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들은 왜?
9-51. 왜 요사이는 유월절 어린양을 드리지 않을까?
동물을 제물로 드리는 일은 예루살렘 성전이 존재하던 시절의 관습이었다. 그러나 AD 70년 로마 군인들이 성전을 파괴한 이후에는 이러한 희생제물을 드리는 일이 중단되었다. 물리적으로도 제물을 드릴 수 있는 처지가 못되었다.
따라서 유대인들은 예배의식 중에서 제사드리는 순서 대신에 기도하는 순서를 추가하였다. 성전이 무너진 이후 어린양을 드리는 순서도 당연히 기도하는 의식으로 바뀌었다.
9-52. 왜 세데르 노래 중에 ‘하드 가드야’가 유명할까?
세데르를 마칠 때 흔히 부르는 ‘하드 가드야(Chad Gadya)’라는 노래는 멜로디가 아름다울 뿐 아니라 가사가 의미심장하여 유월절마다 애창된다.
이 노래는 독일의 유대인들이 독일민요를 따서 만든 후 하가다에 편입시킨 것이다. 동요 형식이므로 부르기 쉬울 뿐 아니라 기발한 형식과 간결한 문체로 유대민족의 복잡한 이야기를 풀어 내었다.
아람어로 쓰인 가사는 다음과 같다. 즉 어떤 아버지가 작은 염소 한 마리를 동전 두 개에 산다. 그러나 고양이가 나와서 염소를 물었고, 개가 나와서는 고양이를 물었다. 마침내 막대기가 나와서 개를 때렸다.
이런 식의 내용이 계속되는 노래는 여러 나라들이 정복하려 했던 유대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으며, 결국은 그들의 노력이 실패한다는 것이다. 열방들이 악한 계획을 세우더라도 마지막에 하나님이 승리하고 정의가 다스리게 된다는 것이다.
9-53. 왜 유월절 후 첫 안식일 할라에는 열쇠모양 장식이 있을까?
이 관습은 우크라이나 볼리니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유대인들은 유월절이 지나고 처음 먹는 할라 위에 열쇠 모양의 반죽을 올려놓았는데,
이 열쇠는 애굽 노예생활에서 풀려날 수 있는 ‘해방의 문’을 여는 열쇠를 상징한다.
이 해방의 문은 유월절 축제가 끝난 후 한 달 동안에 열 수 있다.
9-54. 왜 페삭 셰니(Pesach Sheni)를 지킬까?
민수기 9장 9절에서 14절을 보면, 니산월 14일에 유월절 어린양을 드릴 수 없는 사람은 한 달 후인 이야르월 14일에 드리라는 규정이 나온다. 니산 월에 명절을 제대로 지킬 수 없었던 사람들 즉, 시체로 인해 부정한 상태에 있거나 먼 곳에 여행 중인 사람은 정해진 시기에 예루살렘에서 유월절 어린양을 드릴 수 없었기 때문에 ‘페삭 셰니’ 즉 두번째 유월절에 어린양을 바쳐서 그 의무를 다했다.
‘페삭 셰니’는 ‘작은 유월절(Minor Passover)’로도 불리며, 첫 번째 유월절 때 지켜야 하는 의식적인 행사들은 대부분 생략된다. 미쉬나(Pesachim 9:3)에 보면, 페삭 셰니를 지키는 사람은 마짜를 먹되 집에 있는 누룩을 다 청소할 의무까지는 없다고 설명되어 있다.
지금도 일부 유대인들은 이야르월 14일에 출애굽을 기억하기 위하여 마짜를 먹는 가정이 있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예배식에 타카눈(Tachanun)이 빠져 있다는 부분이다.
성경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월절 즉 정식 유월절과 ‘작은 유월절’이 함께 적혀 있으므로 탈무드는 페삭(단수형)을 복수형 페삭힘(Pesachim)으로 적혀 있다.
www.segibak.or.kr - 유대인들은 왜?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인들은 왜? (0) | 2012.11.30 |
---|---|
유대인들은 왜? (0) | 2012.11.29 |
유대인들은 왜? (0) | 2012.11.27 |
유대인들은 왜? 9-41. - 9-45. (0) | 2012.11.26 |
유대인들은 왜? (0) | 2012.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