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성을 위한 ━━/이스라엘자료

유대인들은 왜?

Joyfule 2012. 11. 12. 09:46

 

유대인들은 왜?

 

 

8-31. 왜 안식일에는 생선을 먹어야 할까?
안식일에는 생선을 먹어야 한다고 탈무드에 기록되어있다.

탈무드에 보면, “오십 세겔도 없는 가난한 사람은 언제 채소와 생선요리를 먹을 수 있습니까?”라는 질문이 나온다.

이에 대한 답은 “금요일 밤, 즉 안식일이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안식일에 먹는 생선요리는 창조 이야기와도 관련이 있다.

'미드라쉬(Midrash, 주석서)'에 보면, 물고기는 다섯 번째 날에 창조되었고

사람은 여섯 번째 날에 창조되었으며 일곱 번째 날은 안식일이기 때문에

안식일에 사람이 물고기를 먹음으로써 질서를 이어갈 수 있다고 되어 있다

 

8-32. 왜 유대인들은 안식일에 게필터 생선을 먹을까?
안식일이나 명절이 되면 유대인 가정에서는 최소한 한 끼는 생선을 먹어야 하는데, 때로는 그 가격이 만만치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유럽공동체 주부들은 ‘게필터(gefilte)’라는 생선 요리를 만들어 냈다.

이 조리법대로 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게필터 생선이란 ‘속을 채운’ 또는 ‘속을 넣은’ 생선이라는 뜻이다.

이 요리의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잉어(carp), 창꼬치(pike), 흰살 생선 등이 쓰인다.

요리방법은 우선 생선의 뼈를 발라낸 후 양파, 소금, 후추 등으로 만든 양념을 생선 안에 채우고 한 시간 정도 익히면 된다.
게필테 생선과 비슷한 요리로 ‘게학테(ge-hakte, ’잘게 썬‘)’라는 청어 요리도 있다.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안식일 식탁에 자주 오르는 요리이다.

청어를 다듬어서 완숙 달걀, 양파, 사과 등을 잘게 썰어 넣은 후 설탕, 후추, 식초 등으로 양념한 것이다.

 

8-33. 왜 유대인들은 안식일에 ‘오넥 샤밧’ 시간을 가질까?
안식일 오후에 함께 모여 강의를 듣거나, 게임이나 노래하는 시간을 가지자고 제안한 사람은

러시아 출신 계관(桂冠) 시인 하임 나흐만 비알릭(Nachman Bialik, 1873-1934)이다.

그는 1924년에 텔아비브로 이주한 후 자기 집에서 처음으로 ‘오넥 샤밧’ 시간을 가졌다.
 ‘오넥 샤밧(Oneg Shabbat)’이라는 이름은 이사야 58장 13절에 나오는 대로

안식일을 일컬어 ‘즐거운 날(oneg)’이라고 한 데서 따온 것이다.

후대에는 금요일 밤에 실시하는 강의 시리즈와 함께

또는 별도로 친목의 시간을 가지는 모임을 일컬어 오넥 샤밧으로 부르게 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시간은 현재까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유대인 가정이나 회당에서 유행하고 있다

 

8-34. 왜 안식일 식탁에서 노래(zemirot)를 부를까?
안식일에 노래를 부르는 풍습은 16세기의 카발라 학자들,

그 중에서도 사페드 출신 이삭 루리아(Isaac Luria)에 의해 시작되었다.
카발라 학자들은 안식일의 기쁨을 더하고 영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노래 부르는 일을 시작하였으며,

이 풍습은 사페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8-35. 왜 안식일 오후 ‘민하’ 예배의식에서 토라를 읽을까?
안식일 오후 예배의식에서 공식적으로 토라를 처음 낭독한 사람은 학사 에스라이다.

그는 월요일과 목요일에도 공식적으로 토라를 낭독하였다.
에스라가 월요일과 목요일에 토라를 공식적으로 읽은 이유는 예루살렘 시장에 장보러 오는 사람들이

그동안 토라 낭독을 제대로 들어 보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는 장보러 오는 유대인에게도 토라 낭독을 들어야 하는 의무가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이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후 학사 에스라는 안식일 오후에 열리는 민하(Mincha)에서도 자연스럽게 토라를 낭독하게 되었으며,

이 전통은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 오고 있다.

안식일 오후에도 월요일이나 목요일과 마찬가지로 세 번의 알리야가 있으며,

바 미츠바 또는 바트 미츠바 행사가 이 시간에 열리기도 한다.

 

www.segibak.or.kr - 유대인들은 왜?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2012.11.14
유대인들은 왜? - 8-36.- 8-40.  (0) 2012.11.13
유대인들은 왜?  (0) 2012.11.10
유대인들은 왜?  (0) 2012.11.09
유대인들은 왜?  (0) 2012.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