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유대인들은 왜?

Joyfule 2012. 9. 13. 08:44

 

유대인들은 왜?

 

김종식 목사와 김희영이 번역

출처 wwww.segibak.or.kr

 

 3-51. 왜 쉬바 기간은 일곱 번째 날 아침 일찍 끝날까?
유대 전통은 하루의 일부를 온전한 하루와 동일하게 본다. 유족이 장례를 치른 날 한 시간 밖에 쉬바를 지키지 못했더라도 하루를 온전히 지킨 것으로 간주한다. 
마찬가지로 일곱 번째 날 한 시간만 쉬바로 지켜도 그 하루를 다 지킨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일곱 번째 날에는 아침 예배 후에 유족들이 낮은 의자에 앉아 주변 사람들로부터 위로의 말을 들으면서 쉬바 기간을 마친다.

 

3-52. 왜 어떤 유족들은 쉬바 기간이 끝날 때 집 주변을 돌까?
이 풍습은 일부 유대인들만 지키고 있다.

모두 함께 가까운 거리(주로 집 주변 한 구획)를 도는데,

일주일 동안 떠나 있던 공동체와 현실 세계로 우리는 다시 돌아왔다는 것을 의미하는 행동이다.

 

3-53. 왜 쉬바 기간 금요일 집회 때 렉하 도디(Lecha Dodi) 찬송을 부르면서 회중이 유족에게 인사를 할까?
이 풍습은 쉬바 기간에 유족들이 심리적으로 겪고 있는 고통을 우리는 이해하고 있다는 뜻을 전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유족은 회중이 렉하 도디 찬송의 마지막 절을 부르는 동안 통로로 걸어 내려와 회중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이때 그는 인생에 중대한 사건이 있었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평소에 앉던 자리에 앉지 않고 다른 자리에 가서 앉는다.

 

3-54. 왜 쉬바 기간 중에 있는 유족은 ‘알리야(aliya)’를 받지 않을까?
알리야(토라를 읽도록 지명 받는 것)를 받았을 때 암송하는 축복문은 행복한 감정으로 표현해야 하는데,

유족들은 진정으로 이 감정에 사로잡히기가 힘들다. 
그러나 경우에 맞지 않더라도 만약 토라 앞으로 나오도록 지명을 받았다면 거절하지 않는 것이 토라에 대한 예의이다.


3-55. 왜 자녀가 유대신앙을 버리거나 다른 종교인과 결혼하면 애도할까?
유대인이 유대교 신앙을 버린다는 것은 상속 재산도 완전히 포기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어떤 유대인들은 변절한 자녀는 이미 놓쳐 버린 자녀이기 때문에 죽은 것으로 여기므로 칠일 동안 쉬바를 지키면서 애도한다. 
그러나 율법에서는 유대인이 비록 변절할지라도 그를 영원히 유대인인 것으로 보기 때문에 위의 행동이 율법에 따른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www.christianmuseum.or.kr,  The Jewish Book of Why)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2012.09.15
유대인들은 왜?  (0) 2012.09.14
유대인들은 왜?  (0) 2012.09.12
유대인들은 왜?  (0) 2012.09.11
유대인들은 왜?  (0) 2012.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