용코저 한다.


           1)제 1기 : 출발과 형성기의 목회자상(1884~1919)
        천주교를 통해 기독교를 접하게 된 한국인은 서구 문물을 통하여 들어온 이라 하여 핍박을 가했다. 대원군의 쇄국 정책도 한계에 이르렀고 동시에 이 민족의 정신적인 지주였던 서원()중심의 유림도 그 작태로 인하여 폐쇄되고,민중과 괴리되어 있어서 근대 한민족은 종교적 신앙과 정신생활이 전래없는 진공기였다. 이러한 때에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은 전해졌고,이 복음은 한국 민족의 갈 길을 밝히는 유일한 등불이었다.
         이때의 목회자들은 인격이 진실한 자요 영에 속한 자요 성경중심의 목회자라고 평가하였다.


          2)제 2기 : 발전과 수난기의 목회자상(1920~1945)
        일제 치하의 한국교회는 혹독한 시련 속에서도 민족의 복음화와 민족의 독립을 위해 보루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교회는 이제 민족의 수난 속에서 105인 사건이나 3.1운동과 같은 민족의 독립과 애국 애족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고 요람의 역할을 하였으므로 겨레와 함께 멍에를 매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서 목회자들의 특징은 고난받는 종으로서의 목회자,지적으로 성장하는 목회자,존경받는 스승으로서의 목회자 등으로 나타난다.


          3)제 3기 : 재건과 분열기의 목회자상(1946~1960)
        1945년 8월 15일,해방의 종소리가 삼천만 민족 뿐만 아니라 한국 교회도 새로운 희망과 감격 속에서 국가와 교회의 재건에 착수하게 되었다.그러나 한반도에 3.8선을 설정하고 남북한 각기의 정부가 들어서고,이런 민족 분열의 시기에 신앙 노선과 신학 방법론 그리고 에큐메니칼 참여 문제를 놓고 장로 교회는 사분오열되고 말았다.
        이러한 시대상 속에 원하는 목회자상의 특징은 소명감을 재발견하는 목회자,역사에 눈을 뜬 목회자,민주적 지도자로서의 목회자 등이었다.


          4)제 4기 : 연합 운동과 재정립기의 목회자상(1961~)
        일제의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닥친 6.25동란으로 다시 한 번 수난을 당한 한국교회는 교회의 재건을 앞두고 자체 분열로 심각한 진통을 겪지 않을 수 없었다. 이로 말미암아 목회자들 사이에서는 자성의 소리가 높아지고 교회의 일치운동에 대한 활동이 활발해졌다.
        이 시기의 목회자의 특징은 성직자로서의 목회자,시대의 양심인 예언자로서의 목회자,변화하는 시대에 응답하는 목회자 등으로 나타났다.

        위에서 한국교회의 시대적인 변천 과정에서,역사의 토양 속에서 다양하게 분출된 목회자상이 나타나듯이 한국교회 초기 목회형태는 전통적인 유교 문화 사회에서 서구 문화를 추구하는 형태의 목회형태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의 식민지 시대의 박해기에는 한국교회의 목회는 바로 민족 구원 과제와 직결된 민족목회 형태로 목회과제를 설정하고 추진했다고 말할 수 있다.그리고 6.25 직후에는 치유적 기능의 목회형태가 활발해지면서 사회 여러 방면에서 구제와 사회사업을 통해 민족의 아픔을 극복하는데 일조를 하였다.
        점차 한국 사회가 산업 사회로 전환되면서 목회 기능과 형태는 역사 속에서 숨쉬는 교회로서의 역할을 점점 잃어간다.그리고 개인적인 문제를 요구하는 사람들을 위해 심방이나 상담 목회로 전환되어 가고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목회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C.S.케리언 교수는 그의 저서에서 현대 목회 모델을 8 가지로 들어 제시하고 있다. 즉,종-목자의 모델,정치가 -예언자 모델,설교자 -교사 모델,전도자 -키리스마 모델,실용주의적 흥행자 모델,메니져 -경영자 관리자 모델 그리고 의식주의자 -축제 모델이 그것이다.
        이렇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목회 형태는 현대 목회자들에게 갈등을 가져다 주고,위기감마저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