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4.3.1. 유대력의 배경과 역사
유대력은 음력이다. 그래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양력, 즉 그레고리력과 차이가 있다. 유대력에 나타나는 절기의 날짜는 변하지 않는다. 유대력의 한달은 월삭(月朔)에서 시작하고 보름달이 뜨면 15일이 된다. 고대에는 전문 관측자들이 월삭을 관측해서 산헤드린에 알렸다. 산헤드린은 서로 떨어져 있는 믿을 만한 전문 관측자 두 사람의 일치하는 증거에 따라 새 달을 선포했다. 새 달 첫날을 ‘로쉬 호데쉬’라고 한다. 산헤드린의 로쉬 호데쉬 선포에 맞추어 새 달이 시작되었다.
양력의 한 해는 음력으로 12.4 개월이 된다. 음력의 열 두 달은 양력의 한 해로 계산하면 열 하루씩 모자라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음력에 윤년을 두는데, 이 경우 음력의 한 해는 열 세 달이나 되고 양력의 한 해에 비하면 열 아흐레나 남게 되는 것이다. 유대력에는 ‘니싼’월(月)이라는 것이 있는데 그 의미는 ‘봄’이다. 그런데 이 니싼 월이 매년 11일씩 빨라진다. 이걸 방치하면 니싼은 봄이 아니라 겨울에, 가을에, 또는 여름에 오게 된다. 그래서 일정한 규칙을 정해 29일 또는 30일을 앞으로 뛰게 해야 비로소 계절과 맞게 된다.
주후 4세기에 랍비 힐렐2세는 수학적이고 천문학적인 유대력을 고안했었다. 이 달력은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데 달의 길이를 표준화하고 19년 주기로 윤달을 여러번 넣어 양력과 맞추었다. 그래서 니싼 월의 직전 달인 ‘아달’월을 3, 6, 8, 11, 17, 19번째 되는 해에 한번 더 넣게 했다. 따라서 이때는 아달 월이 두번 있게 되게 했다. 그리고 한 해는 티슈리 월의 로쉬 호데쉬(매월 첫날)에 시작하는 것으로 정했다. 아울러 ‘욤 키푸르,” 즉 속죄일을 안식일과 가까이 있지 않게 했다. 왜냐하면 안식일이 금식의 절기와 어울리면 곤란한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호샤나 라바’도 토요일에 오지 않게 했는데 이것도 충실하게 절기를 지키기 위한 배려였다. 그래도 문제가 생기면 ‘헤시반’월에 하루를 더 하거나 그 전 해의 ‘기슬레브’월에서 하루를 빼어 날짜를 맞추었다.
4.3.2. 유대력의 연대 매기기
유대력 연대는 성경의 연대에 따라 계산한 것으로 창조이래의 햇수를 말한다. 2003년은 유대력으로 5763-4년이 되는데 말 그대로는 창조 후 5763-4년 째 되는 해라는 말이다. 그러나 정통파 유대인들도 창세기에 나오는 창조의 6일은 오늘날 처럼 24시간의 하루는 아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네째 날 태양이 창조되었으니 창조 때의 하루는 분명히 24시간의 하루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하루는 아인쉬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른 시간일지도 모른다. 유대인들은 그레고리력의 A.D.나 B.C.라는 연대명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대신 C.E. (Common Era), B.C.E (Before the Common Era)라는 연대명을 사용한다. 이 책에서는 주전, 주후란 우리 기독교의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4.3.3. 유대력의 달들
성경이 말하는 첫번째 달은 유월절이 있는 ‘니싼’월이다. 그러나 오늘날 유대인들은 성경으로 따진다면 일곱번째 달인 ‘티슈리’월을 첫번째 달로 생각한다. 티슈리 월부터 연대를 하나 더 올려 말하는 것이다. 니싼 월은 유대종교의 첫달이고 티슈리는 아마도 서남아시아의 여러 민족들의 풍습을 따른 세속적 첫달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유대력에는 다음과 같은 달들이 있다. 각달의 날수와 그레고리력의 해당 달은 다음과 같다.
니싼 30일 3-4월
이야르 29일 4-5월
시반 30일 5-6월
탐무쯔 29일 6-7월
아브 30일 7-8월
엘룰 29일 8-9월
티슈리 30일 9-10월
헤쉬반 29 또는 30일 10-11월
키슬레브 30 또는 29일 11-12월
테베트 29일 12-1월
쉐밭 30일 1-2월
아달 29 또는 30일 2-3월
아달2(윤달의 경우) 29일 3-4월
윤년 아달월은 30일이고 평년 아달월은 29일이다. 니싼월부터 티슈리월까지는 날 수의 변동이 없다. 그러므로 첫번째 절기인 유월절(페싹 )과 마지막 절기인 초막절(쑤꼬트) 사이의 절기는 날짜 변동이 있을 수 없다. 이런 현상은 율법을 지키기 위한 유대인들의 눈물겨운 노력으로 나타난 것이다.
'━━ 지성을 위한 ━━ > 이스라엘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3 |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2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20 |
유대학 핸드북 - 제4장 유대땅과 역사와 절기 (0) | 2013.11.19 |
유대학 핸드북 - 제3장 랍비유대교 (0) | 2013.11.18 |